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브란스병원에서 일하는 교수들이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한 4월30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한 진료실 앞에 휴진 안내문이 붙어 있다. 한수빈 기자


전국 의대 교수들이 ‘주 1회 휴진’을 실시하면서 의료공백이 커지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 간 대치 국면은 3달째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정부는 의료계에 “대화하자”면서 이달부터 전공의 수련·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의료계에선 의대 증원에 강하게 반대해온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 집행부가 1일 공식 출범했다.

정부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지난 30일 전국 40개 의대 소속 88개 병원 중 8개 병원의 일부 교수들이 외래 진료를 축소해 휴진했으며 이들 병원에서 축소된 외래 진료량은 최소 2.5%에서 최대 35%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1일 밝혔다. 지난 30일 서울대·연세대·고려대·국립경상대 등에 속한 병원에서 일하는 교수들이 하루 휴진했다. 오는 3일에도 서울성모병원과 서울아산병원, 울산대병원 등을 비롯해 다수 병원에서 교수들이 휴진에 나선다.

전병왕 중대본 제1통제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필수의료 재정 투입과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안을 설명하면서 “전공의 여러분들은 정부의 진의를 의심하지 말고 수련현장으로 조속히 돌아오시기 바라며 의대 교수 여러분도 환자의 곁을 지켜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했다.

이날 정부는 이달부터 ‘전공의 연속근무 단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병원은 1년간 전공의 연속근무 시간을 현행 36시간에서 24~30시간으로 자율적으로 단축해 수련과정을 운영한다. 정부는 참여 병원에는 수련환경평가 현지조사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행정부담을 줄여주고, 내년도 전공의 별도 정원을 5명까지 추가 배정하는 등의 지원에 나선다.

전날 법원이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대해 이달 중순까지 승인하지 말라고 권고한 것에 대해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이날 중대본 브리핑에서 “통상적으로 대입 시행계획을 확정하는 시기가 5월 하순이기 때문에 법원 결정에 따라 (절차에서) 충돌하는 바는 없다”고 했다. 그는 “재판부가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자료를 소상하게 준비해 제출하겠다”고 설명했다.

정원이 늘어난 32개 의대 모두가 내년도 의대 증원 규모를 결정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제출한 가운데 지난 30일 법원은 “5월 중순까지 2025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 계획을 최종 승인하지 말라”고 정부에 권고했다. 법원은 또 정부 측에 정원 증원의 근거 자료도 요구했다.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1일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이 적법하고 근거있는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의료계의 의견을 받아들인 것”이라며 환영 입장을 냈다. 그러면서 정부가 재판부에 제출한 자료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 집단이 검증하고 그 결과를 공개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의대 증원에 강하게 반대해온 임현택 의협 회장 집행부가 공식 출범했다. 임 회장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전공의와 의대생, 의대 교수, 학부모 등을 일일이 열거하고 “사태가 빨리 해결되길 원하시는 국민들과 환자분들이 너무 걱정하지 않도록 얽힌 매듭을 잘 풀어나가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의협 새 집행부와 정부 간 대화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전 통제관은 “의협도 새 집행부가 활동을 시작하는데 정부는 대화의 문이 계속 열려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현재 의협은 사회적 협의체인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는 참여하지 않고 있다. 대신 의협 새 집행부는 출범과 동시에 ‘범의료계 협의체’를 구성해 정부와의 ‘일 대 일 대화’에 대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의료계가 단일한 목소리를 낼 창구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지만 이내 다른 목소리가 나왔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내부 공지를 통해 “범의료계 협의체 구성에 협의한 바 없다”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245 삼성 스마트폰, 인도서 ‘판매액 기준’ 점유율 1위… 비보·샤오미에 앞서 랭크뉴스 2024.05.11
24244 무릎 연골이 말랑말랑… 무릎연골연화증, 젊은이에게도 많이 발생 랭크뉴스 2024.05.11
24243 [썰로벌] 아이티는 어쩌다 갱들의 천국이 됐을까 (영상) 랭크뉴스 2024.05.11
24242 “임보하려 직장 그만둬” 간절한 유기견들 모인 이곳 [개st하우스] 랭크뉴스 2024.05.11
24241 러, 우크라 제2도시 하르키우 공세…“1㎞ 진입” 랭크뉴스 2024.05.11
24240 보험료 아끼려고…폴란드 번호판으로 바꿔다는 伊 운전자들 랭크뉴스 2024.05.11
24239 유엔총회 “팔레스타인, 정회원국 가입 자격 충분히 갖춰” 랭크뉴스 2024.05.11
24238 70여명 총살 거부했다…‘부당 명령 미이행’ 문형순 경찰서장 호국원에 랭크뉴스 2024.05.11
24237 '의대생 살인' 피해자, 빈소 없이 장례…"조용히 보내고 싶다" 랭크뉴스 2024.05.11
24236 유엔총회 "팔레스타인, 유엔 정회원국 가입자격 충분히 갖춰"(종합) 랭크뉴스 2024.05.11
24235 유엔 "우리 팀도 갇혔다…라파 봉쇄로 구호 불능" 랭크뉴스 2024.05.11
24234 '가시 왕관' 내려놓는 그녀들…美 미인대회 우승자에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11
24233 "소주 6병 음주운전"‥알고보니 '바꿔치기' 랭크뉴스 2024.05.11
24232 “모스크바 테러가 사전 연습”… 공포에 떠는 올림픽 랭크뉴스 2024.05.11
24231 뉴욕증시, 장 초반 혼조세…반도체주 강세 랭크뉴스 2024.05.11
24230 美, 우크라에 5천억원 상당 무기 또 지원…이스라엘 대응과 대조 랭크뉴스 2024.05.11
24229 [사설]미중 무역전쟁 AI까지 확전…전방위 지원 속도전 펼 때다 랭크뉴스 2024.05.11
24228 "정신 건강이 우선"…美미인대회 우승자 잇단 왕관 반납,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11
24227 달리기 땀 흘린 뒤, 시원한 맥주 벌컥벌컥…이곳 나빠집니다 [건강한 가족] 랭크뉴스 2024.05.11
24226 유럽 견제에 일본까지 가세‥K방산 위기론? 랭크뉴스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