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월 민간고용 19.2만명···지난해 7월 이후 최대치
고용 호조세에 인건비 부담↑···'끈적한 물가' 계속돼
사라진 금리 인하 기대감···美 금융시장 휘청일 우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미국의 3월 민간 고용 증가세가 1일(현지시간) 월가의 예상치를 웃돌았다. 기대치보다 1만 명의 고용이 더 늘어나면서 인건비 상승에 따른 고물가 불안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물가 안정과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도 완전히 꺾이는 양상이다.

1일(현지시간) 발표된 ADP 전미고용보고서에 따르면 4월 민간 부문 고용은 전달보다 19만 2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블룸버그 전망치(18만 3000명)와 3월 민간 고용 증가치(18만 4000명)를 5% 가량 웃돈다. 지난해 7월(30만 7000명) 이후 월간 기준 최대치이기도 하다. 해당 보고서는 약 40만 개 미국 사업체 고객의 임금 데이터를 근거로 비농업 민간 고용의 월 변화를 알아보는 척도로 쓰인다. 넬라 리처드슨 ADP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4월 채용이 광범위하게 이뤄졌다”며 “건설뿐만 아니라 레저와 숙박업에서도 급여 증가를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의 노동 시장은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호조세를 기록 중이다. 고금리 환경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이 낮고 고용이 높아 인건비 등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다. 실제 지난달 30일 발표된 고용비용지수(ECI)가 전년 대비 4.2% 오르는 등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전 분기에 비해서도 1.2%(계절 조정 기준) 올랐는데 지난해 4분기(0.9%)보다 오름폭이 가팔라지면서 2022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고용비용지수는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을 비롯해 의료보험과 연금 등 복리후생비용을 포괄해 산출하는 지수로 연준이 주시하는 인건비 지표 중 하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분기 지표는 임원 보너스로 인해 왜곡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번에는 인센티브 지급 직종을 제외한 고용 비용이 오히려 더 올랐다”고 분석했다.

물가 및 임금 상승 압력이 강해진 분위기에서 금리 인하 시점이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은 여느 때보다 강해졌다. 이날 연준 금리 향방에 대한 시장 전망치를 보여주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기준금리 동결 확률은 98.9%로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6월 금리 인하 확률 역시 9.5%로 낮게 보고 있어 상반기 금리 피벗(방향 전환)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현재 시장 전문가들은 11월 무렵에나 0.25% 금리 인하(41.1% 확률)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꺾이며 미국 증시에도 불안도 높다. 지난달 30일 미국 3대 지수는 일제히 1~2%씩 하락했으며 월간 기준으로도 4~5%씩 내렸다. 올 들어 가장 저조한 성적표를 기록한 셈이다.

시장은 이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에 관한 기존 전망을 뒤집어 ‘물가 인상 가능성’을 거론하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모습이다. 인플레이션이 3% 가까운 수준에서 고착화할 것이라는 메시지가 나온다면 금리 인하 근거는 사라지고 오히려 금리 인상으로 무게 추가 옮겨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미국의 긴축과 그에 따른 강 달러 추세도 가속 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11월 대선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연준이 기존 메시지를 번복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WSJ는 “연준 관리들이 대체로 현재 분위기를 크게 우려하는 것 같지는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주목하는 인건비 지표가 최근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고 민간 고용이 지난해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완전히 꺾이는 양상이다. 올해 금리 인하가 단 한 차례도 이뤄지지 않고 오히려 금리 인상 메시지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며 미국 3대 증시가 일제히 떨어지는 등 시장 불안이 짙어지고 있다.

1일(현지시간) 발표된 ADP 전미고용보고서에 따르면 4월 민간 부문 고용은 전달보다 19만 2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블룸버그 전망치(18만 3000명)와 3월 민간 고용 증가치(18만 4000명)를 5% 가량 웃돈다. 지난해 7월(30만 7000명) 이후 월간 기준 최대치이기도 하다. 해당 보고서는 약 40만 개 미국 사업체 고객의 임금 데이터를 근거로 비농업 민간 고용의 월 변화를 알아보는 척도로 쓰인다. 넬라 리처드슨 ADP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4월 채용이 광범위하게 이뤄졌다”며 “건설뿐만 아니라 레저와 숙박업에서도 급여 증가를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의 노동 시장은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호조세를 기록 중이다. 고금리 환경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이 낮고 고용이 높아 인건비 등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다. 실제 지난달 30일 발표된 고용비용지수(ECI)가 전년 대비 4.2% 오르는 등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전 분기에 비해서도 1.2%(계절 조정 기준) 올랐는데 지난해 4분기(0.9%)보다 오름폭이 가팔라지면서 2022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고용비용지수는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을 비롯해 의료보험과 연금 등 복리후생비용을 포괄해 산출하는 지수로 연준이 주시하는 인건비 지표 중 하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분기 지표는 임원 보너스로 인해 왜곡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번에는 인센티브 지급 직종을 제외한 고용 비용이 오히려 더 올랐다”고 분석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3365 105㎜ 자주곡사포 ‘풍익’, 근거리 전투에 효과 ‘만점’…尹 취임식 ‘예포’로 존재감[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4.05.09
23364 ‘고가 가방’ 의혹 오늘 고발인 조사…김건희 여사 조사는? 랭크뉴스 2024.05.09
23363 "40분짜리 뮤지컬 본 듯"…어른도 놀란 '35살 롯데월드'의 밤 랭크뉴스 2024.05.09
23362 민희진發 리스크로 ‘시총 1兆' 빠진 엔터사, 고평가 논란 랭크뉴스 2024.05.09
23361 오타니 前통역사, 몰래 은행서 232억원 빼돌린 혐의 인정 합의 랭크뉴스 2024.05.09
23360 의료 공백 속 외국의사 진료 허용 '초강수'… 의사들은 "후진국 의사 수입해오나" 랭크뉴스 2024.05.09
23359 '해외직구' 어린이 장난감 슬라임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 검출 랭크뉴스 2024.05.09
23358 '교제 살인' 혐의 20대 구속‥법원 "도주 우려" 랭크뉴스 2024.05.09
23357 윤 대통령 장모 가석방 '적격'‥오는 14일 출소 랭크뉴스 2024.05.09
23356 미 상무 “대중국 투자 제한 규정, 연말까지 완성” 랭크뉴스 2024.05.09
23355 尹 각본없는 회견… 채상병 특검·김여사 명품백 입장 촉각 랭크뉴스 2024.05.09
23354 보잉기, 이스탄불서 동체 착륙…잇단 사고에 속수무책? 랭크뉴스 2024.05.09
23353 의사 줄었는데…응급실에 경증환자 다시 몰린다, 14% 증가 왜 랭크뉴스 2024.05.09
23352 독불장군·무데뽀·벌거벗은 임금님…이제는 벗어나라[국정쇄신 시민컨설팅] 랭크뉴스 2024.05.09
23351 전직 대통령 증정본도 폐기‥'디올백'만 국고에? 랭크뉴스 2024.05.09
23350 국민연금 20년이상 가입 수급자 100만명육박…월평균 107만7천원 랭크뉴스 2024.05.09
23349 회의록 공방에 외국의사 도입까지…의정 갈등 '설상가상' 랭크뉴스 2024.05.09
23348 "집에서 아이 낳을 판…" 고위험 산모 책임질 의료진 씨가 마른다 랭크뉴스 2024.05.09
23347 윤 대통령, 오늘 취임 2주년 기자회견…“국민 공감할 수 있어야” 랭크뉴스 2024.05.09
23346 대만, 정말 금투세 도입해서 증시 박살났던 걸까 랭크뉴스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