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지난 4일 오전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채 상병 사건’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지난 4일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중장)을 소환해 15시간가량 고강도 조사를 벌였다. 김 사령관은 해병대 수사단의 채 상병 사망 초동 조사 결과를 두고 ‘VIP(윤석열 대통령)가 격노했다’는 말을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전한 것으로 지목된 인물이다. 공수처가 대통령실 개입 의혹의 실마리를 풀 김 사령관을 조사함에 따라 향후 수사는 국방부 윗선 등 정점을 향할 것으로 보인다.

공수처 수사4부(부장검사 이대환)는 전날 김 사령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했다. 변호인 없이 조사에 임한 김 사령관은 조사 14시간 45분 만인 5일 오전 0시25분쯤 조사를 마치고 귀가했다. 김 사령관은 ‘박정훈 대령에게 VIP가 격노했다는 말을 전한 적 있느냐’ 등 취재진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김 사령관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 등과 함께 채 상병 수사 외압 사건의 핵심 피의자로 꼽힌다. 해병대 최고 지휘관인 김 사령관은 지난해 7∼8월 채 상병 사망 사건 초동 조사를 담당한 박 대령에게 외압을 가하는 데 관여한 혐의를 받는다. 당시 해병대 수사단을 이끌던 박 대령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간부 8명을 채 상병 사망 관련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하려 했는데, 김 사령관은 이첩을 보류하도록 지시했다.

김 사령관은 대통령실과 국방부 등 윗선과의 연결고리로도 지목된다. 그가 지난해 7월 해병대 수사단이 임 전 사단장에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한 초동조사 결과에 대해 “국방부에서 경찰 인계 서류에 협의자와 혐의 내용을 빼라고 한다”며 “대통령실 회의에서 VIP(대통령)가 격노하면서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됐다”고 박 대령에게 전했다는 게 박 대령의 주장이다. 김 사령관은 이첩 보류 전후로 박진희 국방부 장관 군사보좌관과 임기훈 국가안보실 비서관 등과 통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김 사령관을 상대로 ‘대통령 격노’ 발언의 진위와 이 전 장관 등 윗선으로부터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 등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최근 잇따라 핵심 피의자를 조사하며 수사 속도를 높이고 있다. 앞서 지난달 26일과 29일엔 두 차례 유재은 관리관을 조사했다. 유 관리관은 지난해 7~8월 해병대 수사단이 특정했던 채 상병 사망 사건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 8명과 관련해 ‘경찰 이첩시 혐의자 및 혐의내용을 특정하지 말라’고 지시하는 등 수사에 개입한 혐의를 받는다. 공수처는 지난 2일엔 박경훈 전 국방부 조사본부장 직무대리도 조사했다. 박 전 직무대리는 지난해 8월 국방부 검찰단이 경찰로부터 회수한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자료를 재검토한 뒤 혐의자를 2명으로 줄여 경찰에 재이첩한 조사본부의 책임자다.

공수처 수사는 향후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이 전 장관 등 국방부 윗선으로 뻗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후 유 관리관과 통화한 정황이 있는 이시원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 등 대통령실 관계자들을 조사하는 수순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채 상병 사건, ‘보이지 않는 손’의 흔적들[주간경향] ‘채 상병 특검법’이 총선 이후 윤석열 대통령에게 전달될 첫 청구서가 됐다. 국회는 지난 5월 2일 본회의를 열고 재석 의원 168명 전원 찬성으로 채 상병 특검...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405040900031

공수처, ‘채 상병 사건’ 전 국방부 조사본부장 피의자 조사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2일 박경훈 전 국방부 조사본부장 직무대리를 불러 조사하고 있다. 공수처 수사4부(부장검...https://www.khan.co.kr/national/court-law/article/202405021111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46 [속보] 바이든, 버지니아·버몬트 민주 대선 경선 승리 랭크뉴스 2024.03.06
44545 1월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 중 63.8%는 소형…'역대 최고' 랭크뉴스 2024.03.06
44544 임종석 연락 끊겨 섭섭한가 묻자…이낙연 "임이 가장 고통" 랭크뉴스 2024.03.06
44543 2월 소비자물가 3.1%‥한 달 만에 다시 3%대 랭크뉴스 2024.03.06
44542 직장인 과반수 작년 이직 시도…현대차·삼성전자 관심 多 랭크뉴스 2024.03.06
44541 ‘대선후보 양자대결’ 한동훈·이재명 3%p 차 ‘박빙’ 랭크뉴스 2024.03.06
44540 "조용히 좀" 파리 행사장서 정색…한소희 태도 논란,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3.06
44539 외국인·기관 쌍끌이 매도에…코스피, 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4.03.06
44538 조물주 위에 건물주‥평균 임대 8채, 수입은 연 1억 8천만 원 랭크뉴스 2024.03.06
44537 [속보] 트럼프, 노스 캐롤라이나 공화 대선 경선 승리 랭크뉴스 2024.03.06
44536 [특징주] 알테오젠, HLB제쳤다…코스닥 바이오 대장주 등극 랭크뉴스 2024.03.06
44535 이번에 갈아타볼까?...통신사 옮기면 최대 50만원 준다 랭크뉴스 2024.03.06
44534 홍영표, 오늘 탈당…"민주당, 총선서 참패할 가능성 커" 랭크뉴스 2024.03.06
44533 직장인 10명 중 9명 "한파·폭염에 기후위기 심각성 체감" 랭크뉴스 2024.03.06
44532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3.1%…신선과실 41.2%↑ 랭크뉴스 2024.03.06
44531 과일값 32년여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2월 물가 다시 3%대 뛰어 랭크뉴스 2024.03.06
44530 내일 총선이라면…국힘 33%, 민주 26%, 윤 대통령 지지율은? 랭크뉴스 2024.03.06
44529 [이동훈 칼럼] 칩워 이기려면 전두환이라도 소환해야 하나 랭크뉴스 2024.03.06
44528 어종 5분의 1 멸종 위기 처한 메콩강… 이유는 중국 건설 댐? 난개발? 랭크뉴스 2024.03.06
44527 중국 앱 ‘알리·테무·쉬인’에 고객 몰린다…사용자 역대 최대치 랭크뉴스 2024.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