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7일 국회 연금특위 활동 종료 선언
소득대체율 42% vs 45% 타협 실패
정부, 모수개혁 목표·방향 제시 안해
국회, 시민 숙의 결과에 논쟁 되풀이
주호영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장과 여야 간사들이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유럽출장 취소 및 연금개혁특위 활동 종료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간사, 주호영 특위위원장, 유경준 국민의힘 간사. 김성주 의원실 제공


국회로 넘어간 연금개혁이 공회전만 하다 결국 좌초했다. 여야가 연금 재정 지속성을 위해 ‘더 내기’ 필요성에는 공감했으나 ‘얼마나 더 받을지’를 두고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한 탓이다. 정부는 ‘3대 개혁’ 중 하나로 연금개혁을 강조하면서도 그간 분명한 목표를 제시하지 않았고, 국회는 2022년 7월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설치한 후 2년 가까이 되도록 결론을 내지 못했다는 점에서 양측 모두 책임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연금특위 주호영 위원장은 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연금특위 활동 종료를 알렸다. 여야는 이날 막판 타결을 시도해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올리는 데는 합의했다. 하지만 소득대체율(가입기간 평균소득 대비 연금액, 2028년 40%)을 얼마나 올릴지를 놓고 국민의힘은 재정 안정을 위해 43%를 제시한 반면 민주당은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45%는 돼야 한다고 주장해 끝내 협상이 결렬됐다. 1998년 1차 개혁, 2007년 2차 개혁 이후 17년 만에 어렵사리 입법 문턱까지 다다른 연금개혁 논의가 2%포인트 차이에 발목이 잡혀 무위로 돌아간 것이다. 국민연금은 현행 제도대로 운영될 경우 2041년 적자 전환 후 2055년 기금이 소진될 것으로 예측된다.

사실 연금개혁 실패는 어느 정도 예견됐던 일이기도 하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국민연금 장기 재정 전망과 제도 개선안을 포함한 제5차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을 발표하면서 기금 고갈 시기 및 노후소득과 맞물린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연금 수급 연령 등 이른바 ‘모수(母數)개혁’이라 불리는 중요한 목표치는 모두 비워 놨다. 정부가 개혁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지 않고 책임을 국회로 떠넘겼다는 비판이 적지 않았다.

지난달 연금특위 산하 공론화위원회 숙의토론에 참여한 시민대표단은 △보험료율을 13%로 인상하고 소득대체율을 50%로 높이는 1안과 △보험료율을 12%로 올리되 소득대체율은 현행 40%를 유지하는 2안 중에 1안(56%)을 선호했다. 그러나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는 “재정을 더 어렵게 하고 미래세대 부담을 키울 수 있다”며 사실상 반대 의사를 표했다. 정부가 연금개혁 목표를 재정 안정에 뒀다면 처음부터 구체적인 수치를 제안하고 국회를 설득했어야 한다. 시민 숙의를 거치고도 국회에서 논의가 꼬인 건 애초 정부가 방향성을 제시하지 않은 탓이 크다.

4월 13일 KBS에서 열린 '선거제도 공론화 500인 회의'에 참석한 시민들이 선거제 개편에 관한 숙의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KBS 화면 캡처


국회도 시간만 축내면서 책임을 방기했다는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연금특위가 공론화 자리를 마련하는 데 2년 가까이 걸렸다. 21대 국회 종료를 불과 두 달 남겨둔 시점이었다. 공론을 토대로 개혁안을 도출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한데 국회는 시민 숙의 결과를 둘러싼 논쟁에서 한 발도 나아가지 못했다. 설사 시민이 선호한 ‘더 내고 더 받기’가 재정 건전성 문제가 있다 해도, 미흡하나마 최소 합의가 가능한 지점을 찾아 개혁의 시동을 걸어 놓고 다음 국회에 개선 과제를 맡겼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여야 협상이 빈손으로 끝나면서 공론화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에 이른 보험료율 인상, 연금 수급 연령 상향 등 여러 성과들까지 퇴색되고 말았다.

국회가 연금개혁에 실패한 데는 윤석열 대통령 책임도 없지 않다. 윤 대통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영수회담에서 “연금개혁을 22대 국회로 넘기자”고 말했다. 국정 최고책임자가 개혁 완수 의지를 접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상황에선 정부 여당이 운신할 폭이 좁아지고 타협안을 도출할 의지도 급격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21대 국회는 29일 문을 닫는다. 연금개혁 논의는 22대 국회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 하지만 국회가 원 구성 등에 바빠 연금특위 구성 등은 후순위로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 2026년에는 지방선거가, 2027년에는 대통령선거가 있어 사실상 2025년부터는 선거 정국으로 들어서게 된다. 언제 연금개혁이 이뤄질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려워졌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연금개혁이 1년 지체될 때마다 필요한 국가 재정이 5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21대 국회에서 남은 기간만이라도 개혁안 논의가 이어지도록 정부는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0364 [단독] 배구 곽명우 트레이드 무산…폭행혐의 유죄 탓 랭크뉴스 2024.05.12
20363 최상목 "민주당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입법, 위헌 소지 있어" 랭크뉴스 2024.05.12
20362 의개특위 "의원에 전공의 배정 안해…다양한 경험하자는 취지" 랭크뉴스 2024.05.12
20361 젊은 맞벌이 10쌍 중 4쌍 무자녀… “주거 지원 확대 필요” 랭크뉴스 2024.05.12
20360 임영웅 소속사서 주민에게 참외를 돌린 사연 랭크뉴스 2024.05.12
20359 코로나 이후 자영업자 대출 급증… 절반 이상은 ‘다중채무자’ 랭크뉴스 2024.05.12
20358 “애플, 차세대 음성비서 시리 공개 앞둬”… 챗GPT 탑재 유력 랭크뉴스 2024.05.12
20357 미국, ‘중국산 기술·부품’ 커넥티드카 금지…“한국차 대부분 해당” 랭크뉴스 2024.05.12
20356 총선 이후 첫 비공개 고위 당정대…“당 지도부 상견례 차원” 랭크뉴스 2024.05.12
20355 농식품부 "고양이 잇단 급사 원인 미확인‥추가 조사할 것" 랭크뉴스 2024.05.12
20354 조국혁신당, 라인야후 사태에 "항의조차 하지 않아‥어느 나라 정부냐" 랭크뉴스 2024.05.12
20353 ‘친윤 검사’ 출신이 2명이나…혁신과 멀어지는 국힘 비대위 랭크뉴스 2024.05.12
20352 고양이 잇단 폐사 사건 ‘다시 미스터리’···원인 지목 사료 ‘적합’ 판정 랭크뉴스 2024.05.12
20351 추경호 "'채상병 특검법', 기존 당 입장 변화 없어" 랭크뉴스 2024.05.12
20350 "와 이라노, 차가 안 선다!"…'급발진 의심' SUV 블랙박스 보니 랭크뉴스 2024.05.12
20349 ‘채 상병 사건’ 곳곳에 대통령실 개입 흔적···공수처 수사, 대통령실 향할까 랭크뉴스 2024.05.12
20348 “진짜 월급 빼고 다 오르네”...올리브유마저 ‘폭등’ 랭크뉴스 2024.05.12
20347 “윤 정부의 일본 거짓말 받아쓰기” 통상 전문가의 라인 사태 분석 랭크뉴스 2024.05.12
20346 기재부, ‘10조원 이상’ 반도체 금융지원책 푼다 랭크뉴스 2024.05.12
20345 김경수 전 경남지사 일시 귀국… 친문계 구심점으로 떠오르나 랭크뉴스 202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