메뉴 건너뛰기

1분기 영업익 전년 대비 61% 감소, 7분기 만에 당기순손실
누적 결손금 5조8159억... 전년 대비 4% 증가
쿠팡 “한국 제품 직매입에 22조 투자·로켓배송 확대”

국내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 쿠팡이 올해 1분기 7개 분기 만에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면서 적자로 전환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61% 감소했다.

업계에선 소위 ‘계획된 적자’를 끝낼 줄 알았던 쿠팡이 알리익스프레스(알리)와 테무의 공습으로 인해 수익성에 위기 경보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계획된 적자란 적자를 감수하면서 공격적인 투자로 시장 점유율을 키우는 전략을 의미한다.

서울 송파구 신천동 쿠팡 본사. /뉴스1

파페치 인수·中 커머스 공습에 7분기 만에 당기순손실
쿠팡이 8일 발표한 1분기 실적에 따르면, 쿠팡의 매출은 9조4505억원(71억1400만 달러·분기 평균환율 1328.45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1% 감소한 531억원이었다. 분기 영업이익이 줄어든 건 2022년 3분기 분기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한 후 처음이다. 당기순손실은 31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1160억원 순이익에서 적자 전환했다. 2022년 2분기 이후 첫 순손실로, 7개 분기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실적 부진으로 쿠팡의 1분기 누적 결손금은 5조8159억원(43억7800만달러·1분기 평균환율 적용)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결과다. 앞서 JP모건은 쿠팡의 1분기 영업이익이 2060억원, 당기순이익은 1380억원을 예상하며 “알리와 테무로부터 받는 영향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쿠팡의 실적 부진은 작년 말 인수한 명품 이커머스 플랫폼 파페치 실적이 편입된 영향이 크다. 쿠팡이츠와 파페치, 대만 사업 등이 포함된 성장 사업의 조정 에비타(상각 전 영업이익) 손실은 파페치 조정 에비타 손실분인 411억원(3100만달러)을 포함해 2470억원(1억8600만달러)로 확대됐다.

쿠팡 배송트럭. /뉴스1

여기에 최근 국내 시장을 본격화한 알리와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의 공습도 쿠팡의 실적 부진에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이들은 자금력과 극초저가를 무기로 국내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알리는 지난달 한국에 3년간 1조5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첫 한국에 서비스를 시작한 테무도 최근 한국에 법인을 설립하며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섰다.

성장률은 가파르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 3월 알리의 사용자 수(858만9000명)과 테무(823만8000명)의 합산 이용자(1682만7000명)는 쿠팡(3090만8000명)의 절반을 넘어섰다. 알리와 테무의 최근 1년 매출은 약 3조원 규모로 추산되는데, 이는 2014년 로켓배송을 시작한 쿠팡의 2017년 매출(2조6846억원)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일각에선 이들 중국 커머스가 올해 국내 시장에서 2배 이상 성장할 거란 관측도 나온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알리와 테무는 지금 성장세라면 올해 8조원까지 갈 수 있다”면서 “미국이나 유럽은 중국 커머스에 강경하지만, 한국은 상황이 달라 이들이 공격적으로 나오면 쿠팡 등 토종 커머스에 큰 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김범석 의장, 中 커머스 첫 언급... “한국 진입장벽 낮다”
김범석 쿠팡 의장은 이날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처음으로 중국 커머스 업체를 언급하며 위기감을 드러냈다. 김 의장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진출은 유통업계의 진입장벽이 매우 낮으며, 소비자들은 클릭만으로 다른 쇼핑 옵션을 선택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면서 “최고의 상품과 가격으로 소비자 마음을 사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리익스프레스 광고. /유튜브 캡처

쿠팡은 계획된 적자를 마치고 수익 확보에 나서던 분위기를 다시 투자 확대 기조로 전환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달 유료 멤버십 회원인 와우멤버십 월 회비를 4990원에서 7890원으로 인상했다.

쿠팡은 지난달 중국 이커머스에 대응해 3년간 3조원 이상을 투자해 경북 김천, 광주 등 신규 물류센터 8곳을 운영하고, 2017년까지 전 국민 5000만 명을 대상으로 로켓배송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기에 더해 김 의장은 ‘국산 제조사 상품 판매 확대’와 ‘소비자 혜택’ 투자 카드를 내세웠다.

한국산 제품 직매입을 작년 17조원 규모에서 올해 22조원 규모로 늘려 중국산 극초저가 상품과 차별화하고, 유료 멤버십 회원인 와우 멤버십 회원을 위한 투자 비용을 작년 2조원에서 올해 5조5000억원 수준으로 늘려 충성 고객을 붙잡는다는 구상이다.

최근 중국산 제품의 유해물질 검출과 중국 커머스의 개인정보 부당 수집 등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진 만큼 검증된 국산품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멤버십 서비스를 내세운다면,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을 거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국 커머스의 성장으로 중저가 제품의 취급하는 국내 제조업체의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쿠팡이 중국의 저가 상품에 대응해 국산품 직매입을 늘리겠다고 한 건 좋은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 교수는 “다만, 구매 과정에서 쿠팡이 제조 업체들과의 상생의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273 “트럼프, 북미 정상회담 때 文 의도적 배제” 측근 전언 랭크뉴스 2024.05.11
24272 ‘빠순이’, 사랑 그리고 하이브 vs 어도어 사태[젠더살롱] 랭크뉴스 2024.05.11
24271 '도ㄴ' '급ㅈ' 광고에 혹했다가 연리 500% 폭탄... 청년 노린 불법대출 기승 랭크뉴스 2024.05.11
24270 "트럼프, 北美정상회담 때 文 의도적 배제…美우선외교 사례" 랭크뉴스 2024.05.11
24269 전국 흐리고 비…해안·강원 산지 중심 강한 바람 랭크뉴스 2024.05.11
24268 귀농 꿈꾸세요? 놓치면 손해인 정부지원책 랭크뉴스 2024.05.11
24267 [사설] "단일대오" 강조 與 원내대표, 당정관계 혁신에 사활을 랭크뉴스 2024.05.11
24266 고령화 시대, 암보다 더 위험한 병 ‘심부전’ 랭크뉴스 2024.05.11
24265 정체기 맞은 MBC ‘전지적 참견 시점’, 잊어버린 정체성 되살려야 할 때[이진송의 아니 근데] 랭크뉴스 2024.05.11
24264 ‘순백의 신부’ 거부한다…블랙 웨딩드레스 열풍 랭크뉴스 2024.05.11
24263 오늘 서울도심 5만명 연등행렬…내일 뉴진스님 '부처핸섬' 뜬다 랭크뉴스 2024.05.11
24262 남중국해 분쟁 두고 필리핀 "中 대사관 관계자 추방해야" 랭크뉴스 2024.05.11
24261 [신세돈의 경제통감] 30대 취업자 증가와 인구감소 랭크뉴스 2024.05.11
24260 '학년제'로도 풀기 힘든 의대 유급...대학들 "정부, 단속할 때 아니다" 랭크뉴스 2024.05.11
24259 “의대생, 경찰 출동때 숨진 여친 반대방향서 투신 시도” 랭크뉴스 2024.05.11
24258 소프트뱅크, 일본 정부 믿고 라인 헐값 매입 노리나... "지분 10% 매입에 2조" 랭크뉴스 2024.05.11
24257 [뉴욕유가] 고금리 장기화+원유수요 감소 우려에 하락 랭크뉴스 2024.05.11
24256 위헌 논란으로 번진 민주당 '전 국민 25만원' 민생지원금 랭크뉴스 2024.05.11
24255 美, '20년 만에 최강' 태양폭풍 경보 발령…"전파교란 위험" 랭크뉴스 2024.05.11
24254 비트코인,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6만 달러선 위태 랭크뉴스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