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순직, 수사 외압 등 의혹 낱낱이 수사
관계자 대거 소환... 사건 재구성 전망
매머드 진용... 짧은 활동 기간은 단점
2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채 상병 특검법'이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가결되고 있다. 뉴시스


2일 우여곡절 끝에 국회를 통과한 '채 상병 특별검사법'은 해병대원의 사망 원인 및 관리책임 범위, 수사를 둘러싼 외압 등 지금껏 제기된 모든 의혹을 샅샅이 수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번에도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남아 있지만, 국민적 의혹이 제기된 사건을 집중 수사할 여건은 마련된 셈이다. 다만 짧은 활동 기간(120일)을 감안할 때 특검이 의혹의 실체를 모두 규명해 낼지는 미지수다.

해병대 채모 상병이 지난해 7월 19일 사망한 후 두 달 뒤 발의된 특검법의 수사대상은 △채 상병 사망 사건 △대통령실, 국방부, 해병대 사령부, 경북경찰청의 은폐·무마·회유 등 직무유기 및 직권남용과 관련 불법행위 △그 밖에 수사 과정에서 인지된 관련 사건이다. 언뜻 단순해 보이지만, 사망 당시 상황부터 재구성해야 해 조사가 필요한 사건 관계인과 규명 의혹은 차고 넘친다. 법안을 만든 더불어민주당 측이 "특검 수사 대상엔 윤 대통령까지 포함된다"고 강조했듯, 수사 진척에 따라 관련 불법행위의 범주도 얼마든지 확장 가능하다. 특히 특검이 대통령실까지 정조준할 경우 파장은 가늠키도 어렵다.

일단 경북경찰청이 하는 해병대 중간 간부들의 업무상과실치사 혐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하고 있는 군 및 국방부, 그리고 대통령실의 수사 외압 행사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수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만큼 진행된 내용을 신속하게 분석하는 것이 특검의 우선 과제다. 여전히 엇갈리는 군, 국방부 등 관계자들의 보고·지시 상황을 재구성하고 진위부터 확인해야 한다. 이후 '윗선' 지시 및 진술이 법적 책임을 물을 필요가 있는지 등을 따져 보게 될 것으로 보인다.

법안에 따르면, 채 상병 특검팀도 수사 인원만 최대 104명에 이르는 '초대형’ 진용을 갖출 가능성이 크다. 특검이 요청한 특검보 3명, 파견 검사 20명, 파견 수사관 40명과 이들을 제외한 40명 이내의 파견 공무원 등이 포함된다. 역대 최대 규모(122명)인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특검팀에 조금 못 미치는 정도다.

그러나 여당의 반대와 거부권 행사 여부를 떠나 활동 기간은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준비 20일을 포함해 정식 활동 기간은 약 3개월(90일)이다. 대통령 승인을 받아 한 차례 연장(30일)이 가능하지만, 120일 안에 결론을 내지 못하면 공수처 등 본래 수사기관에 사건을 넘겨 마무리해야 한다. 이 경우 특검 무용론 비판이 거세질 수밖에 없다.

수사 성과에 대한 기대치도 엇갈린다. 검사장 출신 A변호사는 "특검에는 인력이 대거 투입되는 만큼 수사 속도는 확실히 단축될 것"이라면서도 "기초 수사인 디지털포렌식 작업이 지체되는 순간, 관계자 소환 등 본격 조사도 미뤄져 특검 기간 안에 수사를 끝내지 못할 우려도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디지털포렌식에만 한 달 이상 걸리는 검찰 수사 상황을 감안하면 120일이 결코 긴 시간은 아니다.

반면 '이용호 게이트 특검'에 몸담았던 이창현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비상설특검의 대안으로 발족한 공수처가 속 시원히 의혹을 해소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면서도 "(대통령실의) 특검 수용 여부와는 별개로 공수처에서 수사에 박차를 가하게 된, 긍정적 효과를 낳았다"고 평가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033 '반지의 제왕' '타이타닉' 배우 버나드 힐 별세 랭크뉴스 2024.05.06
22032 16년간 종적 감추고 개인정보 거래까지…도넘은 사회복무요원들 랭크뉴스 2024.05.06
22031 홀로 아이들 맞은 대통령‥김 여사 잠행 언제까지? 랭크뉴스 2024.05.06
22030 "내 집 앞에 손님 차가 왜 있어" 고무망치로 식당업주 폭행 50대 랭크뉴스 2024.05.06
22029 1000원짜리 사과 사면 630원이 유통비용…2027년까지 10% 낮춘다[뒷북경제] 랭크뉴스 2024.05.06
22028 40%?·50%?…연금개혁 최대 쟁점 소득대체율, 도대체 뭐길래 랭크뉴스 2024.05.06
22027 강풍에 구조물 쓰러지고, 폭우에 곳곳 '땅꺼짐' 랭크뉴스 2024.05.06
22026 "美, 지난주 이스라엘行 탄약 선적 보류…하마스 침공 후 처음" 랭크뉴스 2024.05.06
22025 제주, 호우·강풍 특보 해제‥항공편 재개 예상 랭크뉴스 2024.05.06
22024 학폭 저지르면 교사 꿈 못 꿔…교대들, 지원 제한·불합격 처리 랭크뉴스 2024.05.06
22023 송미령 장관 "양곡법 통과땐 남는 쌀 매입·보관비만 3조원" 랭크뉴스 2024.05.06
22022 [르포] ‘산세권’ 호불호 갈릴 듯… 역까지는 도보 30분 [서대문센트럴아이파크] 랭크뉴스 2024.05.06
22021 김 여사 의혹 미적대던 검찰, 명품백 수사로 ‘리스크’ 덜어내나 랭크뉴스 2024.05.06
22020 [K의료기기 프론티어] “흉부 X선 사진에서 골다공증 위험 알아낸다...세계 최초 도전” 랭크뉴스 2024.05.06
22019 “美 주식 결제 시간 2→1일 단축”… 덩달아 바빠진 韓 증권가 랭크뉴스 2024.05.06
22018 "尹격노가 시발점" "박 대령 월권"…윗선 향하는 '채상병' 수사 랭크뉴스 2024.05.06
22017 [사설] 고발 5개월 만 ‘명품백’ 수사··· 주가조작 사건은 언제 하나 랭크뉴스 2024.05.06
22016 '대약진' 동남아 축구, 한국 감독 도움으로 5년 뒤 한국도 따라잡나? [Deep&wide] 랭크뉴스 2024.05.06
22015 [주간증시전망] 쉬어가는 한 주… 올해도 ‘5월엔 팔아라’ 통할까 랭크뉴스 2024.05.06
22014 '포스트 한동훈' 뽑는 與전대에 韓등판론?…복귀설 시나리오 셋 랭크뉴스 2024.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