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소방청, 3년간 13살 이하 안전사고 분석
낙상·추락사고 최다…자전거 사고도 많아
2022년 8월 경기 오산시 경기도 국민안전체험관을 찾은 어린이가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계곡 고립 탈출 체험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가정의 달’ 5월에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소방청의 설명을 들어보면, 최근 3년(2021년~2023년) 동안 일어난 13살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는 모두 10만8759건으로, 연평균 3만6253건에 이른다.

가장 사고가 잦은 달은 5월로, 1만1297건(10.4%)의 사고가 일어났다. 6월(1만1065건)과 7월(1만555건), 10월(1만246건)이 뒤를 이어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에 안전사고 위험도 커지는 모양새다. 소방청은 “야외 나들이와 놀이시설 이용 등 가족 단위 활동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사고 원인은 ‘낙상 및 추락사고’가 3만9256건(43%)으로 가장 많았다. 교통사고(2만3980건)는 26.2%, 열상(1만2066건)은 13.2%를 차지해 뒤를 이었다.

특히 교통사고는 자전거를 탈 때(33.6%) 가장 많이 발생했다. 차를 타고 있을 때는 32%, 걷고 있을 때는 22.9%로 분석됐다. 소방청은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갑자기 도로로 뛰어들거나, 도로 또는 차량 주변에서 놀지 않도록 하는 등 기초교육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영유아 등 1살 이하가 2만1655건(19.9%)으로 가장 많았다. 이 시기에는 대부분 침대나 소파에서 떨어지거나 미끄러지며 사고가 일어나기 때문에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설치 등이 필요하다. 안전사고 건수는 2~3살, 4~5살, 6~7살까지 줄어들다가 8~9살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하는 모양새다. 특히 12~13살은 1만8809건(17.3%)으로 1살 이하 다음으로 많았다.

어린이 안전사고는 집에서 발생한 경우가 5만906건(47.4%)으로 가장 많았다. ‘도로 및 도로 외 교통 지역’이 2만6536건(24.7%)로 뒤를 이었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4시~6시 사이(19.1%), 오후 6시~8시 사이(18.1%) 등 하교 시간에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유병욱 소방청 구급과장은 “아직 위험 상황 인식이 부족한 어린이의 경우, 어른들의 각별한 보살핌과 주의가 필요하다”며 “어린이날을 앞두고 안전하고 즐거운 가정의 달을 보내기 위해서는 기본 안전수칙 준수 등 사고 예방을 위한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3204 [단독] ‘여친 살인’ 20대 명문대 의대생, 과거 시 지원 ‘우수 장학증서’ 받아 랭크뉴스 2024.05.08
23203 “거의 살인미수 아닌가?”… 공원 미끄럼틀서 나온 ‘유리 파편’ 랭크뉴스 2024.05.08
23202 이종배 “중도확장” 추경호 “당정 공동체” 송석준 “수도권 민심”···국힘 원내대표 정견 발표 랭크뉴스 2024.05.08
23201 줄줄이 드러난 강남역 살해 계획범죄... 의대생 "범행 인정" 랭크뉴스 2024.05.08
23200 부산대 이어 제주대 ‘의대증원 학칙’ 부결…교육부, 타대학 확산 촉각 랭크뉴스 2024.05.08
23199 간호법 반대했던 보건의료단체 또 뭉쳤다…“PA 합법화 즉각 중단하라” 랭크뉴스 2024.05.08
23198 ‘여친 살해’ 의대생, 계획범죄 인정…“평생 속죄할 것” 랭크뉴스 2024.05.08
23197 日. 라인야후 '자국기업 만들기' 포석…소프트뱅크 최대지분 요구도 공식화 랭크뉴스 2024.05.08
23196 드디어 잡힌 한강공원 10대 절도단…배달 받으러 간 틈 노렸다 랭크뉴스 2024.05.08
23195 가석방심사위, 윤 대통령 장모 가석방 ‘만장일치’ 적격 판정 랭크뉴스 2024.05.08
23194 의대 정원 배정은 ‘덜 중요한’ 과정이라 “회의록 없다”는 교육부 랭크뉴스 2024.05.08
23193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보이스피싱 총책, 필리핀서 도주 랭크뉴스 2024.05.08
23192 흉기 사서 초등생 따라간 20대 여성‥'살인미수' 형량은? 랭크뉴스 2024.05.08
23191 日 정부 “라인야후 행정지도 지분 매각과 무관”… 라인야후는 ‘요구 있었다’ 시인 랭크뉴스 2024.05.08
23190 '외국면허 의사' 국내 진료 허용…"후진국 의사 수입하나요?" 랭크뉴스 2024.05.08
23189 '이철규 녹취' 터뜨린 배현진‥라디오 인터뷰로 '갈등 폭발' 랭크뉴스 2024.05.08
23188 황우여 "5%p 차이밖에 안 났다?"… 與 위기 상황 인식 우려 확산 랭크뉴스 2024.05.08
23187 ‘외국 면허 의사’도 국내 진료 허용... 국내 의사들 강력 반발 랭크뉴스 2024.05.08
23186 ‘외국 면허’ 의사 진료 허용한다…전공의 업무 대체할 듯 랭크뉴스 2024.05.08
23185 ‘비위 의혹’ 이정섭 검사 탄핵심판 시작···‘처남댁 강미정’ 증인 나올까 랭크뉴스 2024.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