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헌재 기후소송’ 참여 12세 한제아·9세 정두리양 인터뷰
정두리양(9)이 이른바 ‘기후소송’의 헌법재판소 공개변론날이었던 지난달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기자회견에서 손팻말을 들고 있다. 정효진 기자


지난달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는 첫 기후 소송 공개 변론이 열렸다. “국가가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했다”는 정부 주장을 두고 헌법소원 청구인들은 “탄소중립기본법 상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불충분해 생명권, 환경권, 세대 간 평등권 등을 침해해 위헌”이라고 반박해왔다.

헌재 어른 방청인들 사이에서 어린이들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헌재 소송의 청구 당사자이면서 방청인으로 참석했다. 어린이날을 앞둔 지난 4일 방청에 참여한 한제아양(12)과 정두리양(9)을 만났다. 이들은 “달랑 선물 하나 주고 어린이를 위한다고 하지 말라”며 “우리를 위해서 할 수 있는 가장 큰 일은 기후를 지키는 일”이라고 말했다.

우선 어린이들은 정부 측이 ‘온실가스 감축’을 미래로 떠넘긴다고 말했다. 국제 기후변화 독립 연구기관인 기후행동추적(Climate Action Tracker)은 한국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로 정한 수준으로 세계가 온실가스를 줄인다면 지구 평균 기온이 3~4도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도로 제한하기로 한 파리협약의 목표를 한참 넘긴다. 한 양은 “지금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데도 줄이지 않으면 남은 탄소는 우리가 떠맡아야 한다”며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지구를 막 쓴 어른들이 무책임하다”고 말했다. 한 양은 오는 21일 헌재 2차 공개 변론에서 발언할 예정이다.

이들은 공개 변론에서 정부 측 발언에 놀랐다고 입을 모았다. 정정미 헌재 재판관이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 감축을 달성할 것에 대해 낙관적으로 예상하는가”라고 질문하자 정부 측 변호인이 “낙관적으로 보냐고 묻는다면 답하기 어렵다”고 말한 것이 대표적이다. 한 양은 “어이가 없었다”며 “목표를 더 높게 잡아야 현재 목표라도 달성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정 양도 “이 정도로는 지구가 깨끗하고 평화로워질 수 없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해 4월 발표했던 제1차 국가탄소중립기본계획은 현 정부 임기 내인 2023~2027년에는 약 5000만t, 다음 정부 시기에는 3년 만에 약 1억5000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연도별 감축 계획을 골자로 한다. 참고인으로 공개 변론에서 발언했던 조천호 전 국립기상과학원장은 “성적이 안 좋은 학생이 매일 공부해서 10~20점 올리는 건 쉽지만 90점이 된 뒤에 1~2점 올리는 건 어렵다”며 “처음에 많이 줄이고 뒤에 가서 천천히 줄이는 형태는 국제사회의 권고이면서 상식”이라고 말했다. 한 양도 “버리기 쉬운 쓰레기부터 빠르게 버려야 나중에 분리 배출해야 하는 쓰레기도 버릴 시간이 있다”고 말했다.

한제아양(12)이 지난해 9월 기후정의행진에 참여해 손팻말을 들고 있다. 한제아양 보호자 제공


한 양은 두 살배기 사촌 동생이, 정 양은 아직 태어나지 않은 사촌 동생이 있다. 두 어린이는 동생들이 겪을 미래에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정부가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해서 함께 위험한 미래에 놓일까 봐 두려움도 크다. 지난해 9월 가동을 앞둔 신규 석탄발전소가 있는 강원 삼척시를 찾았던 정 양은 눈물을 참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정 양은 “석탄발전소가 운영되면 온실가스가 나오고 가스가 지구를 둘러싸면 뜨거워진다”며 “발전소를 못 막을 것 같고 두려워서 울었다”고 말했다. 한 양은 “4월에 기온이 30도를 넘는 날이 있어서 너무 심각하다고 생각했다”며 “아직 아무것도 모르는 사촌 동생이 자랐을 때는 지구가 더 뜨거워져서 수많은 동물이 죽고, 더워서 죽는 아이들도 생길 수 있다”고 걱정했다.

헌재 공개 변론을 찾았던 수많은 방청객은 어린이들에게 희망으로 다가왔다. 공개 변론 당일 헌재 심판정에는 104석 규모의 방청석이 예약 신청으로 가득 찼다. 실시간 중계방송을 볼 수 있는 방청석도 40석 규모로 마련됐다. 한 양이 본 기사들에서 “기후위기 문제를 나중에 해결하자”고 댓글을 단 사람들이 많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한 양과 정 양은 기자회견에 나섰을 때도 어른들이 ‘저게 뭐냐’며 이상한 표정을 짓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한 양은 “우리의 미래를 지키자는 사람들이 이렇게나 많다는 것을 봐서 힘이 됐다”며 “(일부 어른들이)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들이 나와서 기후위기를 이야기한다’는 댓글을 달 시간에 어른들이 온실가스를 줄이라는 요구를 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 양도 “평소에는 주위 사람들이 별로 관심이 없는 것 같았다”며 “헌재에서 우리가 진다면 복권을 날린 기분일 것 같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388 "주가 빠지는데..." 빚투 20兆 육박…삼성전자에만 6800억원 몰려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87 서울 음식점, 올해 ‘8곳 중 하나’ 문 닫는다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86 국민의힘·민주당, 오늘 2+2 회동‥22대 국회 원구성 협상 재개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85 종부세 개편 작업 시동 거는 정부… ‘다주택자 중과세’ 손볼 듯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84 ‘프롬 코리아’는 못 참지...해외는 지금 ‘K-프랜차이즈’ 열풍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83 윤, 훈련병 영결식 날 술자리…이재명 “진정한 보수라면 이럴 수 있나”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82 북, 오물풍선 어제부터 600개 또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81 여기 살아서 행복해?…청년은 왜 지역을 떠날까? [창+]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80 韓핵잠수함 도입론, 美는 열띤 논쟁…韓은 대통령실이 반대[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79 [속보] 합참 "북,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또 살포"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78 [속보] 합참 "北,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또 살포"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77 현대차·기아,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카 글로벌 판매량 모두 상위권 포진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76 마트·편의점 치킨 판매량 급증... ‘배달치킨 3만원 시대’ 여파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75 창어 6호 달 착륙 성공, 48시간 동안 인류 최초 달 뒷면 샘플 채취 시도(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74 팬덤에 기반한 당원 주권 정당, 대선 승리에 도움 될까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73 北이 날린 '오물 풍선', 서울·경기서 90여개 발견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72 '8만전자' 물린 개미들 어쩌나…빚투 20兆 육박 [선데이 머니카페]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71 “비트코인, 안전자산 맞는거야?”...하룻밤 새 4200억원 털렸다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70 인천서 대남 오물 풍선 신고 잇따라 접수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69 네이버 노조, 라인 계열 노조와 교섭창구 단일화 추진 new 랭크뉴스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