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韓 금리 격차 2%P 유지
”인상 가능성 낮지만 인하는 시간 필요”
6월부터 양적 긴축 감축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5.25~5.50%로 유지했다. 지난해 9월부터 6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이다. 미국과 한국 간 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2%포인트(P)를 유지하게 됐다.

5월 FOMC에서는 점도표(dot plot·연준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나타낸 도표)가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시장의 시선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에 쏠렸었다. 그는 금리 인상 가능성은 작다고 밝히면서도 기준금리를 인하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애매모호’한 태도를 보였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 /AFP

美 정책금리 5.25~5.50%로 유지
연준은 4월 30일부터 5월 1일(현지 시각)까지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5.25~5.50%로 유지했다. 금리 투표권을 가진 12명의 위원이 모두 동결에 찬성했다. 이로써 연준은 지난해 9·11·12월, 올해 1·3월에 이어 6회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미국과 한국 간 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2%P를 유지하게 됐다.

FOMC는 성명서에서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은 지난해에 비해 완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최근 몇 달간 인플레이션 2% 목표 달성을 위한 ‘추가적인 진전이 부족(lack of further progress)’했다”라고 평가했다.

이번 성명서에는 연준의 양적 긴축 감축 계획이 새롭게 추가됐다. 연준은 “6월부터 월 최대 국채 상환 규모를 기존 600억 달러에서 250억 달러로 낮춤으로써 보유 증권의 감소 속도를 늦출 것”이라고 했다. 또한 기관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은 월 감축 한도를 350억 달러로 유지하고, 한도를 초과한 상환 원금은 미국 국채에 재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연준은 3월 FOMC 회의 이후 양적 긴축의 속도를 줄이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대차대조표 축소’라고도 불리는 양적 긴축은 연준이 보유 중인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식으로 보유 자산을 감축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준은 2022년부터 월 감축 한도를 600억 달러로 유지해 왔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 화면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AP

파월, 매와 비둘기 섞인 ‘애매모호’ 발언
이번 FOMC에서는 점도표가 발표되지 않기 때문에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발언에 시장의 관심이 더 집중됐었다.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을 할 가능성은 작다면서도 기준금리 인하는 지연될 수 있다며 매파(통화긴축 선호)와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가 섞인 발언을 했다.

FOMC 결과 발표 이후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인상 여부’ 질문에 “다음 정책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은 작다고 생각한다”면서 예상보다 덜 매파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현재 연준의 통화정책이 인플레이션을 2% 수준으로 낮출 만큼 충분히 긴축적이라고 판단한다”며 “우리가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긴축 정책을 얼마나 지속하느냐에 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나타낸 것은 아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인 2%를 향해 나아간다는 더 큰 확신을 갖기 전까지는 기준금리 인하를 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면서 “올해 데이터는 아직 그 확신을 주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목표치에 도달한다고 더 확신하려면 예상보다 시간이 더 걸릴 것 같다”라며 “얼마나 걸릴지는 알 수 없다”라고 했다.

아울러 파월 의장은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 침체) 가능성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지난달 25일 발표된 미국의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시장 예상을 밑돌고, 물가 상승률이 높게 나타나오면서 시장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퍼졌다. 그는 “3%의 경제 성장률은 매우 견실하며, 인플레이션은 3%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다”면서 “성장률이 하락하더라도 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아니고, 여전히 매우 양호한 성장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FOMC 결과 발표 이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주요 3대 주가지수는 혼조세를 보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3% 상승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0.33% 떨어졌다. 국채금리는 하락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장 중 한때 전 거래일 대비 10bp(1bp=0.01%포인트) 이상 빠지며 4.581%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580 50대 종업원 성폭행하려 한 60대 피시방 업주…합의 끝에 집유 랭크뉴스 2024.05.12
24579 "신앙심 돈벌이에 악용했나"... 인천 이슬람 사원 짓겠단 유명 유튜버 불법 모금 논란 랭크뉴스 2024.05.12
24578 입맛대로 사라진 성교육 도서들···“교과서 바깥 세상이 좁아진다” 랭크뉴스 2024.05.12
24577 머나먼 자율주행 꿈… 테슬라는 사기 혐의, 현대차는 상용화 연기 랭크뉴스 2024.05.12
24576 공공기관 남성 육아휴직 5년간 125% '껑충'…男비중 15→24% 랭크뉴스 2024.05.12
24575 "멧돼지 꼼짝마"…햄피자 지키기 위해 군대까지 나선 '이 나라',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12
24574 "왜 그랬지" 매일밤 이불킥…40만명 구한 '생각 중독' 탈출법 랭크뉴스 2024.05.12
24573 '日기업화 논란' 라인 관심 고조…포털 검색량 나흘새 15배 급증 랭크뉴스 2024.05.12
24572 내부총질인가 전략인가...與 새 간판 때리는 홍준표 '독한 입' 랭크뉴스 2024.05.12
24571 의대증원 다음주가 분수령…법원 기각하면 의대증원 확정 초읽기 랭크뉴스 2024.05.12
24570 큰 일교차, 무심코 먹은 감기약…전립선비대증 악화시킨다 랭크뉴스 2024.05.12
24569 사람 혹은 돼지 ‘데이빗’의 질문…사람은 무엇으로 정의하는가[오늘도 툰툰한 하루] 랭크뉴스 2024.05.12
24568 "제철이면 안 비쌀까"…의미없는 '과일물가' 논쟁[송종호의 쏙쏙통계] 랭크뉴스 2024.05.12
24567 수도권 황사로 오전에 미세먼지 '매우 나쁨' 랭크뉴스 2024.05.12
24566 자국 민주화 투쟁 캄보디아인 항소심서 난민 지위 인정 랭크뉴스 2024.05.12
24565 "잊혀진 존재 설움 눈 녹듯 사라져"…최고령 사할린 동포 할머니 등 평생 그리던 고국 품에 '뭉클' 랭크뉴스 2024.05.12
24564 '기생충' 때까지만해도 잘 나갔는데…美 아카데미 모금 캠페인까지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12
24563 '강력 태양 폭풍'에 아르헨티나 최남단서도 오로라 관측 랭크뉴스 2024.05.12
24562 '말레이판 이멜다' 前총리부인 피소 "4750억원 물어내라" 랭크뉴스 2024.05.12
24561 한국전 장진호 전투서 숨진 미군 유해 70여년만에 고향 귀환 랭크뉴스 202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