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미서 테슬라 충전소 활용하기로 한 전기차 업체들 우려
'전기차 전환' 주력해온 바이든 행정부에도 타격


테슬라 충전소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테슬라의 충전망 담당 인력을 대부분 해고하고 충전소 확장 속도를 늦추겠다고 선언하면서 전기차 업계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지난해 북미에서 전기차를 판매하는 대다수 업체가 테슬라의 충전기 연결 방식인 'NACS'를 채택하고 테슬라 충전소 '슈퍼차저'를 함께 활용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테슬라의 충전망 확장이 늦춰지면 다른 업체들도 전기차 보급에 속도를 내기 어렵게 되고, 전기차 전환에 힘써온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도 타격을 입게 된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최근 테슬라의 충전(슈퍼차저) 인프라 담당 책임자인 레베카 티누치와 그의 밑에서 일해온 약 500명의 슈퍼차저팀 인력의 거의 전부를 해고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머스크는 이에 대해 공식적으로 확인하지는 않았지만, 전날 엑스(X, 옛 트위터)에서 관련 입장을 밝혔다.

그는 "테슬라는 여전히 슈퍼차저 네트워크를 확장할 계획"이라며 "다만 새로운 위치에 대해서는 더 완만한 속도(slower pace)로 추진하고, 기존 위치의 100% 활용과 확장에 더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이에 대해 "테슬라의 충전기를 활용하려는 다른 자동차 업체들과의 파트너십을 잠재적으로 손상할 수 있으며, 바이든 정부의 재선 캠페인 와중에 그의 전기차 정책 추진을 약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바이든 정부는 전기차 확대를 위해 2022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만들어 보조금을 지급하고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한 'NEVI' 프로그램에도 75억달러(약 10조4천175억원)를 배정해 업계를 지원해 왔다.

또 전기차를 만드는 자동차 업체들은 충전기 연결 방식을 두고 기존의 미국 표준인 CCS 규격과 이미 미국 전체 충전망의 60%가량을 점유한 테슬라의 NACS 규격 사이에서 고심하다 테슬라의 NACS 방식을 함께 채택하기로 했다.

가장 큰 업체인 포드자동차와 제너럴모터스(GM)는 자사의 차량에 NACS 규격을 탑재할 뿐만 아니라 테슬라의 충전소를 함께 이용하기로 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머스크가 테슬라의 충전망 확장 속도를 늦추겠다고 발표하자 업계 관계자들은 당혹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GM은 전날 성명에서 "테슬라 슈퍼차저 팀의 변화와 그 잠재적 영향에 대해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더 이상의 새로운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슈퍼차저 네트워크의 공급업체인 불렛EV 차징설루션의 공동 CEO인 안드레스 핀터는 전날 "슈퍼차저 네트워크의 계약자로서 우리 팀은 (테슬라 충전망 담당 인력 해고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다"며 "테슬라는 이미 연방 정부의 NEVI 프로그램에 따라 자금을 지원받았다"고 말했다.

핀터 CEO는 머스크가 본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충전망 담당 팀을 재구성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 전문가들은 머스크가 비용 절감에 집중하는 가운데 이제는 경쟁업체들과 차별화하는 요소가 아닌 충전망 사업에 중점을 두지 않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데이터 분석업체 에스컬렌트의 부사장 KC 보이스는 "업계가 이미 NACS를 채택한 지금, 머스크는 슈퍼차징(충전) 부문을 전략적인 해자(경쟁업체들과 크게 차별화한 요소)라기보다는 비용 센터로 인식하는 것 같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애널리스트들은 머스크가 충전 인프라를 외부에 매각하려 한다면 상당한 가격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BMW, GM, 혼다, 메르세데스-벤츠, 스텔란티스 등 6개 업체와 손잡고 북미 지역의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조인트벤처를 설립해 자체 충전망 구축에 나선 바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607 학교 안 현란한 롤러장…서울대가 '놀이'에 미치면 생기는 일 [비크닉 영상] 랭크뉴스 2024.05.12
24606 강남 방음벽 처박힌 SUV… “당황해서 핸들 꺾었다” 랭크뉴스 2024.05.12
24605 은행 퇴직연금 200兆 돌파… 1년 수익률 최고 16% 육박 랭크뉴스 2024.05.12
24604 중국산 전기차에 100% 관세 폭탄… 바이든 ‘中 옥죄기’ 랭크뉴스 2024.05.12
24603 사랑하는 사람 잃고…건강하게 슬퍼하는 10가지 방법 랭크뉴스 2024.05.12
24602 마동석·탕웨이 앞세운 '알리' 잘나가자…김유정 등판시킨 '이 기업' 랭크뉴스 2024.05.12
24601 LH, '교원자리 나눠먹기 논란' 토지주택대학 내년말 폐교 랭크뉴스 2024.05.12
24600 가만 놔둬도 40만원 되는데…세금으로 주는 기초연금, 부담 ‘눈덩이’ 랭크뉴스 2024.05.12
24599 "미국, 라파 침공 막으려 이스라엘에 민감 정보 제공 등 제안" 랭크뉴스 2024.05.12
24598 "사진 좀 찍자"…연락 끊고 지낸 아들 만나 '툭' 때린 아빠 랭크뉴스 2024.05.12
24597 '채상병 특검 압박'‥야권 장외 결집 랭크뉴스 2024.05.12
24596 서울 심야 자율주행버스 6개월새 8천여명 탑승…7월부터 유료화 랭크뉴스 2024.05.12
24595 “페더러도 예외 없다” 테니스에 진심이라면? ‘이 병' 주의[일터 일침] 랭크뉴스 2024.05.12
24594 바다 아래 궁금증 풀어주는 ‘해저 지질도’의 세계 랭크뉴스 2024.05.12
24593 우크라 전장에 등장한 2300년 전 고대 무기 ‘마름쇠’…정체는 무엇? 랭크뉴스 2024.05.12
24592 술담배 소비 줄이고 보험료, 교육비 늘렸다...달라진 美 밀레니얼 세대 소비 랭크뉴스 2024.05.12
24591 유방암·대장암보다 생존율 낮은 '심부전', 발병 후 5년 내 60~70% 목숨 잃어 랭크뉴스 2024.05.12
24590 트럼프 측근 “주한미군은 중국 견제해야…한국 자체 핵능력 용인” 랭크뉴스 2024.05.12
24589 "우리가 안하면 누가 합니까" 전공의 이탈 속 심장시술 18% 증가 랭크뉴스 2024.05.12
24588 스위스 이어 스웨덴까지… 美 동결에도 막 오른 글로벌 금리 인하 랭크뉴스 202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