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타임지 인터뷰서 “우리 제대로 대우해야”
“한국은 부자 나라… 왜 우리가 방어하나”
나토에도 “돈”… ‘대만 방어’ 질문엔 ‘침묵’
‘성추문 입막음 돈’ 지급 의혹 사건 재판 형사 피고인으로 지난달 30일 미국 뉴욕 맨해튼지방법원에 출석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잠시 휴식 뒤 법정으로 돌아오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재집권을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방위비 한국 분담금의 대폭 증액 필요성을 거론했다. 미군 철수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답하면서다. '비용 조건부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으로 한국을 압박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막 시작된 한미 간 분담금 조정 협상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 인터뷰 내용을 공개했다. ‘한국에서 군대를 철수할 것이냐’는 질문은 같은 달 27일 추가 전화 인터뷰 과정에서 이뤄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
한국이 우리를 제대로 대우해 주기를 바란다
”는 요구로 대답을 시작했다. 철수를 피하려면 한국이 충족해야 할 조건을 제시한 것이다.

김정은 탓에 위태로운 주한미군



트럼프 전 대통령은 “
우리 병력 4만 명(실제 2만8,500명)이 거기에 있는데 그들(한국)이 사실상 한 푼도 지불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첫 임기 때) 나는 협상을 했다
”며 답변을 이어갔다. 한국 분담금이 늘어야 하는 이유로 그가 거론한 것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존재다. 그는 “미군 4만 명의 처지가 다소 위태롭다”며 “바로 옆에 나와 아주 잘 지내지만 야망이 큰 남자(김정은)가 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한국이 부자 나라인데 왜 우리가 방어하느냐”라고도 했다.

한국의 경제력도 압박 근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들은 아주 부유한 나라가 됐고, 우리는 사실상 그들에게 군대 대부분을 무상 지원했다”며 “수십억 달러를 지불하기로 동의했지만 내가 (백악관을) 떠난 지금은 아마 거의 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듣기로는 그들이 조 바이든 행정부와 재협상을 했고, 그 숫자(액수)를 거의 아무것도 없던 이전 수준으로 확 낮출 수 있었다”고 재차 강조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첫 임기(2017~2020년) 직전 한국의 분담금은 9,441억 원이나 됐다. 트럼프 집권 후 인상 압박으로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 뒤 1조1,833억 원(2021년)에 양국이 합의할 수 있었다. 2022~2025년 인상률은 한국의 전년도 국방 예산 증가율을 적용해 계속 금액이 늘고 있다.

한국이 트럼프 행정부 이전에는 분담금을 거의 지불하지 않았다거나,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분담금을 대폭 낮췄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 주장은 거짓
인 셈이다.

바이든 정부가 ‘트럼프 효과’ 수혜?

도널드 트럼프(가운데)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뉴욕 맨해튼지방법원에서 재판을 받은 뒤 법정을 나가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게다가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민주·공화 양당 후보로 확정된 3월 12일 이후 바이든 대통령이 추격에 성공하며 두 전·현직 대통령 지지율 경쟁은 초접전에 돌입했다. 11월 대선에서 누가 이길지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한미는 지난달 23~25일 첫 회의를 열며 2026년부터 적용될 제12차 분담금 협정 협상에 일찌감치 착수한 상태다. 분담금 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바이든 행정부라고 예외가 아니다. 미국 대선 전에 협상을 끝내고 싶은 쪽은 한국이다. 조바심을 내는 편의 협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압박 대상은 한국뿐만이 아니다. 인터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국가에 대해서도 “만약 돈을 내지 않을 거면 알아서들 (방어)하라”고 위협
했다.
중국이 침략하면 대만 방어에 나설지에 대해서는 침묵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3869 이번 주 '김여사 명품가방 의혹' 고발인 조사 통보 랭크뉴스 2024.05.05
23868 "뛰다 차에 치일 뻔"... 안전 뒷전인 '돈벌이' 마라톤 대회 랭크뉴스 2024.05.05
23867 국내선 지갑 닫았다는데 ‘GDP깜짝’ 성장…'찜찜한' 경기반등[송종호의 쏙쏙통계] 랭크뉴스 2024.05.05
23866 ‘하수관 속 알몸 시신’ 전말…발작으로 응급실 갔다가 실종 랭크뉴스 2024.05.05
23865 "가정까지 파괴"…'이것' 활개에 범정부 집중홍보 랭크뉴스 2024.05.05
23864 공수처,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 김계환 사령관 14시간 조사 랭크뉴스 2024.05.05
23863 반포서도, 잠실서도 새 '커뮤니티' 바람분다 랭크뉴스 2024.05.05
23862 국가인권위원장 “아동인권 구현하는 학생인권조례 폐지 유감”···어린이날 성명 랭크뉴스 2024.05.05
23861 '택시 총량제' 보라…의대 증원, 대학이 선택해야 하는 이유 랭크뉴스 2024.05.05
23860 어린이날, 전국 비…곳곳 강한 비바람 [7시 날씨] 랭크뉴스 2024.05.05
23859 이번엔 '정부24'에서 오류... 다른 사람 서류가 발급됐다 랭크뉴스 2024.05.05
23858 ‘워런 버핏-찰리 멍거’ 이후 버크셔의 리더는?... ‘후계자’에 쏠리는 관심 랭크뉴스 2024.05.05
23857 또 싸우셨나요? 결혼 위기에 도움주는 구절 7가지 랭크뉴스 2024.05.05
23856 ‘5년 생존율 15.9%’ 췌장암, 가족력 2명만 있어도 발병 위험 18배 랭크뉴스 2024.05.05
23855 "어? 비 오네!" 망연자실한 부모들을 위한 '어린이날 긴급 처방전' 랭크뉴스 2024.05.05
23854 “저 어묵국물 좀” 입맛도 가지각색…회장님의 ‘또 간 집’ 랭크뉴스 2024.05.05
23853 어린이손님에 '부모님이나 데리고 와'…"일상속 차별 너무 많죠" 랭크뉴스 2024.05.05
23852 "당직 서고 곧바로 외래진료 투입"…필수의료 전공 의사들 랭크뉴스 2024.05.05
23851 민희진이 쓴 계획적 혼돈이라는 전략에 대하여[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4.05.05
23850 LA서 40대 한인 남성 경찰 총격에 사망…경찰 과잉진압 의혹 랭크뉴스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