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일주일 사이 러 "3개 마을 점령" 주장
"푸틴 취임식·전승절 성과 마련" 분석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州) 최전선을 무섭게 갉아먹고 있다.
고작 일주일 만에 3개 마을을 연달아 장악했다는 게 러시아 주장이다. 우크라이나는 구체적인 사실 관계를 확인하지 않으면서도 밀리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지는 못했다.

우크라이나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러시아가 이달 9일 전승절(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을 상대로 승리한 날) 때 과시할 전쟁 성과를 거두고자 공세 고삐를 더욱 바짝 죌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군인이 2일 동부 도네츠크주 크라스노필리야에서 제거한 지뢰를 옮기고 있다. 크라스노필리야=AP 연합뉴스


러 "베르디치 점령"... 계속 밀리는 우크라



2일 러시아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지난 1일 우크라이나에서 실시한 특수군사작전을 통해 도네츠크의 베르디치를 (우크라이나로부터) 해방시켰다"고 밝혔다. 베르디치는 지난달 28일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이 "동부 전선 상황이 악화됐으며 우리 군대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방어 진지를 후방으로 옮겼다"고 지목한 마을 중 하나다.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격전 끝에 장악한 아우디이우카로부터 북서쪽으로 15㎞가량 떨어져 있다.

러시아는 최근 이 지역에서 연일 승전보를 주장하고 있다.
지난달 28일에는 노보바흐무티우카를, 다음 날에는 세메니우카를 장악했다고 러시아는 밝혔다. 현재 우크라이나가 통제하는 인근 마을도 결코 안전하지 않다. 아우디이우카에서 북서쪽으로 약 25㎞ 떨어진 오체레티네에도 러시아 군대 일부가 진입해 격전이 벌어졌다고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통신은 2일 보도했다. 러시아군의 진격 속도가 워낙 빠른 탓에 전선 상당 부분에서 우크라이나군이 방어 진지를 구축할 여유도 없이 뒤로 밀리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다.

1일 러시아 모스크바 포글로나야 언덕에서 열린 '러시아군의 트로피' 전시회에 전시된 M2 브래들리 전투 장갑차 주변으로 인파가 몰려 있다. 해당 무기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노획한 것이다. 모스크바=EPA 연합뉴스


'무기 공백' 노린 공세... 전승절 성과 필요도



우크라이나 및 서방 국가에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무기 공백기' 동안 최대치의 공격을 쏟아낼 것이라고 전망한다.
지난달 말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608억 달러(약 84조 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지원 예산안에 기반한 무기가 우크라이나 전선에 배치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는데, 러시아가 이 틈을 '진격 시간'으로 활용하려 한다는 것이다. 도네츠크 지역의 우크라이나 제92기계화보병여단 소속 유리 페도렌코 무인기(드론) 사령관은 "러시아군이 앞으로 두 달을 '기회의 창'으로 보고 있다"고 미국 CNN방송에 말했다.

러시아로서는 '특별한 성과'가 필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러시아는 이달 7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새 임기를 시작하는 취임식과 9일 전승절 기념식을 앞두고 있다. 최근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고위 지도부가 군대에 5월 9일까지 전략적 요충지인 차시우 야르를 점령하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전하는 한편, '이달 말 러시아가 대공세를 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해 왔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군사 인프라 파괴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애브릴 헤인스 미국 국가정보국장은 2일 상원 군사위원회에 출석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무기 생산 및 군대 이동을 방해하기 위한 인프라 공격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전술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물론 미국산 전투기 F-16이 다음 달 우크라이나에 처음 배치될 수 있다는 소식이 우크라이나 공군 대변인을 통해 전해지는 등 우크라이나 주변에서는 전세 반전의 기대감도 거론된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일 영국 이코노미스트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최전선을 돌파하고 우크라이나가 요청해 온다면 우리는 당연히 스스로 이 질문을 던져야 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파병 가능성을 재차 언급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6444 "나의 스타가 나의 추억을 짓밟았다"… 오재원 17년 응원한 '찐팬'의 절규 랭크뉴스 2024.04.27
26443 與 "尹·李 회담, 협치 기반돼야…강경 요구, 대화에 도움 안돼" 랭크뉴스 2024.04.27
26442 "증인 100명인데 이렇게 하다간…" 이재명 대장동 재판부, 지연 우려에 난색 랭크뉴스 2024.04.27
26441 문 전 대통령 "한반도 엄중한 위기 상황‥총선 민의따라 정책기조 전환해야" 랭크뉴스 2024.04.27
26440 죽은 산모에서 태어난 1.6㎏ 기적... 나흘 만에 결국 엄마 곁으로 랭크뉴스 2024.04.27
26439 축구마져 무너졌다...‘저출생 쇼크’, 한국 스포츠의 예고된 몰락 랭크뉴스 2024.04.27
26438 충무공 이순신 탄신 479주년…"솔선수범 리더십 널리 기억되길" 랭크뉴스 2024.04.27
26437 ‘강릉 급발진 의심’ 그 도로, 도현이 아빠 대신 달렸다[인터뷰] 랭크뉴스 2024.04.27
26436 마동석 핵펀치에···5월 꽉 잡던 할리우드 대작들이 운다 랭크뉴스 2024.04.27
26435 “5인가족 식사 1시간 내 준비, 1만원”…구인 글 뭇매 랭크뉴스 2024.04.27
26434 대학생이 죽고, 전경은 일기를 썼다 “진정한 분노의 대상 알아야” 랭크뉴스 2024.04.27
26433 고속도로 달리던 택시 안에서 기사 폭행…카이스트 교수 기소 랭크뉴스 2024.04.27
26432 "의대생 수업거부 강요 신고 이곳으로"…5월10일까지 집중 신고기간 랭크뉴스 2024.04.27
26431 “뉴진스 데리고 나간다”…민희진 배임? 법조계 견해는 랭크뉴스 2024.04.27
26430 국민의힘 "영수회담, 민생현안 해결에 초점‥일방적 강경한 요구 대화 도움 안 돼" 랭크뉴스 2024.04.27
26429 “연봉이 다섯 장”...꿈의 직장 만든 ‘이 남자’ 랭크뉴스 2024.04.27
26428 블링컨, 베이징 레코드 가게 불쑥 들어가 집어든 ‘음반 2장’ 랭크뉴스 2024.04.27
26427 죽어가는 엄마에게서 태어난 팔레스타인 아기 나흘 만에 사망 랭크뉴스 2024.04.27
26426 '술자리·회유 세미나·전관'…이화영·검찰 진실 공방 쟁점들 랭크뉴스 2024.04.27
26425 한낮 최고 30도 '초여름 날씨'... 큰 일교차 주의 랭크뉴스 2024.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