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韓 금리 격차 2%P 유지
”인상 가능성 낮지만 인하는 시간 필요”
6월부터 양적 긴축 감축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5.25~5.50%로 유지했다. 지난해 9월부터 6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이다. 미국과 한국 간 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2%포인트(P)를 유지하게 됐다.

5월 FOMC에서는 점도표(dot plot·연준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나타낸 도표)가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시장의 시선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에 쏠렸었다. 그는 금리 인상 가능성은 작다고 밝히면서도 기준금리를 인하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애매모호’한 태도를 보였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 /AFP

美 정책금리 5.25~5.50%로 유지
연준은 4월 30일부터 5월 1일(현지 시각)까지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5.25~5.50%로 유지했다. 금리 투표권을 가진 12명의 위원이 모두 동결에 찬성했다. 이로써 연준은 지난해 9·11·12월, 올해 1·3월에 이어 6회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미국과 한국 간 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2%P를 유지하게 됐다.

FOMC는 성명서에서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은 지난해에 비해 완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최근 몇 달간 인플레이션 2% 목표 달성을 위한 ‘추가적인 진전이 부족(lack of further progress)’했다”라고 평가했다.

이번 성명서에는 연준의 양적 긴축 감축 계획이 새롭게 추가됐다. 연준은 “6월부터 월 최대 국채 상환 규모를 기존 600억 달러에서 250억 달러로 낮춤으로써 보유 증권의 감소 속도를 늦출 것”이라고 했다. 또한 기관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은 월 감축 한도를 350억 달러로 유지하고, 한도를 초과한 상환 원금은 미국 국채에 재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연준은 3월 FOMC 회의 이후 양적 긴축의 속도를 줄이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대차대조표 축소’라고도 불리는 양적 긴축은 연준이 보유 중인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식으로 보유 자산을 감축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준은 2022년부터 월 감축 한도를 600억 달러로 유지해 왔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 화면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AP

파월, 매와 비둘기 섞인 ‘애매모호’ 발언
이번 FOMC에서는 점도표가 발표되지 않기 때문에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발언에 시장의 관심이 더 집중됐었다.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을 할 가능성은 작다면서도 기준금리 인하는 지연될 수 있다며 매파(통화긴축 선호)와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가 섞인 발언을 했다.

FOMC 결과 발표 이후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인상 여부’ 질문에 “다음 정책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은 작다고 생각한다”면서 예상보다 덜 매파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현재 연준의 통화정책이 인플레이션을 2% 수준으로 낮출 만큼 충분히 긴축적이라고 판단한다”며 “우리가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긴축 정책을 얼마나 지속하느냐에 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나타낸 것은 아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인 2%를 향해 나아간다는 더 큰 확신을 갖기 전까지는 기준금리 인하를 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면서 “올해 데이터는 아직 그 확신을 주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목표치에 도달한다고 더 확신하려면 예상보다 시간이 더 걸릴 것 같다”라며 “얼마나 걸릴지는 알 수 없다”라고 했다.

아울러 파월 의장은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 침체) 가능성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지난달 25일 발표된 미국의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시장 예상을 밑돌고, 물가 상승률이 높게 나타나오면서 시장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퍼졌다. 그는 “3%의 경제 성장률은 매우 견실하며, 인플레이션은 3%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다”면서 “성장률이 하락하더라도 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아니고, 여전히 매우 양호한 성장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FOMC 결과 발표 이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주요 3대 주가지수는 혼조세를 보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3% 상승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0.33% 떨어졌다. 국채금리는 하락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장 중 한때 전 거래일 대비 10bp(1bp=0.01%포인트) 이상 빠지며 4.581%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5856 ‘파타야 저수지 사망’ 유족 “마약 연루설 사실 아니다” 랭크뉴스 2024.05.15
25855 “통장 겉면에 확정 금리처럼… 65% 물어줘라” 분쟁조정 랭크뉴스 2024.05.15
25854 “사측, ‘역사저널 그날’ 제작진 해산 지시”… KBS 또 잡음 랭크뉴스 2024.05.15
25853 집단 유급 대책 내놨지만… 의대생 복귀 없인 ‘무용지물’ 랭크뉴스 2024.05.15
25852 트로트가수 김호중, 뺑소니 혐의 조사 랭크뉴스 2024.05.15
25851 15억 집이 1년 만에 40억으로?…공시가격을 망치는 이들 [정수연이 소리내다] 랭크뉴스 2024.05.15
25850 극락도 락이다? EDM공연 한다는 요즘 불교 근황 [영상] 랭크뉴스 2024.05.15
25849 윤 ‘내로남불’ 인사 패싱…4년 전 추미애에 “검찰청법 위반” 반발하더니 랭크뉴스 2024.05.15
25848 4가지 충격파에 일본 김 휘청, 김 뜯어먹는 물고기도 출현 랭크뉴스 2024.05.15
25847 휘청이는 정의당… 의석 없고 당대표 지원자 0명, 채무까지 증가 랭크뉴스 2024.05.15
25846 '감사원 강압 감사' 사건 법원도 인정‥당시 국장은 유병호 랭크뉴스 2024.05.15
25845 '라인야후 사태' 들끓는데 잠잠한 국회 과방위, 野 "빨리 열자" 랭크뉴스 2024.05.15
25844 바이든, 트럼프보다 세게 때렸다…대중국 ‘관세 전쟁’ 시작 랭크뉴스 2024.05.15
25843 “학교가 무섭다, 교사도 맞대응 녹음” 불신만 남은 현장 랭크뉴스 2024.05.15
25842 美, 中 전기차 관세 100%로 대폭 인상…中 반발 "즉각 취소해야"(종합) 랭크뉴스 2024.05.15
25841 뺑소니 혐의 김호중, 사고 당시 영상 보니…충돌때 차량 앞바퀴 들렸다 랭크뉴스 2024.05.15
25840 [사설] 미중 관세 전쟁 쓰나미…민관정 총력전으로 방파제 쌓아라 랭크뉴스 2024.05.15
25839 김 여사 소환 여부·방식 등 새 지휘부 영향 불가피…사건 담당 1·4차장도 친윤? 후속 인사도 관건 랭크뉴스 2024.05.15
25838 차량 급발진, 이것이 원인?… 바닥 매트가 액셀 ‘꾹’ 랭크뉴스 2024.05.15
25837 35년 교직 마치고 별이 된 故이영주 교감…"선생님, 그립습니다" 랭크뉴스 202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