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달 회사채 현금 상환한 GS건설, 새로 2000억원 발행 준비
신용등급 A+에서 A로 강등... 이자부담 급증
건설업종 투심 악화에 미매각 우려 커져

GS건설이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 채권시장 문을 두드리고 있다. 최대 2000억원의 회사채를 찍어 유동성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조달 환경이 우호적이지 않다. 신용등급이 강등된 데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로 기관투자자 사이에서 건설채 기피 현상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이자 비용이 대폭 늘면서 재무 부담도 한층 커질 전망이다.

서울 종로구 GS건설 본사 모습. /뉴스1 제공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GS건설(A)은 최대 2000억원의 회사채 발행을 준비하고 있다. 내달 초 발행을 목표로 만기별로 1년 6개월, 2년으로 나눠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다.

희망 밴드는 민평금리 대비 최대 100bp(1bp=0.01%포인트)까지 열어뒀다. 지난 3일 기준 GS건설 민평금리는 1년 6개월물이 4.72%, 2년물은 4.81%에 형성됐다. 기관 대상 수요예측에서 다 팔리지 못할 경우, 발행 금리는 최대 5%대 후반으로 뛸 수 있다. 미매각 시 금리 수준을 높여 투자 매력을 부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GS건설은 지난달 16일 만기였던 회사채 2000억원을 전액 현금 상환하면서 당분간 회사채 발행 계획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과거 찍은 회사채 발행금리는 연 1.80%에 불과했다. 너무 많이 늘어난 이자 부담 때문에 되도록 차환 발행을 하지 않고 버텨보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2주 만에 다시 회사채 시장을 찾았다.

GS건설의 유동성은 빠듯한 상태다. 지난해 말 별도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규모는 1조6000억원 정도다. 반면 1년 내 상환해야 하는 단기성 차입금은 2조원 수준이다.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성 차입금을 상환하려면, 현금 등 유동성을 모두 쏟아부어야 한다는 의미다. 이 와중에 실적도 고꾸라졌다. 1분기 영업이익은 706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5.6% 줄어들었다.

신용등급도 하락하면서 금융비용은 기존 대비 3~4배 뛸 예정이다. 앞서 2월 한국신용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는 GS건설 신용등급과 전망을 A+(부정적)에서 A(안정적)로 하향 조정했다. 인천 검단 아파트 붕괴 사고로 인한 여파와 영업정지 행정처분 부과 등으로 사업 경쟁력이 약화한 점, 재무안정성이 단기간에 개선되기는 어려운 점 등이 근거로 꼽혔다.

최근 건설업종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GS건설 회사채도 기관 수요예측서 미매각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올해 회사채 시장을 찾은 HL D&I한라는 수요예측에서 한 건도 주문받지 못했다. 한국토지신탁, 한국자산신탁 등도 일부 물량만 채웠다.

반대로 현대건설(AA-), SK에코플랜트(A-), 롯데건설(롯데케미칼 지급보증·AA) 등은 수요예측에서 흥행 성공했다. 신용등급이 우수하거나 계열사 지원이 예상되는 곳들이다. GS건설도 GS그룹 계열사 지원이 예상돼 자체 신용도보다 1노치 높게 받은 상태지만, 계열사의 신용도 보강은 없다.

기관 수요예측에서 흥행하지 못하더라도 GS건설의 자금 조달은 순항할 전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GS건설이 어려운 상황일 수는 있지만 그래도 GS그룹 대표 계열사”라면서 “증권사 입장에서는 GS건설과 우호적 관계를 맺는 게 더 중요하기에 수요예측에서 미매각되더라도 우선 채권을 받고, 여러 수요를 파악해 다시 판매하는 선택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GS건설 측은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 등 시장 침체에 대비한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회사채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현재 회사채 발행과 관련해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342 [단독] "차 빼라" 말다툼이‥택배기사 간 폭행에 '뇌사' 판정 랭크뉴스 2024.05.10
19341 "가상화폐 바이낸스, VIP 고객 시세조작 의혹 제기한 직원 해고" 랭크뉴스 2024.05.10
19340 흰머리 수북한 김민희…'9년째 불륜' 홍상수 감독과 근황 포착 랭크뉴스 2024.05.10
19339 尹 "채 상병 특검, 수사 납득 안 되면 그때는 제가 요청"... 거부권 예고 랭크뉴스 2024.05.10
19338 우크라이나 침공 후 세 번째 전승절 맞은 러시아···푸틴 “그 어떤 위협도 허용하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4.05.10
19337 의대생, 부모 통화 뒤에야 "약 두고 왔다"…80분 만에 피해자 발견 랭크뉴스 2024.05.10
19336 한미일 대북협상대표 회동…"북러군사협력 맞선 결의 강조" 랭크뉴스 2024.05.10
19335 '의대생 살인' 투신 결심 전 환복‥신상 공개 안 한다 랭크뉴스 2024.05.10
19334 130년 전 ‘농민전쟁’의 의미를 다시 새긴다 [안병욱 칼럼] 랭크뉴스 2024.05.10
19333 [사설] 재정적자 가속, 농가에 돈 풀기보다 재정준칙 마련이 시급하다 랭크뉴스 2024.05.10
19332 가맹사업법 통과 전초전… 점주 “갑질에 대응” vs 본부 “분쟁만 양산” 랭크뉴스 2024.05.10
19331 ‘소통왕’ 김동연… 평화누리도 비판 댓글엔 ‘묵묵부답’ 랭크뉴스 2024.05.10
19330 여당 원내대표 ‘예상대로 추경호’ 랭크뉴스 2024.05.10
19329 소환조사 1번도 없었다‥"윤사단 압박 컸다" 랭크뉴스 2024.05.10
19328 [영상]"김치에 벌레가 있어요" '발칵'…美언론 대서특필 '이 김치'의 정체 랭크뉴스 2024.05.10
19327 여친 경동맥 20번 찌른 의대생… ‘신상 비공개’ 결정 랭크뉴스 2024.05.09
19326 유럽투자은행, '민·군 이중용도 제품' 대출 완화 랭크뉴스 2024.05.09
19325 부산지법 앞서 방송하던 유튜버 흉기 찔려 사망…현장 생중계 돼 랭크뉴스 2024.05.09
19324 8개월 만에 최대 실업 지표에도 물가 경계… 뉴욕증시 혼조 출발 랭크뉴스 2024.05.09
19323 윤 대통령, 책상에 ‘The buck stops here’ 명패 놓고 기자회견 시작 랭크뉴스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