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홍철호 정무수석 "채상병 특검, 사법 절차 어긋나는 입법 폭거"
"이태원 특별법, 사법 절차 종료 후 부족하다는 점 받든 것"
"채상병 특검 아직 조사 중 사안 공수처도 못 믿겠다는 것"
"尹, 채상병 특검 받아 들이면 나쁜 선례 남기는 것이라 인식"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영수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영수회담은 오는 2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릴 예정이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3일 “채 상병 특검법은 사법절차에 상당히 어긋나는 입법 폭거”라며 “윤석열 대통령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홍 수석은 “(윤 대통령은) 묵묵하게 소통하고, 신뢰를 구축하고 협치 하자는 것을 아직 견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홍 수석은 이날 오전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채 상병 특검법은 이태원 특별법과 달리 경찰과 공수처가 수사 중인 사건”이라며 “이 절차가 끝나는 것을 기다려 봐야 합법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홍 수석은 “이태원 특별법은 이미 경찰·검찰 수사가 다 끝나고, 국정조사까지 해서 22명이 기소됐고 그래도 조사가 부족하다는 유가족 뜻도 있어 여야가 합의해 통과시킨 것”이라며 “사법 절차를 종료한 사항인 만큼 윤 대통령도 이건 정부가 받아들이겠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채 상병 특검법에 대해서는 “(조사)절차가 끝나는 것을 기다려야 합법적이라고 보는 것이고, 그 다음 부족하다고 판단되거나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면 민간위원회를 구성하고 더 나아가 특검 등 입법부에서 어떤 결정 내리면 그때 가서 봐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홍 수석은 “공수처는 과거 민주당이 검찰을 못 믿겠다고 해서 만든 기구인데 (지금 상황은) 공수처도 못 믿겠다고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런 사안이 생기면 특검으로 다 가자 법을 개정 하든지, 법을 초월해서 여야 협의도 없는 상황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홍 수석은 “결국 윤 대통령은 이걸 받아들이면 나쁜 선례 남기는 것이고 또 더 나아가 직무유기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 수석은 이어 “문재인 정부 당시 군사법원법이 개정돼 군 사고를 군인이 직접 수사하는 것을 믿지 못하겠다고 해서 경찰로 넘겨 수사하는 것인데 (이번 건은) 이 법 취지를 정면으로 거부한 것이 박정훈 대령”이라고 설명했다.

홍 수석은 최근 윤 대통령에게 ‘국민 눈물 있는 곳에 윤 대통령이 있어야 한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이태원 특별법 타결이 잘 됐다고 말씀 드렸고, 윤 대통령도 다행이다 이렇게 말을 했다”며 “그래서 앞으로 국민 눈물 있는 곳에 마음을 쓰시는 게 좋겠습니다고 하니 고개를 끄덕끄덕 하셨다”고 덧붙였다.

채 상병 특검법을 윤 대통령이 거부하면 10번째 거부권 행사가 되는 것에 대해 홍 수석은 “21대 국회가 여소야대여서 민주당에서 다소 정치 쟁점화할 수 있는 걸 거부권을 행사하도록 밀어붙인 것도 있다”며 “건수가 중요한 게 아니라 내용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채 상병건과 관련해 이시원 대통령실 공직기강 비서관이 법무관리관과 통화한 것에 대한 질문에는 “아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

영수 회담 이후 여·야 분위기가 냉랭해졌는데 향후 회담을 기약할 수 있는지에 대해 홍 수석은 “윤 대통령의 생각은 아직 우리는 묵묵하게 소통하고 신뢰 구축하고 협치하자 그것을 지금 아직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르면 다음 주로 예상되는 민정수석실 신설과 관련해서는 몇 가지 안을 두고 검토 중이라고 했다. 홍 수석은 정확한 명칭을 묻는 말에 “‘민정’도 있을 수 있고 ‘민생’도 있을 수 있고 ‘민정소통’도 있을 수 있다”며 “대통령이 최종 결심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 관해서는 “취임일은 안 넘기는 쪽으로 준비하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윤 대통령 취임일은 5월 10일이다.

한편 대통령실은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거에서 ‘친윤’(친윤석열) 이철규 의원 출마 여부를 둘러싼 논란에는 거리를 뒀다. 홍 수석은 “대통령이 저희에게 ‘의심 살 일은 하지 마라’고 분명하게 말했다”며 “결단코 (개입은) 없다”고 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929 “어린이날, 아동 성착취물 패널” 신고···경찰, 킨텍스 전시 수사 중 랭크뉴스 2024.05.05
21928 마돈나 등장하자 160만명 몰린 브라질 해변… 당국 “53억원 투자” 랭크뉴스 2024.05.05
21927 아이가 실수로 깨트린 2000만원 도자기, 쿨하게 넘어간 중국 박물관 랭크뉴스 2024.05.05
21926 ‘병원 데려가달랬더니’ LA 경찰 총에 한인남성 사망 랭크뉴스 2024.05.05
21925 민주당 “운영위도 갖겠다” 尹 정조준… 원 구성 협상 먹구름 랭크뉴스 2024.05.05
21924 소리 없이 물밑에서 떠오른 우크라이나의 ‘비밀 병기’ 랭크뉴스 2024.05.05
21923 "내 남편이랑 바람폈지?" 난동 부리던 50대…결국 테이저건 맞고서야 검거 랭크뉴스 2024.05.05
21922 최상목 “경제협력기금·아시아개발은행 협조융자, 3배 늘리기로” 랭크뉴스 2024.05.05
21921 ‘어게인 트럼프?’...각종 여론조사에서 바이든에 우위 랭크뉴스 2024.05.05
21920 [속보] 네타냐후 "전투 중단할 수 있지만 종전 요구 수용못해" 랭크뉴스 2024.05.05
21919 [책&생각] 손웅정 책, 40대 여성들이 관심 많다? 랭크뉴스 2024.05.05
21918 이철규 "당초부터 원내대표 선거 출마 의사 없었다" 랭크뉴스 2024.05.05
21917 정부, '증원 결정' 회의록 제출하기로‥의료현안협의체 회의록은 없어 랭크뉴스 2024.05.05
21916 조국 "2030년 엑스포 부산 유치 실패도 국정조사로 따지자" 랭크뉴스 2024.05.05
21915 ‘남편 외도 의심’ 흉기 난동 부린 50대 테이저건 맞고 검거 랭크뉴스 2024.05.05
21914 아이유는 기부 여신…어린이날 또 1억, 지금까지 총 50억 랭크뉴스 2024.05.05
21913 박정희가 죽고서야 아버지도 눈을 감았다 [책&생각] 랭크뉴스 2024.05.05
21912 제주에 강한 비바람…‘황금 연휴’ 항공편 결항 속출 랭크뉴스 2024.05.05
21911 [단독] 김건희 전담팀 '무늬만 형사1부'…특수부 검사 셋 추가 투입 랭크뉴스 2024.05.05
21910 홍준표, 의협회장 ‘돼지발정제’ 거론에 “수준 의심 되는 시정 잡배” 랭크뉴스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