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임명장 손글씨 쓰고 국새 관리까지
62년 간 단 '4명'만 있던 희귀 보직
붓글씨로 쓴 대통령 명의 임명장. 한국일보 자료사진


대통령 명의의 고위공무원 임명장 글씨를 직접 쓰고, 대한민국 국새(나라도장)까지 관리하는 공무원. 필경사(筆耕士)를 뽑는 공고가 다시 붙었다. 지난해 퇴직한 3대 필경사(김이중 전 사무관)의 뒤를 이을 후임자를 찾고 있지만, 적격자가 없어 채용이 보류된 후 1년 여만에 공고 절차가 다시 시작됐다.

2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인사처는 이달 8일부터 13일까지 대통령 명의 공무원 임명장을 작성하는 필경사(직급 전문경력관 나군)를 채용한다. 주요 업무는 △대통령 명의 임명장 작성 △대통령 직인·국새 날인 △임명장 작성 기록대장 관리시스템 운영·관리 △정부 인사기록 유지 및 관리 △임명장 수여식 행사 관리 등이다.

필경사 자격 요건은 서예 등 해당 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했거나(공무원 경력), 민간에서 3년 이상 연구 또는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이다. 또 미술이나 서예 등 학과에서 석사나 학사 취득 후 2년 이상 관련 분야에서 근무·연구 활동을 했거나, 전문대 학력 취득 후 3년 이상의 경력이 있어야 한다. 서류전형에 합격하면 실기를 통해 한글 서체와 글자 배열, 완성도 등 역량 평가도 받아야 한다.

필경사는 1962년 처음 생긴 이래 62년 동안 단 네 명 밖에 없었던, 공무원 중에 가장 희귀한 직군이다. 필경사는 가로 26㎝ 세로 38㎝ 크기 용지에 소속, 직책, 이름, 임명 날짜 등이 담긴 임명장을 쓰는 게 주요 업무다. 5급 이상 공무원의 임명장을 직접 손으로 쓰는데, 국무총리 임명장도 필경사의 손을 거친다. '공무원의 자긍심과 사기 진작을 위해 임명권자의 정성을 담는다'는 의미로 손글씨로 쓰인 임명장을 준다는 정부 방침에 따른 것이다. 이 임명장에는 당시 대통령의 이름과 국새가 찍힌다.

필경사는 통상 매년 7,000여 장의 임명장을 작성한다. 김이중 전 사무관이 퇴직한 후부터는 4대 필경사인 김동훈 주무관 1명이 혼자 이 일을 도맡고 있다. 인사처 관계자는 "대통령 임명장 작성을 담당하는 직원의 업무가 과중돼 추가로 인원을 채용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tvN 예능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했던 3대 필경사 김이중 전 인사혁신처 사무관. 방송화면 캡처


앞서 인사처는 지난해 후임 필경사를 뽑으려다가 선발을 보류했다. 당시 21명이 지원할 정도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그러나 서류 전형을 통과한 8명에 대해 면접 및 임명장 작성 등 역량평가를 진행했지만, 적격자를 찾지 못했다.

연관기사
• 대통령 명의 임명장 작성 ‘필경사’ 채용 21명 몰렸지만 ‘합격자 없음’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33111110003922)• "그가 써야 고위 공무원 된다"… 15년간 대통령 임명장 쓴 필경사 퇴직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22217110005123)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0665 [속보] ‘채상병 특검법’ 야권 단독 국회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4.05.02
20664 [1보] '채상병특검법' 野 단독 처리로 국회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4.05.02
» »»»»» [단독] 대통령 임명장 쓰는 ‘대한민국 명필’… 필경사 모집공고 뜬다 랭크뉴스 2024.05.02
20662 영업이익 72% 꺾인 하이브…"멀티 레이블 보완하겠다" 랭크뉴스 2024.05.02
20661 내년 의대증원 1489~1509명 확정…국립대, 배정 인원 절반만 반영 랭크뉴스 2024.05.02
20660 "초대형 음원 공룡 탄생" 공정위, 카카오·SM엔터 결합 조건부 승인 랭크뉴스 2024.05.02
20659 [속보] ‘채상병특검법’ 국회 본회의 상정…여당 의원 단체 퇴정 랭크뉴스 2024.05.02
20658 검사하다 숨진 영아 사망진단서에 '지병 탓'‥대법 "의사들 고의 인정 안돼" 랭크뉴스 2024.05.02
20657 밸류업 공시, 자율성 너무 강조했다... “일단 지르고 못 지키는 ‘파두 유사 기업’ 속출할 것” 우려 랭크뉴스 2024.05.02
20656 [속보] ‘이태원참사특별법’ 국회 본회의 통과…참사 551일만 랭크뉴스 2024.05.02
20655 [속보] 이태원특별법, 여야 합의 국회 통과···참사 551일만 랭크뉴스 2024.05.02
20654 광복회 “홍범도 흉상 옮기면 훈장 반납, 차라리 폭파하라” 랭크뉴스 2024.05.02
20653 의대 최대 1509명 증원… “40개 대학 총 4547~4567명” 랭크뉴스 2024.05.02
20652 [속보] '이태원 참사 특별법' 여야 합의 통과‥찬성 256명, 기권 3명 랭크뉴스 2024.05.02
20651 "살려달라 애원했을 모습에 억장 무너져"…'추락사' 20대女 유족의 눈물 랭크뉴스 2024.05.02
20650 [속보]‘이태원특별법 여야 합의안’ 국회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4.05.02
20649 물가 2%대 둔화에도 잡히지 않는 과일값… 석유류 상승도 ‘불안’ 랭크뉴스 2024.05.02
20648 [2보] 이태원참사특별법 국회 통과…여야 합의 처리 랭크뉴스 2024.05.02
20647 삼성전자, 3D D램 2030년 상용화…HBM 누적 매출 100억弗 눈앞 랭크뉴스 2024.05.02
20646 [속보] 이태원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국회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4.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