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맙다고 말해주는 환자 한마디가 큰힘"


'의사도 사람입니다'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전국의 의대 교수들이 의료공백 장기화로 한계를 호소하는 가운데 이번 주부터 '빅5'로 불리는 서울시내 대형병원 다섯 곳에 소속된 교수들이 일제히 주 1회 휴진한다.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은 화요일인 이달 30일, 서울아산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은 금요일인 내달 3일에 각각 휴진한다. 사진은 지난 29일 오후 서울 한 대형병원에 붙은 교수협의회 입장문. 2024.4.29 [email protected]


(진주=연합뉴스) 박정헌 기자 = "교수 중 병원을 떠난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의료현장을 지켜야 하는 책임감에 떠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른 분들도 꼭 알아줬으면 합니다."

"의사가 이기적이고 나쁜 사람으로 몰릴 때마다 상실감을 느끼지만 '고맙다. 고생한다'고 말해주는 환자들의 말 한마디 때문에 힘을 냅니다."

경남 한 종합병원 내과에서 근무 중인 A 교수는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에 돌입한 이후 석 달째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

이번 사태 이후 흔히 필수의료라 말하는 내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이 더 큰 타격을 입었다.

다른 과에 비해 입원환자가 많고 뒤로 미룰 수 없는 수술이 많아 일을 손에서 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초창기만 하더라도 전공의들이 모두 빠져나간 공백을 남은 교수진이 분담해서 맡는다는 게 크게 부담되지 않았다.

그동안 설 일이 없던 당직에 투입돼 밤을 새운 뒤 날이 밝으면 일과가 끝날 때까지 외래환자 진료를 하더라도 조만간 이번 사태가 마무리될 거라는 믿음이 있었다.

그러나 시간만 속절없이 흐르며 A 교수와 동료들은 점점 지치기 시작했다.

40∼60대 교수들이 오후 8시부터 12시간 당직을 선 뒤 곧바로 당일 오후 6시까지 수술과 진료를 한다는 게 말처럼 쉽지 않았다.

원칙대로라면 당직 다음 날은 하루 쉬어야 했으나 밀릴 대로 밀린 외래환자 예약을 두 눈 뜨고 지켜볼 수만은 없었다.

당직을 설 때라도 쉬면 다행이지만 응급 호출부터 갑자기 열이 오른 입원환자에게 해열제를 처방하는 등 자잘한 일까지 도맡으니 날이 갈수록 심신만 지칠 뿐이었다.

경상대병원 진료 지연 안내
[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런 와중에 뉴스 등에서 이번 사태의 원인이 탐욕스러운 의사들에게 있다는 소식을 접할 때면 박탈감만 느꼈다.

'의사는 사람을 살리는 직업'이라는 자부심에 내과를 선택한 A 교수였다.

버는 돈은 개원의만 못하더라도 좋아하는 연구를 하며 환자 생명을 살리는 '진짜 의사'라는 생각으로 살아온 그였다.

그러나 이번 사태 뒤 동료 교수들과 만날 때면 '우리 자식이 의대에 가면 절대 필수의료과에 보내지 않을 거다', '이번 사태로 필수의료과만 고생한다는 게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는 푸념을 주고받는다.

A 교수는 "동료들 생각도 이제는 지칠 대로 지쳐 끝까지 가야 한다는 의견과 뭐라도 좋으니 빨리 결론이 났으면 좋겠다는 의견으로 갈리고 있다"며 "차라리 전공의 사표라도 수리되면 이들이 일반의로 병원에 재취업해 일손을 거들 수 있다는 생각까지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밖에서 피부 미용하며 큰돈 버는 의사들은 아무 타격 없는데 왜 안에서 묵묵히 일하던 우리가 이런 지경에 처해야 하나 모르겠다"며 "그런데도 진짜 환자들 곁을 떠나는 교수들은 아무도 없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의료진 피로 누적과 함께 전공의 공백으로 인한 병원 경영 상황도 악화하고 있다.

경상국립대병원에 따르면 이번 사태가 발발한 2월 중순부터 3월 말까지 일일 외래환자 수는 2천181명으로 기존 2천371명과 비교해 8% 줄었다.

상황은 더 나빠져 4월 한 달 동안 일일 외래환자 수는 1천991명으로 기존보다 16% 감소했다.

병상 가동률도 기존 74%에서 3월 말까지 54%, 4월 한 달간 51%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700 LA서 40대 한인 남성 경찰 총격에 사망…경찰 과잉진압 의혹 랭크뉴스 2024.05.05
21699 민희진이 쓴 계획적 혼돈이라는 전략에 대하여[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4.05.05
» »»»»» "당직 서고 곧바로 외래진료 투입"…필수의료 전공 의사들 랭크뉴스 2024.05.05
21697 어린이손님에 '부모님이나 데리고 와'…"일상속 차별 너무 많죠" 랭크뉴스 2024.05.05
21696 “저 어묵국물 좀” 입맛도 가지각색…회장님의 ‘또 간 집’ 랭크뉴스 2024.05.05
21695 "어? 비 오네!" 망연자실한 부모들을 위한 '어린이날 긴급 처방전' 랭크뉴스 2024.05.05
21694 ‘5년 생존율 15.9%’ 췌장암, 가족력 2명만 있어도 발병 위험 18배 랭크뉴스 2024.05.05
21693 또 싸우셨나요? 결혼 위기에 도움주는 구절 7가지 랭크뉴스 2024.05.05
21692 ‘워런 버핏-찰리 멍거’ 이후 버크셔의 리더는?... ‘후계자’에 쏠리는 관심 랭크뉴스 2024.05.05
21691 이번엔 '정부24'에서 오류... 다른 사람 서류가 발급됐다 랭크뉴스 2024.05.05
21690 어린이날, 전국 비…곳곳 강한 비바람 [7시 날씨] 랭크뉴스 2024.05.05
21689 '택시 총량제' 보라…의대 증원, 대학이 선택해야 하는 이유 랭크뉴스 2024.05.05
21688 국가인권위원장 “아동인권 구현하는 학생인권조례 폐지 유감”···어린이날 성명 랭크뉴스 2024.05.05
21687 반포서도, 잠실서도 새 '커뮤니티' 바람분다 랭크뉴스 2024.05.05
21686 공수처,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 김계환 사령관 14시간 조사 랭크뉴스 2024.05.05
21685 "가정까지 파괴"…'이것' 활개에 범정부 집중홍보 랭크뉴스 2024.05.05
21684 ‘하수관 속 알몸 시신’ 전말…발작으로 응급실 갔다가 실종 랭크뉴스 2024.05.05
21683 국내선 지갑 닫았다는데 ‘GDP깜짝’ 성장…'찜찜한' 경기반등[송종호의 쏙쏙통계] 랭크뉴스 2024.05.05
21682 "뛰다 차에 치일 뻔"... 안전 뒷전인 '돈벌이' 마라톤 대회 랭크뉴스 2024.05.05
21681 이번 주 '김여사 명품가방 의혹' 고발인 조사 통보 랭크뉴스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