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은퇴 후 노후를 위한 연금저축보험
지난해 수익률 물가상승률보다 낮아
10년 평균 수익률은 1.5% 수준
각종 사업비와 보수적 운용 탓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위치한 어르신 일자리 상담 창구. /뉴스1

은퇴 후 노후 대비를 위한 상품인 연금저축보험의 수익률이 물가상승률을 뛰어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하면 오히려 손해만 보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연금저축보험은 2021년 기준 연금저축 총적립금(160조원)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국민연금 고갈 시점이 앞당겨지는 상황에서 연금저축보험마저 저조한 수익률이 지속되면 노후 대비에 실패하는 사람이 속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금저축보험은 매월 보험료를 납부하면, 보험사가 이자를 붙여 자산을 불려주는 상품이다. 보험사가 이자를 얼마나 주는지에 따라 미래에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이 결정된다. 연금저축보험 등 연금저축(개인연금)은 국민연금·퇴직연금과 함께 노후 대비를 위한 ‘3대 연금’으로 손꼽힌다.

2일 금융감독원 공시자료에 따르면, 생명보험사 17곳의 지난해 연금저축보험 연수익률 평균은 2.44%였다. 지난해 물가상승률 3.6%를 고려하면 사실상 마이너스다. 같은 해 은행권 정기예금(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 3.68%, 정기적금 3.5%보다도 낮다. 범위를 넓히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연금저축보험의 최근 5년 평균 수익률은 1.81%, 7년 평균 수익률은 1.28%, 10년 평균 수익률은 1.51%였다. 한국은행이 목표로 하는 물가상승률 2%에도 미치지 못한다.

연금저축보험의 수익률이 저조한 이유는 보험사가 금리를 보수적으로 설정하기 때문이다. 보험사는 고객에게 받은 보험료로 주식·부동산·채권에 투자한 뒤, 투자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방식으로 상품을 운용한다. 하지만 채권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경향이 강하다 보니 투자수익은 낮아질 수밖에 없고, 고객에게 돌아가는 이자도 줄어든다.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연금저축보험의 평균 기준금리(공시기준이율)는 3.42%였다. 반면 같은 기간 국고채(3년) 평균 금리는 3.36%, 회사채(3년·AA-) 금리는 4.12%였다. 보험사는 한술 더 떠 연금저축보험의 이율을 기준금리보다 낮게 설정하고 있다. 지난달 연금저축보험 기준금리는 3.3%였는데, 같은 달 삼성생명은 2.67%, 한화생명은 2.48%, 교보생명은 2.45%였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가 채권 등에 투자해 벌 수 있는 수익이 기준금리와 유사하다”라며 “인건비와 고정비 등이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 이상으로 이자를 주면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그래픽=손민균

또 다른 문제는 사업비다. 보험사는 고객이 낸 보험료에서 사업비를 제한 금액에 이자를 붙인다. 보험료로 100만원을 냈다면 10만원의 사업비를 뺀 90만원에 이자가 붙는 셈이다. 돈을 낸 순간부터 손해를 보는 상품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연금저축보험은 은행 예·적금과 비교해 비과세 혜택이 있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보너스 명목의 축하금을 지급한다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수익률이 저조하다 보니 고객들은 똑같은 비과세 혜택이 있는 연금저축펀드로 갈아타고 있다. 연금저축펀드는 계좌에 입금한 돈으로 국내·외 상장지수펀드(ETF)와 채권에 투자해 자산을 불려 나가는 상품이다. 보험사가 제공하는 이율보다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지난해 연금저축펀드의 수익률은 평균 11.6%였다.

하지만 보험업계의 위기의식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새 회계제도(IFRS17)에서 연금저축보험과 같은 저축성 보험은 실적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보험사들은 IFRS17 도입 이후 저축성 보험 판매 비중을 낮추고 건강보험 등 보장성 보험의 비중을 늘리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회계제도로 인해 연금저축보험의 판매가 사실상 축소됐다”라고 전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290 [농축산 열전]① “기후 변화 잘 버텨요”… 고온에 강한 사과 ‘컬러플’ & 병 안걸리는 배 ‘그린시스’ 랭크뉴스 2024.05.11
24289 박찬대가 쏘아올린 '1주택 종부세 폐지'…민주당의 선택은? 랭크뉴스 2024.05.11
24288 [OK!제보] 집에선 한우·진료실선 금품 수수…명문 의대 교수의 민낯 랭크뉴스 2024.05.11
24287 [차세대 유니콘](31) 글로벌 생성형 AI 4위 오른 ‘라이너’... 김진우 대표 “전 세계 대학생·연구원에게 ‘챗GPT’보다 사랑받고 싶어” 랭크뉴스 2024.05.11
24286 [지방소멸 경고등] 전유성도 떠난 '귀농·귀촌 성지' 경북 청도 랭크뉴스 2024.05.11
24285 '어머니의 간절한 탄원' …노모에게 망치 휘두른 불효자 벌금형 랭크뉴스 2024.05.11
24284 “5만 관중 속 쌍둥이도 구별”…똑똑해진 AI 얼굴인식 보안솔루션[빛이 나는 비즈] 랭크뉴스 2024.05.11
24283 와이파이·블랙박스도 발명했다…'이공계 천국' 이 나라 비결 랭크뉴스 2024.05.11
24282 군용차 폐배터리 폭발로 20살 병사 다쳤는데…軍·제조사 '잘못 없다' 랭크뉴스 2024.05.11
24281 김주애·리설주, 김정은의 사라진 그녀들…‘액세서리’에 불과?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4.05.11
24280 미성년자 성추행 혐의 남성 찾아와 협박까지 랭크뉴스 2024.05.11
24279 정부 이제서야 '유감'‥네이버 직원들 '불안' 랭크뉴스 2024.05.11
24278 “서울시와 납품 계약”…농민들 울린 30억 대 납품 사기 랭크뉴스 2024.05.11
24277 모든 암세포 공격하는 ‘만능 세포치료제’ 나오나…면역세포 작동 원리 찾았다 랭크뉴스 2024.05.11
24276 아르헨티나서 열차 충돌로 탈선…승객 100여명 다쳐 랭크뉴스 2024.05.11
24275 "트럼프, 北美정상회담 때 文 의도적 배제…美우선외교 사례"(종합) 랭크뉴스 2024.05.11
24274 "손톱만 가지고도 싸울 것" 네타냐후 버티는 이유 랭크뉴스 2024.05.11
24273 “트럼프, 북미 정상회담 때 文 의도적 배제” 측근 전언 랭크뉴스 2024.05.11
24272 ‘빠순이’, 사랑 그리고 하이브 vs 어도어 사태[젠더살롱] 랭크뉴스 2024.05.11
24271 '도ㄴ' '급ㅈ' 광고에 혹했다가 연리 500% 폭탄... 청년 노린 불법대출 기승 랭크뉴스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