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승훈 논설위원

여론 의식한 이전 정부들이
도입했던 전 국민 의료보험이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의 근간

비용과 정보를 제공한 국민이
세계 최고의 체계를 만든 주역

의사들도 중요한 역할 했지만
자신들만 희생했다 생각하면
국민들 냉소 변하지 않을 것

의·정 갈등이 시작된 지 석 달이 지났지만 많은 국민들은 아직도 궁금하다. 의사들은 왜 의대 입학정원 증원에 반대하는지, 의사들이 원하는 의료개혁은 어떤 모습인지. 의사들 주장대로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결정이 일방적이었던 게 사실이라 해도 대화조차 거부한 채 의료현장을 이렇게 혼란에 빠트리는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

요즘 의료계에서 나오는 목소리들은 하소연에 가깝다. 주 50시간만 일하라고 해도 난리를 치는 사람들이 주 80시간을 우습게 일하는 전공의들의 희생 아래 지금까지 모든 의료 혜택을 누려온 것을 알기나 하냐는 식이다. 그렇게 계속 고생해야 할 정도로 인력이 부족하다면 더 뽑으면 되는 것 아닌가 싶은데 그건 아니라 한다. 전공의들의 근로조건 개선이 필요하다면 그들을 고용한 병원이나 전공의들을 관리하는 이들에게 문제 해결을 요구했어야지 싶은데 그렇게 했다는 얘기는 들리지 않는다. 심지어 그동안 전공의들과 의사들의 희생을 당연하게 여기며 전세계 최고의 의료시스템을 헐값에 사용한 게 아니냐는 식의 얘기를 하는 이들도 있다. 과연 그럴까. 의사들과 전공의들이 희생해서 만들어놓은 의료시스템을 국민들이 누리기만 하는 것인가.

오늘날 우리가 갖춘 전세계 최고 수준 의료시스템의 근간은 전 국민 의료보험 제도다. 우리나라의 의료보험은 1977년 박정희정부에서부터 시작됐고, 1986년 전두환정부 때 ‘전 국민’ 대상 도입 계획이 발표됐으며, 1989년 노태우정부 때 전 국민 의료보험이 도입됐다. 지금의 국민건강보험과 같은 체계가 완성된 것은 2000년 김대중정부에서였다. 일각에선 전두환정부가 전 국민 대상 의료보험 도입 계획을 발표하고, 노태우정부가 전 국민 의료보험을 시행한 것은 국민들의 민주화투쟁 덕분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국민들이 독재에 저항하지 않았다면 전두환정부가 대국민 당근책이라 할 수 있는 전 국민 의료보험제도 등의 도입을 약속하지 않았을 것이고, 노태우정부가 전 국민 의료보험 공약을 이행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직접적으로 인과관계를 단정짓기는 어려워도 납득할 만한 분석이다. 이후의 정부들이 국민건강보험 제도를 유지·개선한 것도 국민 여론을 의식했기 때문이다.

국민들의 저항과 요구가 전 국민 의료보험을 만들었다면 지금의 의료보험을 유지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도 국민이다. 국민들이 내는 의료보험료가 지금의 건강보험 체계를 유지하는 버팀목이다. 의사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갖추는 데에도 국민들의 희생이 뒷받침됐다. 암과 중증질환, 희귀난치성질환 등의 치료에 대한 산정특례 제도를 통해 환자들이 민감한 개인정보를 제공한 덕분에 우리나라는 이들 질환에 대해 세계 최고 수준의 노하우를 갖게 됐다. 산정특례로 할인된 의료비 역시 국민이 낸 돈으로 해결한다. 의사들이 오랜 시간 많은 노력을 기울인 점은 평가해야 하지만 근본적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시스템을 만든 것은 국민이다. 국민들이 전 국민 의료보험을 강제하지 않았다면 지금의 의료시스템은 없었을 것이고, 국민들의 피땀으로 만든 건강보험 재정이 없었다면 의사들이 소위 돈 되는 분야에만 몰리는 현상은 훨씬 더 심해졌을 것이다.

국민들은 생명을 살리기 위해 헌신하는 의사에게는 존경심을 갖고 있다. 하지만 국민들이 자주 만나는 의사들 중 상당수는 환자가 찾아갈 때 “실손보험은 갖고 있느냐”는 질문부터 먼저 한다. 몇 달 전부터 예약을 하고, 보호자까지 생업을 포기한 채 병원 문을 두드리지만 단 몇 분간 만나는 의사들은 대부분 냉랭하고 무표정하다. 심지어 무시당한다는 느낌을 받는 환자들도 많다. 그럼에도 이를 감수하는 건 아픈 사람이 약자이기 때문이다. 의사들이 존중받고자 하고 존경의 대상이 되고자 한다면 국민이 의료 현장에서 매일 맞닥뜨리는 이러한 현실을 인정한 다음 얘기를 꺼내야 한다. 환자를 위해 헌신하는 의사의 얘기에는 귀기울이지만 그렇지 않은 의사에게 냉소적인 국민들의 시각은 어느날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시스템을 만든 주역인 국민들은 기꺼이 의사들이 그 시스템의 중요한 한 축임을 인정할 용의가 있다. 하지만 국민들을 의사들의 희생 위에서 거저 먹는 존재 정도로 여기는 이들을 존중하거나 존경할 국민은 없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777 ‘밸류업’ 허위공시 막을 수단 불성실법인 지정 뿐인데... 과거 사례 보니 사실상 페널티 없어 랭크뉴스 2024.05.07
22776 “중소기업 다 죽게 생겼다”… 정부 보증 회사채 발행 금리도 7%대 껑충 랭크뉴스 2024.05.07
22775 [속보] 尹대통령, 민정수석 부활…김주현 전 법무차관 임명 랭크뉴스 2024.05.07
22774 "24세에 100만원" 이재명표 기본소득, 김동연 떨떠름한데… 랭크뉴스 2024.05.07
22773 [속보] 윤 대통령, 민정수석에 김주현 전 법무차관 임명…“민심 청취 기능” 랭크뉴스 2024.05.07
22772 신촌·이대 상권 살아날까···'신촌 유령건물' 주인 찾았다 랭크뉴스 2024.05.07
» »»»»» [여의춘추] 세계 최고 의료시스템은 누가 만들었나 랭크뉴스 2024.05.07
22770 “외벽 휘고 타일 터지고”… 신축 아파트 ‘하자’ 논란 랭크뉴스 2024.05.07
22769 검찰총장, ‘김건희 명품백’ 의혹 “법리 따라 엄정수사” 랭크뉴스 2024.05.07
22768 [속보] 중대본 “의대 증원 회의록, 관련법상 작성 의무 준수” 랭크뉴스 2024.05.07
22767 광화문광장에 태극기 ‘펄럭’…박원순 때 무산, 10년 만에 통과 랭크뉴스 2024.05.07
22766 [2보] 尹대통령, 민정수석 부활…김주현 전 법무차관 임명 랭크뉴스 2024.05.07
22765 尹대통령, 민정수석 부활…“사법리스크는 제가 풀어야” 랭크뉴스 2024.05.07
22764 윤 대통령, 민정수석 부활‥검사 출신 김주현 전 법무부 차관 내정 랭크뉴스 2024.05.07
22763 출장 중 동료 성폭행한 연구원…호텔 객실키 빼낸 치밀한 수법 랭크뉴스 2024.05.07
22762 5년만에 매출 늘어난 동네 슈퍼마켓···1인 가구에 집중 랭크뉴스 2024.05.07
22761 [속보] ‘검찰 출신’ 민정수석 기용 우려에 尹 “사법리스크 있다면 제가 풀어야” 랭크뉴스 2024.05.07
22760 "특검법 수용 촉구"‥해병대 채 상병 전우들, 윤 대통령에 공개편지 랭크뉴스 2024.05.07
22759 "얼굴 보러 온 거 아닌데"…외모 신경쓰다 경기 망친 中육상스타 랭크뉴스 2024.05.07
22758 "총선 패인은 보수 분열" 황우여에, 뒤이어 출연한 유승민 "답답" 랭크뉴스 2024.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