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맙다고 말해주는 환자 한마디가 큰힘"


'의사도 사람입니다'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전국의 의대 교수들이 의료공백 장기화로 한계를 호소하는 가운데 이번 주부터 '빅5'로 불리는 서울시내 대형병원 다섯 곳에 소속된 교수들이 일제히 주 1회 휴진한다.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은 화요일인 이달 30일, 서울아산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은 금요일인 내달 3일에 각각 휴진한다. 사진은 지난 29일 오후 서울 한 대형병원에 붙은 교수협의회 입장문. 2024.4.29 [email protected]


(진주=연합뉴스) 박정헌 기자 = "교수 중 병원을 떠난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의료현장을 지켜야 하는 책임감에 떠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른 분들도 꼭 알아줬으면 합니다."

"의사가 이기적이고 나쁜 사람으로 몰릴 때마다 상실감을 느끼지만 '고맙다. 고생한다'고 말해주는 환자들의 말 한마디 때문에 힘을 냅니다."

경남 한 종합병원 내과에서 근무 중인 A 교수는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에 돌입한 이후 석 달째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

이번 사태 이후 흔히 필수의료라 말하는 내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이 더 큰 타격을 입었다.

다른 과에 비해 입원환자가 많고 뒤로 미룰 수 없는 수술이 많아 일을 손에서 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초창기만 하더라도 전공의들이 모두 빠져나간 공백을 남은 교수진이 분담해서 맡는다는 게 크게 부담되지 않았다.

그동안 설 일이 없던 당직에 투입돼 밤을 새운 뒤 날이 밝으면 일과가 끝날 때까지 외래환자 진료를 하더라도 조만간 이번 사태가 마무리될 거라는 믿음이 있었다.

그러나 시간만 속절없이 흐르며 A 교수와 동료들은 점점 지치기 시작했다.

40∼60대 교수들이 오후 8시부터 12시간 당직을 선 뒤 곧바로 당일 오후 6시까지 수술과 진료를 한다는 게 말처럼 쉽지 않았다.

원칙대로라면 당직 다음 날은 하루 쉬어야 했으나 밀릴 대로 밀린 외래환자 예약을 두 눈 뜨고 지켜볼 수만은 없었다.

당직을 설 때라도 쉬면 다행이지만 응급 호출부터 갑자기 열이 오른 입원환자에게 해열제를 처방하는 등 자잘한 일까지 도맡으니 날이 갈수록 심신만 지칠 뿐이었다.

경상대병원 진료 지연 안내
[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런 와중에 뉴스 등에서 이번 사태의 원인이 탐욕스러운 의사들에게 있다는 소식을 접할 때면 박탈감만 느꼈다.

'의사는 사람을 살리는 직업'이라는 자부심에 내과를 선택한 A 교수였다.

버는 돈은 개원의만 못하더라도 좋아하는 연구를 하며 환자 생명을 살리는 '진짜 의사'라는 생각으로 살아온 그였다.

그러나 이번 사태 뒤 동료 교수들과 만날 때면 '우리 자식이 의대에 가면 절대 필수의료과에 보내지 않을 거다', '이번 사태로 필수의료과만 고생한다는 게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는 푸념을 주고받는다.

A 교수는 "동료들 생각도 이제는 지칠 대로 지쳐 끝까지 가야 한다는 의견과 뭐라도 좋으니 빨리 결론이 났으면 좋겠다는 의견으로 갈리고 있다"며 "차라리 전공의 사표라도 수리되면 이들이 일반의로 병원에 재취업해 일손을 거들 수 있다는 생각까지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밖에서 피부 미용하며 큰돈 버는 의사들은 아무 타격 없는데 왜 안에서 묵묵히 일하던 우리가 이런 지경에 처해야 하나 모르겠다"며 "그런데도 진짜 환자들 곁을 떠나는 교수들은 아무도 없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의료진 피로 누적과 함께 전공의 공백으로 인한 병원 경영 상황도 악화하고 있다.

경상국립대병원에 따르면 이번 사태가 발발한 2월 중순부터 3월 말까지 일일 외래환자 수는 2천181명으로 기존 2천371명과 비교해 8% 줄었다.

상황은 더 나빠져 4월 한 달 동안 일일 외래환자 수는 1천991명으로 기존보다 16% 감소했다.

병상 가동률도 기존 74%에서 3월 말까지 54%, 4월 한 달간 51%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830 1·2·3심 모두 무죄…적폐몰이에 자원안보 생태계 무너졌다 [강천구가 소리내다] 랭크뉴스 2024.05.08
22829 [바로간다] 학교 매점이 '스크린 골프장'으로‥"골프와 물리의 융합"? 랭크뉴스 2024.05.08
22828 월급은 그대로… 3% 인플레에도 한국인들 ‘극한 고통’ 랭크뉴스 2024.05.08
22827 마크롱, 유년 추억 어린 피레네 산골마을에 시진핑 초대 랭크뉴스 2024.05.08
22826 의대생이 강남역 근처 옥상서 여자친구 흉기살해…영장 신청(종합) 랭크뉴스 2024.05.08
22825 "전국노래자랑 시청률 올랐단 말보다…" 남희석이 듣고 싶은 칭찬 랭크뉴스 2024.05.07
22824 황정민 "큰 용기 필요했다" 눈물…백상 대상 거머쥔 '서울의 봄' 랭크뉴스 2024.05.07
22823 [단독] 현장에 없었다?‥"현장 작전지도 몸소 실천" 랭크뉴스 2024.05.07
22822 ‘반찬 2개’ 중학교 부실급식 논란…조리원 구인난이 문제 랭크뉴스 2024.05.07
22821 여야 끝내 이견 못 좁히고…'빈손'으로 막내린 연금특위 랭크뉴스 2024.05.07
22820 의대배정 ‘오락가락’ 해명…입시혼란 키우는 교육부 [현장에서] 랭크뉴스 2024.05.07
22819 마을이 통째로 호텔이 됐다…‘남해독일마을’의 깜짝 변신 랭크뉴스 2024.05.07
22818 [단독] 여자친구 살해 20대…수능만점 의대 재학생 랭크뉴스 2024.05.07
22817 임성근, 현장 지휘관에 책임 회피 "난 물에 들어가지 말라했다" 랭크뉴스 2024.05.07
22816 강남역 인근 옥상서 여친 살해…수능 만점 의대생이 범인이었다 랭크뉴스 2024.05.07
22815 결혼하다 갑자기 오열…중국인 신랑 속사정에 쏟아진 응원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07
22814 “돈 주면 입 다물게” 롤스로이스男 등 협박해 5억 뜯어낸 30만 유튜버 랭크뉴스 2024.05.07
22813 “러 지시로 젤렌스키 암살하려 한 우크라 방위국 요원 체포” 랭크뉴스 2024.05.07
22812 국민연금 개혁, 결국 22대 국회로…소득대체율 2%p 이견 못 좁혀 랭크뉴스 2024.05.07
22811 부산대, ‘의대 증원’ 학칙 개정안 부결… “사회적 합의 선행돼야” 랭크뉴스 2024.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