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 증권사들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선을 그으면서 통화 정책 불안은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내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면서, 물가·경기 지표 발표 일정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일하는 트레이더 뒤편으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기자회견이 방송되고 있다. /AP·연합뉴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5.25~5.50%로 동결했다. 연준은 성명서에 ‘최근 몇 달간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향한 추가 진전이 부족하다’는 표현이 추가되었지만, 고용과 물가 목표 달성을 둘러싼 위험이 ‘지난 1년간 더 나은 균형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평가해 통화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연준은 또 6월부터 양적긴축(QT) 속도를 늦추기로 했다. 기관채와 주택저당증권(MBS) 한도는 350억달러로 유지하되, 국채 한도를 기존 600억달러에서 250억달러로 축소하기로 했다. 앞서 3월 FOMC 때 연준위원들이 국채 한도를 절반으로 줄이는 안을 논의했던 것보다 국채 한도가 더 낮아 QT가 예상보다 더 느리게 전개될 가능성이 커졌다.

연준의 이런 결정을 토대로 볼 때 오는 9월부터 금리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번 FOMC 회의를 통해고용이 좋으면 물가에 집중해 물가 안정 후 서서히 금리를 낮추는 방안 또는고용의 급격한 악화와 즉각적인 금리 인하 대응의 경로를 그려볼 수 있다”며 “어느 쪽이든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 연준이 9월부터 연내 두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한다”고 했다.

연준이 스테그플레이션(고물가 + 경기침체) 가능성이나 오는 11월로 예정된 미국 대선 일정 때문에 금리 인하 시점을 고르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도 줄었다는 평가도 있었다. 신얼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파월 의장은) 스테그플레이션 가능성을 부인했고, 4번의 대선을 겪는 동안 단 한번도 선거에 대한 영향력 고려나 이에 대한 판단을 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며 “연준이 오는 9월 금리 인하를 개시, 연내 2회 인하할 것이란 기존 전망을 유지할 수 있는 내용의 FOMC 회의였다”고 했다.

파월 의장이 예상보다 비둘기 성향(통화 완화 선호)을 보이면서 시장은 안도하는 분위기다. 통화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1일 오후 5시 5분(미국 동부시각) 기준 4.968%로 전날보다 7.7bp(1bp=0.01%포인트) 내렸다. 세계 채권 가격의 기준으로 꼽히는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도 같은 기간 4.3bp 하락한 4.641%를 나타냈다.주요 6개국 통화 대비달러가치를 나타내는달러인덱스도 106선 밑으로 내려왔다.

다만 파월 의장이 물가·고용 데이터(Data)를 확인하겠다고 밝힌 만큼 물가·고용 지표가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 경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국채 금리 및 달러가 추가로 상승할 압력을 완화할 가능성이 커졌지만, 연준이 강조하는 물가 2%대 경로 진입이 충분히 확인되기 전까지 금융시장 등락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증권사 연구원들은 다가오는 미국 물가·고용 지표에 맞춰 투자 전략을 세울 것을 조언했다. 오는 3일 밤(한국시각) 미국의 4월 고용지표가 나온다. 시장에선실업률은3.8%로 지난3월과 동일하지만,비농업 신규 취업자 수는24만명으로 둔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어 오는 14일과 15일 4월 미국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나온다.

이경민 대신증권FICC리서치부장은 “5월 중후반까지 통화정책 불안심리 정상화 과정에서 채권금리·달러 안정이 가시화하면서 투자 기회가 존재할 전망”이라며 “채권금리·달러 안정이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현·선물 매수로 이어져 코스피지수가 기술적 반등이 전개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1차 목표는 2750선, 2차 목표는 2800선 돌파 시도로 제시한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585 망치를 든 화이트칼라, 실직 주범 AI 데이터센터를 부술까 [이덕연의 경제멘터리] 랭크뉴스 2024.05.12
24584 북 해커에 털린 법원‥"개인정보 등 1천GB 탈취" 랭크뉴스 2024.05.12
24583 '40대에 교육비를 가장 많이 쓴대요'... 100세 시대 지출은 이렇게 [부자될 결심] 랭크뉴스 2024.05.12
24582 [주간증시전망] 부처님 도와주세요… 15일 美 물가 지표에 울고 웃을 시장 랭크뉴스 2024.05.12
24581 "내 남편, 성기능에 문제가 있어요"…이 광고의 섬뜩한 진실 랭크뉴스 2024.05.12
24580 50대 종업원 성폭행하려 한 60대 피시방 업주…합의 끝에 집유 랭크뉴스 2024.05.12
24579 "신앙심 돈벌이에 악용했나"... 인천 이슬람 사원 짓겠단 유명 유튜버 불법 모금 논란 랭크뉴스 2024.05.12
24578 입맛대로 사라진 성교육 도서들···“교과서 바깥 세상이 좁아진다” 랭크뉴스 2024.05.12
24577 머나먼 자율주행 꿈… 테슬라는 사기 혐의, 현대차는 상용화 연기 랭크뉴스 2024.05.12
24576 공공기관 남성 육아휴직 5년간 125% '껑충'…男비중 15→24% 랭크뉴스 2024.05.12
24575 "멧돼지 꼼짝마"…햄피자 지키기 위해 군대까지 나선 '이 나라',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12
24574 "왜 그랬지" 매일밤 이불킥…40만명 구한 '생각 중독' 탈출법 랭크뉴스 2024.05.12
24573 '日기업화 논란' 라인 관심 고조…포털 검색량 나흘새 15배 급증 랭크뉴스 2024.05.12
24572 내부총질인가 전략인가...與 새 간판 때리는 홍준표 '독한 입' 랭크뉴스 2024.05.12
24571 의대증원 다음주가 분수령…법원 기각하면 의대증원 확정 초읽기 랭크뉴스 2024.05.12
24570 큰 일교차, 무심코 먹은 감기약…전립선비대증 악화시킨다 랭크뉴스 2024.05.12
24569 사람 혹은 돼지 ‘데이빗’의 질문…사람은 무엇으로 정의하는가[오늘도 툰툰한 하루] 랭크뉴스 2024.05.12
24568 "제철이면 안 비쌀까"…의미없는 '과일물가' 논쟁[송종호의 쏙쏙통계] 랭크뉴스 2024.05.12
24567 수도권 황사로 오전에 미세먼지 '매우 나쁨' 랭크뉴스 2024.05.12
24566 자국 민주화 투쟁 캄보디아인 항소심서 난민 지위 인정 랭크뉴스 202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