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혐오에 꺾이는 학생인권조례

랭크뉴스 2024.05.04 00:22 조회 수 : 0

다음주의 질문
서울시의회가 서울시 학생인권조례 폐지안의 본회의 상정을 의결한 지난달 26일 서울 세종대로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시의회 의원들이 입장하는 동안 ‘학생인권법과 청소년 인권을 위한 청소년-시민 전국행동’ 활동가 등이 학생인권조례 폐지 시도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email protected]

“서울특별시 학생인권 조례를 폐지한다.” 국민의힘 소속 서울시의원들이 지난달 26일 통과시킨 ‘서울특별시 학생인권조례 폐지조례안’ 본문 글자 수는 이 열여섯글자가 전부다. 서울시민 9만7702명(유효 서명 기준)이 참여해 최초로 주민발의 형식으로 제정된 서울학생인권조례가, 국민의힘 서울시의원 60명에 의해 12년 만에 폐지됐다. 폐지조례안이 통과되자 서울시의회 밖에서 “동성애, 성전환, 낙태 등을 옹호하는 학생인권조례 폐지하라”는 내용의 팻말을 들고 있던 사람들이 환호했다.

학생인권조례를 제정한 전국 7개 광역시도(경기·광주·서울·전북·충남·제주·인천) 중 지난달 24일 충남을 시작으로 서울에서 두번째로 학생인권조례 폐지조례안이 가결됐다. 이를 강행한 국민의힘 소속 충남도·서울시 의원들은 “최근 일선 교육 현장에서 교권 추락의 주된 원인으로 학생인권조례가 지목되고 있다”며 “학생 인권만 과도하게 강조함으로써 사회적 갈등을 유발한다”고 했다.

하지만 이런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학생인권조례가 있는 광역시도의 교원 100명당 교육활동 침해 건수(2017년 0.59건→2019년 0.61건→2021년 0.51건)보다 학생인권조례가 없는 광역시도 사례(2017년 0.61건→2019년 0.62건→2021년 0.54건)가 조금 더 많다.(한겨레 2023년 7월26일치 1면 보도) 교권 침해는 학생인권조례와 무관한 것이다.

지난해 서울 서초구 초등학교 교사 사망사건으로 교권 침해 논란이 불거지기 전부터 극우·보수 기독교 진영은 학생인권조례 폐지를 줄곧 주장했다. 학생인권조례가 동성애를 조장하고 임신과 출산 등 문란한 성생활을 조장한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이 여기에 동조하며 폐지를 실행에 옮겼다. 하지만 이는 성소수자 혐오를 드러냄과 동시에 학생인권조례 내용을 의도적으로 왜곡한 주장이다.

최근 국가인권위원회는 ‘학생인권조례, 오해 넘어 이해로’라는 제목의 책자를 발간했다. 인권위는 다음과 같이 반박했다.

“학생인권조례가 학생의 임신과 출산을 장려하거나 권장하지는 않지만, 어떤 이유로든 학생이 임신과 출산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면 그로 인해 퇴학 등 교육 기회가 박탈되거나 혐오 및 폭력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필요는 있다. 학생인권조례는 차별금지 조항을 통해 합리적인 사유 없이 학생을 차별하지 않도록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동성애를 조장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인권위 입장은 단호했다.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허위 주장에 가깝다. 학생인권조례는 특정 성적지향이나 성별정체성을 장려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의 주류적 경향과 다른 성적지향을 가진 개인, 생물학적 성별과 다른 정체성을 가진 사람이 우리 사회에 존재한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학생인권조례는 이들 또한 우리 헌법이 보장하는 평등권의 동등한 주체라는 점을 인정하고, 차별하지 않도록 교육하려는 것이다.”

가뜩이나 윤석열 정부가 ‘성소수자’ 용어를 삭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확정했는데 성별정체성, 성적지향을 차별금지 사유로 명시한 학생인권조례마저 사라지면, 평소 ‘없는 존재’로 간주되는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안에서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 학생·교직원 등 모든 학교 구성원이 상호 존중하는 학교 문화를 만들기 위해 법을 새로 만들거나 있는 법을 개선해도 모자랄 판에 최소한의 버팀목마저 없애려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학교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라도 학생인권조례가 이대로 꺾여서는 안 될 것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460 50대 변호사도 "영수증 보고 큰 충격"…스벅·맥도날드 '손절',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07
22459 [투자노트] 상반기 IPO 최대어 HD현대마린, 치킨값 벌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4.05.07
22458 “하루 30㎉ 먹고 27㎏이었다”… 日 10대 섭식장애 증가 랭크뉴스 2024.05.07
22457 전술통제기 ‘KA-1’ 임무는…적 지상군 위치 파악·아군 전투기 공격 유도[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4.05.07
22456 ‘언론 약탈수단’이 된 방통위·방심위…비판매체 ‘검열’ 급급 랭크뉴스 2024.05.07
22455 “계단·주차장 짐 한가득”…한국살이 中이웃 만행 고발 랭크뉴스 2024.05.07
22454 세상에 홀로 나간지 8년…27세 예나씨의 쓸쓸한 죽음 [소외된 자립청년] 랭크뉴스 2024.05.07
22453 “교도소 밥이 낫겠다”…중학교 급식 두고 맘카페 발칵 랭크뉴스 2024.05.07
22452 "'아동 연상' 음란물 전시" 신고에 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4.05.07
22451 '접촉사고 후 차에서 담금주 마셨다'는 공무원…거짓들통나 유죄 랭크뉴스 2024.05.07
22450 한국 근무 막 마친 미군 부사관, 러 체류 중 범죄혐의로 구금돼(종합2보) 랭크뉴스 2024.05.07
22449 "드론 배송 시대, 오긴 오나요"... 안전·소음·비용 '현실의 벽' 넘을 수 있나 랭크뉴스 2024.05.07
22448 나경원 "용산 대통령 따로, 여의도 대통령 따로 있는 정국" 랭크뉴스 2024.05.07
22447 '마스터키' 빼앗은 괴한‥보안 차량 동선 노출 랭크뉴스 2024.05.07
22446 ‘채상병 특검’ ‘명품백 수사’... 격랑 속 대통령 ‘입’에 쏠린 시선 랭크뉴스 2024.05.07
22445 공정 아닌 특권, 상식 아닌 이념…윤 정부 2년의 공허함 바뀔까 랭크뉴스 2024.05.07
22444 김 여사 명품백 수사 시작…법조계 “처벌 가능성 낮아” 왜? 랭크뉴스 2024.05.07
22443 국민연금, 200만원 이상 고액 수급자 1년새 2배 급증 랭크뉴스 2024.05.07
22442 고장난 ‘윤석열 GPS 외교’…국익 대신 미·일만 보고 표류 랭크뉴스 2024.05.07
22441 약초 씹어 상처에 쓱쓱…스스로 치료하는 오랑우탄 첫 발견 [잇슈 SNS] 랭크뉴스 2024.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