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3월 5일 중국 해양경비대 선박이 남중국해에서 필리핀 해경 선박을 향해 물대포를 발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이 남중국해에서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부유(浮游)식 해상 원전 계획에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실제 건설까지 앞으로 수년이 걸린다고 해도 완성될 경우 역내 군사적 긴장을 더 높일 수 있어서다.

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퇴임이 예정된 존 아퀼리노 미군 인도태평양 사령관과 복수의 국방 당국자를 인용해 중국이 수십 년에 걸쳐 연구 개발한 해상 부유 원전 건설 계획이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현까지는 여전히 수년이 소요할 예정이지만 실제 완성된다면 남중국해 긴장 국면 상황에서 매우 우려스럽다는 것이 미군 관계자들의 평가다.

아퀼리노 사령관은 “중국의 부유식 원전 사용은 역내 모든 나라에 잠재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중국 관영 언론은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군사적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이를 사용하겠다는 입장을 공공연히 보도해 왔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은 국제법에 근거가 없으며 전체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 국방 당국자도 WP에 “중국이 해상 원전 배치에 가까워질수록 그들이 이를 미국의 국가 안보 및 역내 광범위한 안보에 반해 사용할 것이라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10년 해상 부유식 원전 건설 구상에 착수, 2016년에는 20기의 원전을 남중국해에 배치해 상업적 석유 시추 등에 이용하는 방안을 공개했다. 미국 등은 중국의 이런 시도가 남중국해 영유권 강화에 사용될 것이라고 우려해왔다.

신재민 기자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영유권 다툼을 벌이고 있다. U자 형태로 10개 선(10단선)을 긋고 이 안의 약 90% 영역이 자국 영해라고 주장 중이다. 암초 등에 인공섬을 건설해 여기에 미사일 포대와 활주로, 레이더 기지 등을 설치해 놓고 있다. 최근엔 해양경비대 선박이 필리핀 해경선에 물대포 공격을 빈번히 가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등 군사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

지난해 5월엔 중국 규제 당국이 안보 위협과 안전 우려 등을 들어 남중국해 해상 원전 건립 계획을 보류했다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실제론 중국이 계속해서 남중국해 해상원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본다. 당시 상업 목적보다는 군사용 해상 원전을 건설, 남중국해에서 군사 작전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구체화했다는 게 미 당국의 추정이다.

중국 당국은 이러한 목표를 관영언론을 통해 드러내기도 했다. 중국 환구시보는 2016년 “전투기와 미사일을 갖춘 남중국해 각 섬과 암초는 향후 건설될 20기의 부유 원전과 결합해 사실상의 핵추진 항공모함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이렇게 되면 미국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을 들여 미국의 항공모함에 군사적 우위를 가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가 만든 세계 최초의 부유식 해상 원자력발전소 ‘아카데믹 로모노소프호’(오른쪽)가 지난 2018년 5월 덴마크 남부 랑엘란섬 앞바다를 지나가고 있다. [EPA]
더 큰 문제는 해상 부유식 원전의 안전성에 대해서 아직 국제적 기준이 없고 검증된 적도 없다는 점이다. 현재 해상에 부유식 원전을 건설해 가동 중인 나라는 러시아가 유일하다.

미 싱크탱크 신미국안보센터의 토마스 슈가트 선임 연구원은 “부유식 원자로는 정박 후 즉시 정지해 항구에서 낮은 수준으로 작동하는 미 핵잠수함과 달리 항상 높은 수준에서 작동해 훨씬 위험하다”고 말했다. WP는 “일부 전문가들은 해상 원전은 육상 원전보다 취약성이 커 사고가 발생할 경우 방사성 오염물질을 바다로 그대로 방출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고 전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434 “의대 증원 회의록 없다” 장·차관 또 고발 랭크뉴스 2024.05.07
22433 “바이든, 역대 최저 지지율에도 트럼프와는 박빙” 랭크뉴스 2024.05.07
22432 ‘영웅’만 부각시킨 죽음: 소방관은 왜 돌아오지 못했나[프롤로그] 랭크뉴스 2024.05.07
22431 이젠 떡볶이 주문도 '벌벌'‥고공행진 외식물가 랭크뉴스 2024.05.07
22430 “휴전안 수용” “라파 작전 계속”…미국은 지상전 반대 랭크뉴스 2024.05.07
22429 “전세계약 종료 연락 받았어요”… 전셋값 급등에 임대차법 4년차 덮친다 랭크뉴스 2024.05.07
22428 청담동 한복판 새벽 4시부터 ‘쾅쾅’… 과태료 11번 맞아도 막무가내 공사 랭크뉴스 2024.05.07
22427 성심당 서울 오는데…"죄송, 안 팝니다" 입맛 다시는 이유 랭크뉴스 2024.05.07
22426 미 컬럼비아대 졸업식 취소…하버드·MIT는 시위 해산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4.05.07
22425 모레 2주년 '회견'‥김여사·채상병 답변은? 랭크뉴스 2024.05.07
22424 "서울 근무 중 첫사랑과 재혼…이렇게 좋은 한국, 딱 하나 아쉬워" [시크릿 대사관] 랭크뉴스 2024.05.07
22423 공무원 등 특수직역연금 평균수급액, 국민연금보다 5.5배 많아 랭크뉴스 2024.05.07
22422 “외벽 휘고 타일은 수평도 안 맞아”… 신축 ‘하자’ 논란 랭크뉴스 2024.05.07
22421 차기 당대표 변수, 한동안은 한동훈 랭크뉴스 2024.05.07
22420 ‘세 번째 가석방 심사’ 받는 윤석열 대통령 장모, 5월 심사서 풀려날까 랭크뉴스 2024.05.07
22419 채상병 특검법·김 여사 의혹·의대 증원… 尹, 주제 제한 없이 터놓고 질의응답한다 랭크뉴스 2024.05.07
22418 "짜고치기"? "용산-검찰 갈라서나"?‥예의 주시 랭크뉴스 2024.05.07
22417 한국계 우일연 작가, 美 최고 권위 퓰리처상 수상 랭크뉴스 2024.05.07
22416 [사설] 600일 만의 대통령 기자회견…전향적 변화 보이길 랭크뉴스 2024.05.07
22415 총선 책임론? 되레 지지자 두 배 늘어난 한동훈, 당권 도전 수순 밟나 랭크뉴스 2024.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