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8월 딸 출산···2019년 뉴욕서 정식 부부
김세연(왼쪽) 씨, 김규진 씨, 딸 라니(태명). 사진=코스모폴리탄 캡처

[서울경제]

“이 사회의 모두가, 모든 가정이 다 똑같은 모습이라면 이렇게 재밌진 않을 거예요. 다들, 함께, 지금까지처럼 즐겁게 재밌게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국내에서 동성 커플로는 처음으로 딸을 출산해 화제를 모은 김규진(32) 씨·김세연(35) 씨 부부가 한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앞서 두 사람은 2019년 뉴욕에서 정식 부부가 되고 지난해 8월 딸 출산 소식을 전한 바 있다.

지난달 30일 코스모폴리탄은 김규진·김세연 가족의 인터뷰를 온라인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이들의 딸 라니(태명)는 안전 문제로 공개되지 않았다.

먼저 세연 씨는 자신이 생각하는 가족의 의미에 대해 “서로 사랑하고, 내가 가족이라고 생각하면 가족이다. 거창할 거 없다”고 답했다.

규진 씨는 “민법상 가족 범위는 배우자, 직계혈족 및 형제자매는 물론 직계혈족의 배우자, 배우자의 직계혈족 및 형제자매까지다. 그런데 재밌는 건 후자의 경우 ‘생계를 같이 할 경우에만’이라는 단서 조항이 있다. 함께 지내는 게 가족이라는 걸 알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는 혈연만이 가족이라 생각하지 않고, 와이프(김세연 씨)가 말한 것처럼 서로를 가족이라 생각하는 마음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성 소수자 부부로서 어떻게 출산할 생각을 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규진 씨는 “원래 저도 와이프도 아이 생각이 없었다. 와이프는 출산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고, 저는 좋은 부모가 될 자신이 없었다”고 고백하며 “(그러던 중) 마침 제가 프랑스로 파견을 갔다. 정자 기증 센터와 접근성이 좋아지니 (아이를 갖는 걸) 시작하기 용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프랑스 본사에 출근한 첫날, 이성애자 여성인 상사와 점심을 먹다가 ‘가족들은 어디에 있어?’라기에 ‘아내는 한국에 있어'라고 했다. 그런데 ‘그래? 애는 가질 거지?’라고 말해서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고 술회했다.

사진=김규진 씨 인스타그램 캡처


이들 부부는 성 소수자라는 이유만으로 던지는 악플에 대해서도 말했다. 규진 씨는 “저희를 실제로 만나면 절대 그런 말을 못 할 것”이라고 일갈했다. 그는 “맘카페뿐 아니라 모교 커뮤니티에도 (악플이) 올라오고, 와이프가 의사인 걸 밝혔는데 의사 커뮤니티에도 올라온다”며 “한 번은 맘카페의 악성 게시글에 ‘저도 엄마여서 여기에 있는데요’라고 댓글을 달았더니 너무 죄송하다며 지우더라”는 일화를 전하기도 했다.

두 사람은 향후 아이에게 어떻게 젠더 교육을 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규진 씨는 “라니의 성장 환경은 이미 너무 퀴어하다”며 “어떻게 자라든 전형적이진 않을 거다. 벨기에 클리닉에서 그런 질문을 받았다. (아이가) 주변에 매일 보는 남성이 없을 텐데 그런 점은 어떻게 대응할 거냐고. 그래서 ‘저는 게이 친구들이 많다, 멋진 게이 삼촌들이랑 놀면 되지 않냐’고 했는데 상담사분은 필터링으로 걸러진 사람들만 보는 게 아니라 남성의 장점과 단점, 여러 면을 다 보여줘야 아이가 다양한 성(性)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하더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실은 훨씬 다양하다. 그 점을 계속 염두에 두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환경에서 양육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아이가 어떤 사람으로 성장하길 바라냐는 질문에 세연 씨는 “건강하고 행복하고 열정 넘치는 아이가 되면 좋겠다”고 답했다. 규진 씨는 “동료시민으로서 비겁한 사람이 되지 않았으면, 책임감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바란다”고 했다.

아울러 두 사람은 모두가 자기 자리에서 자신을 긍정하며 살아갈 수 있길 바랐다. 규진 씨는 “이 사회의 모두가, 모든 가정이 다 똑같은 모습이라면 이렇게 재밌진 않을 것”이라며 “다들 함께, 지금까지처럼 재밌게 살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사진=김규진 씨 인스타그램 캡처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6129 IAEA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승인된 계획 따라 진행 중" 랭크뉴스 2024.04.28
26128 2018년 태풍 광양 비닐하우스 침수피해 농어촌공사도 20% 책임 랭크뉴스 2024.04.28
26127 전국 대체로 맑음…낮 최고 30도 안팎으로 올라 더워 랭크뉴스 2024.04.28
26126 "악취 진동" 신고에 출동하니 고양이 사체 수십마리에 벼룩·기생충 '바글바글' 랭크뉴스 2024.04.28
26125 돼지만도 못한 '청룡'…2월 출생아도 2만명 붕괴[송종호의 쏙쏙통계] 랭크뉴스 2024.04.28
26124 바이든표 가져갈 줄 알았는데…트럼프, 무소속 출마 케네디 견제 랭크뉴스 2024.04.28
26123 부자들은 올해 '이것' 투자 고려한다…예금·채권도 '인기' 랭크뉴스 2024.04.28
26122 "6선 주호영 임시 의사봉?"…野 걱정하는 의장 선출 시나리오 랭크뉴스 2024.04.28
26121 21대 국회 마지막 한달까지 강대강 대치…22대 예고편 되나 랭크뉴스 2024.04.28
26120 타이태닉호 탑승객 중 최고 부자 금시계 경매 나온다 랭크뉴스 2024.04.28
26119 한반도 절반이 물에 잠긴다면···롯데타워·강원도가 ‘강자’ 됐다[오늘도 툰툰한 하루] 랭크뉴스 2024.04.28
26118 尹대통령 만나는 이재명, 민생·정치 현안 '선명성' 부각할까 랭크뉴스 2024.04.28
26117 타이태닉호 탑승객 중 최고 부자 금시계 경매 나온다…예상가는 랭크뉴스 2024.04.28
26116 천연기념물 목숨 앗아간 ‘번쩍번쩍 유리창’···충돌방지 조치는 ‘미완성’ 랭크뉴스 2024.04.28
26115 ‘릴스·숏츠’ 끊고 책읽고 명상하는 사람들···‘도파민 디톡스’ 시대가 왔다 랭크뉴스 2024.04.28
26114 11년 전 푸틴 인천 방문한 이유…한반도에 반복되는 바랴크史 [Focus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4.04.28
26113 "월 324만 원 준비됐나요"... 은퇴 후 부부 생활비 지금 계산해야[부자될 결심] 랭크뉴스 2024.04.28
26112 맥도날드 탐낸 맘스터치의 전략…일본에 가선 '가성비' 택했다 [비크닉 영상] 랭크뉴스 2024.04.28
26111 이 얼굴이 60세? 충격의 미인대회 우승자…"변호사∙기자로 활동" 랭크뉴스 2024.04.28
26110 지하철에서 유튜브만 보나요... "책 읽는 인구, 이러다 멸종" 랭크뉴스 202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