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타임지 인터뷰서 “우리 제대로 대우해야”
“한국은 부자 나라… 왜 우리가 방어하나”
나토에도 “돈”… ‘대만 방어’ 질문엔 ‘침묵’
‘성추문 입막음 돈’ 지급 의혹 사건 재판 형사 피고인으로 지난달 30일 미국 뉴욕 맨해튼지방법원에 출석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잠시 휴식 뒤 법정으로 돌아오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재집권을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방위비 한국 분담금의 대폭 증액 필요성을 거론했다. 미군 철수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답하면서다. '비용 조건부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으로 한국을 압박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막 시작된 한미 간 분담금 조정 협상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 인터뷰 내용을 공개했다. ‘한국에서 군대를 철수할 것이냐’는 질문은 같은 달 27일 추가 전화 인터뷰 과정에서 이뤄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
한국이 우리를 제대로 대우해 주기를 바란다
”는 요구로 대답을 시작했다. 철수를 피하려면 한국이 충족해야 할 조건을 제시한 것이다.

김정은 탓에 위태로운 주한미군



트럼프 전 대통령은 “
우리 병력 4만 명(실제 2만8,500명)이 거기에 있는데 그들(한국)이 사실상 한 푼도 지불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첫 임기 때) 나는 협상을 했다
”며 답변을 이어갔다. 한국 분담금이 늘어야 하는 이유로 그가 거론한 것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존재다. 그는 “미군 4만 명의 처지가 다소 위태롭다”며 “바로 옆에 나와 아주 잘 지내지만 야망이 큰 남자(김정은)가 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한국이 부자 나라인데 왜 우리가 방어하느냐”라고도 했다.

한국의 경제력도 압박 근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들은 아주 부유한 나라가 됐고, 우리는 사실상 그들에게 군대 대부분을 무상 지원했다”며 “수십억 달러를 지불하기로 동의했지만 내가 (백악관을) 떠난 지금은 아마 거의 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듣기로는 그들이 조 바이든 행정부와 재협상을 했고, 그 숫자(액수)를 거의 아무것도 없던 이전 수준으로 확 낮출 수 있었다”고 재차 강조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첫 임기(2017~2020년) 직전 한국의 분담금은 9,441억 원이나 됐다. 트럼프 집권 후 인상 압박으로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 뒤 1조1,833억 원(2021년)에 양국이 합의할 수 있었다. 2022~2025년 인상률은 한국의 전년도 국방 예산 증가율을 적용해 계속 금액이 늘고 있다.

한국이 트럼프 행정부 이전에는 분담금을 거의 지불하지 않았다거나,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분담금을 대폭 낮췄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 주장은 거짓
인 셈이다.

바이든 정부가 ‘트럼프 효과’ 수혜?

도널드 트럼프(가운데)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뉴욕 맨해튼지방법원에서 재판을 받은 뒤 법정을 나가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게다가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민주·공화 양당 후보로 확정된 3월 12일 이후 바이든 대통령이 추격에 성공하며 두 전·현직 대통령 지지율 경쟁은 초접전에 돌입했다. 11월 대선에서 누가 이길지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한미는 지난달 23~25일 첫 회의를 열며 2026년부터 적용될 제12차 분담금 협정 협상에 일찌감치 착수한 상태다. 분담금 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바이든 행정부라고 예외가 아니다. 미국 대선 전에 협상을 끝내고 싶은 쪽은 한국이다. 조바심을 내는 편의 협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압박 대상은 한국뿐만이 아니다. 인터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국가에 대해서도 “만약 돈을 내지 않을 거면 알아서들 (방어)하라”고 위협
했다.
중국이 침략하면 대만 방어에 나설지에 대해서는 침묵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300 비트코인, 6만달러 턱걸이…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3% 이상 급락 랭크뉴스 2024.05.11
24299 [르포] 대규모 재개발에 한산한 은평 상권… “GTX 호재에도 상권 침체 우려” 랭크뉴스 2024.05.11
24298 [주간코인시황] 외부 환경 취약한 비트코인, 한 주간 오르락내리락 반복 랭크뉴스 2024.05.11
24297 오늘 서울 도심 연등회···내일은 뉴진스님 뜬다 랭크뉴스 2024.05.11
24296 김부각에 "베리 굿" 연발…K-푸드 수출 늘자 전남서 벌어진 일 랭크뉴스 2024.05.11
24295 스타필드 번지점프 추락사…현장 알바생 등 3명 송치 랭크뉴스 2024.05.11
24294 잇따른 중대재해 사망사고…5월은 희생의 달? 랭크뉴스 2024.05.11
24293 인기 가수 콘서트장 된 대학 축제…치솟은 몸값에 '몸살' 랭크뉴스 2024.05.11
24292 "연예인은 공인" 71%···"범죄나 비윤리적 행동, 알권리 있다" 80% 이상 [여론 속의 여론] 랭크뉴스 2024.05.11
24291 뉴욕 증시, 4월 CPI 발표 앞두고 혼조세 마감 랭크뉴스 2024.05.11
24290 [농축산 열전]① “기후 변화 잘 버텨요”… 고온에 강한 사과 ‘컬러플’ & 병 안걸리는 배 ‘그린시스’ 랭크뉴스 2024.05.11
24289 박찬대가 쏘아올린 '1주택 종부세 폐지'…민주당의 선택은? 랭크뉴스 2024.05.11
24288 [OK!제보] 집에선 한우·진료실선 금품 수수…명문 의대 교수의 민낯 랭크뉴스 2024.05.11
24287 [차세대 유니콘](31) 글로벌 생성형 AI 4위 오른 ‘라이너’... 김진우 대표 “전 세계 대학생·연구원에게 ‘챗GPT’보다 사랑받고 싶어” 랭크뉴스 2024.05.11
24286 [지방소멸 경고등] 전유성도 떠난 '귀농·귀촌 성지' 경북 청도 랭크뉴스 2024.05.11
24285 '어머니의 간절한 탄원' …노모에게 망치 휘두른 불효자 벌금형 랭크뉴스 2024.05.11
24284 “5만 관중 속 쌍둥이도 구별”…똑똑해진 AI 얼굴인식 보안솔루션[빛이 나는 비즈] 랭크뉴스 2024.05.11
24283 와이파이·블랙박스도 발명했다…'이공계 천국' 이 나라 비결 랭크뉴스 2024.05.11
24282 군용차 폐배터리 폭발로 20살 병사 다쳤는데…軍·제조사 '잘못 없다' 랭크뉴스 2024.05.11
24281 김주애·리설주, 김정은의 사라진 그녀들…‘액세서리’에 불과?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