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3월 5일 중국 해양경비대 선박이 남중국해에서 필리핀 해경 선박을 향해 물대포를 발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이 남중국해에서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부유(浮游)식 해상 원전 계획에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실제 건설까지 앞으로 수년이 걸린다고 해도 완성될 경우 역내 군사적 긴장을 더 높일 수 있어서다.

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퇴임이 예정된 존 아퀼리노 미군 인도태평양 사령관과 복수의 국방 당국자를 인용해 중국이 수십 년에 걸쳐 연구 개발한 해상 부유 원전 건설 계획이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현까지는 여전히 수년이 소요할 예정이지만 실제 완성된다면 남중국해 긴장 국면 상황에서 매우 우려스럽다는 것이 미군 관계자들의 평가다.

아퀼리노 사령관은 “중국의 부유식 원전 사용은 역내 모든 나라에 잠재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중국 관영 언론은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군사적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이를 사용하겠다는 입장을 공공연히 보도해 왔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은 국제법에 근거가 없으며 전체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 국방 당국자도 WP에 “중국이 해상 원전 배치에 가까워질수록 그들이 이를 미국의 국가 안보 및 역내 광범위한 안보에 반해 사용할 것이라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10년 해상 부유식 원전 건설 구상에 착수, 2016년에는 20기의 원전을 남중국해에 배치해 상업적 석유 시추 등에 이용하는 방안을 공개했다. 미국 등은 중국의 이런 시도가 남중국해 영유권 강화에 사용될 것이라고 우려해왔다.

신재민 기자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영유권 다툼을 벌이고 있다. U자 형태로 10개 선(10단선)을 긋고 이 안의 약 90% 영역이 자국 영해라고 주장 중이다. 암초 등에 인공섬을 건설해 여기에 미사일 포대와 활주로, 레이더 기지 등을 설치해 놓고 있다. 최근엔 해양경비대 선박이 필리핀 해경선에 물대포 공격을 빈번히 가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등 군사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

지난해 5월엔 중국 규제 당국이 안보 위협과 안전 우려 등을 들어 남중국해 해상 원전 건립 계획을 보류했다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실제론 중국이 계속해서 남중국해 해상원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본다. 당시 상업 목적보다는 군사용 해상 원전을 건설, 남중국해에서 군사 작전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구체화했다는 게 미 당국의 추정이다.

중국 당국은 이러한 목표를 관영언론을 통해 드러내기도 했다. 중국 환구시보는 2016년 “전투기와 미사일을 갖춘 남중국해 각 섬과 암초는 향후 건설될 20기의 부유 원전과 결합해 사실상의 핵추진 항공모함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이렇게 되면 미국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을 들여 미국의 항공모함에 군사적 우위를 가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가 만든 세계 최초의 부유식 해상 원자력발전소 ‘아카데믹 로모노소프호’(오른쪽)가 지난 2018년 5월 덴마크 남부 랑엘란섬 앞바다를 지나가고 있다. [EPA]
더 큰 문제는 해상 부유식 원전의 안전성에 대해서 아직 국제적 기준이 없고 검증된 적도 없다는 점이다. 현재 해상에 부유식 원전을 건설해 가동 중인 나라는 러시아가 유일하다.

미 싱크탱크 신미국안보센터의 토마스 슈가트 선임 연구원은 “부유식 원자로는 정박 후 즉시 정지해 항구에서 낮은 수준으로 작동하는 미 핵잠수함과 달리 항상 높은 수준에서 작동해 훨씬 위험하다”고 말했다. WP는 “일부 전문가들은 해상 원전은 육상 원전보다 취약성이 커 사고가 발생할 경우 방사성 오염물질을 바다로 그대로 방출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고 전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455 “계단·주차장 짐 한가득”…한국살이 中이웃 만행 고발 랭크뉴스 2024.05.07
22454 세상에 홀로 나간지 8년…27세 예나씨의 쓸쓸한 죽음 [소외된 자립청년] 랭크뉴스 2024.05.07
22453 “교도소 밥이 낫겠다”…중학교 급식 두고 맘카페 발칵 랭크뉴스 2024.05.07
22452 "'아동 연상' 음란물 전시" 신고에 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4.05.07
22451 '접촉사고 후 차에서 담금주 마셨다'는 공무원…거짓들통나 유죄 랭크뉴스 2024.05.07
22450 한국 근무 막 마친 미군 부사관, 러 체류 중 범죄혐의로 구금돼(종합2보) 랭크뉴스 2024.05.07
22449 "드론 배송 시대, 오긴 오나요"... 안전·소음·비용 '현실의 벽' 넘을 수 있나 랭크뉴스 2024.05.07
22448 나경원 "용산 대통령 따로, 여의도 대통령 따로 있는 정국" 랭크뉴스 2024.05.07
22447 '마스터키' 빼앗은 괴한‥보안 차량 동선 노출 랭크뉴스 2024.05.07
22446 ‘채상병 특검’ ‘명품백 수사’... 격랑 속 대통령 ‘입’에 쏠린 시선 랭크뉴스 2024.05.07
22445 공정 아닌 특권, 상식 아닌 이념…윤 정부 2년의 공허함 바뀔까 랭크뉴스 2024.05.07
22444 김 여사 명품백 수사 시작…법조계 “처벌 가능성 낮아” 왜? 랭크뉴스 2024.05.07
22443 국민연금, 200만원 이상 고액 수급자 1년새 2배 급증 랭크뉴스 2024.05.07
22442 고장난 ‘윤석열 GPS 외교’…국익 대신 미·일만 보고 표류 랭크뉴스 2024.05.07
22441 약초 씹어 상처에 쓱쓱…스스로 치료하는 오랑우탄 첫 발견 [잇슈 SNS] 랭크뉴스 2024.05.07
22440 한국형 점도표 확대 가능할까… 버냉키는 “英에도 권고 안한다” 의견 랭크뉴스 2024.05.07
22439 청년은 왜 팔레스타인 편이 됐나…바이든의 ‘중동의 늪’ [이정민의 워싱턴정치K] 랭크뉴스 2024.05.07
22438 뉴욕증시, 연준 금리인하 시작 기대감에 나스닥 1.19%↑ 마감 랭크뉴스 2024.05.07
22437 [단독] 尹 "총리 추천해달라, 부부동반 만나자"... 유화 제스처에도 李 "위기모면용은 안돼"[영수회담 막전막후] 랭크뉴스 2024.05.07
22436 푸틴, 취임 하루 전 전술핵 훈련 명령…미국 “무책임” 랭크뉴스 2024.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