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T 품목들 2개월 연속 동반 플러스…자동차 수출액 역대 최대
대미수출, 석달 연속 대중수출 '추월'…"투자유발형 수출 많아"


부산항 신선대·감만 부두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올해 4월 수출이 7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하고, 무역수지가 11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간 것은 한국 수출의 주력인 반도체 업황이 회복세를 이어가고 자동차 수출이 호조를 띤 영향이 크다.

반도체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50% 넘게 증가해 100억달러에 조금 못 미치는 실적으로 6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전기차 판매 증가세 둔화로 연초 고전했던 자동차 수출은 작년보다 10% 넘게 성장하며 역대 최대 수출액을 경신해 전체 수출 증가에 기여했다.

반도체 등 15대 주력품 중 13개 수출 플러스…8개는 두자릿수 성장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4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반도체를 비롯한 15대 주력 수출품 가운데 13개가 플러스 성장하며 한국 수출을 견인했다.

특히 IT 품목(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무선통신기기)의 수출이 지난 3월에 이어 2개월 연속 동반 플러스 성장 기록을 이어가며 선전했다.

대중(對中) 수출과 함께 한국 수출의 양대 버팀목인 반도체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56.1% 늘어난 99억6천만달러로 집계됐다.

반도체 생산라인 현장 방문한 안덕근 장관
(서울=연합뉴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월 11일 경기 이천시 SK하이닉스 이천사업장을 방문해 EUV 등 반도체 생산라인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2024.1.11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지난해 시황 악화로 고전했던 최대 수출품 반도체 수출은 6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가며 역대 4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실적으로 수출 버팀목 역할을 톡톡히 했다.

컴퓨터와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수출도 각각 76.2%, 16.3%, 11.4% 늘어나며 모두 두 자릿수 성장으로 전체 수출 증가에 힘을 보탰다.

지난해 반도체 수출이 부진한 사이 한국 수출을 떠받쳤던 자동차 수출은 올해 2∼3월 마이너스 성장으로 주춤했으나 4월에는 부진을 벗고 사상 최대 수출액 기록을 써 '수출 효자'로 돌아왔다.

자동차 수출은 지난해보다 10.3% 증가한 67억9천만달러였다.

특히 부가가치가 높은 친환경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수출이 늘어나면서 수출액과 수출 물량 모두 증가하는 건실한 구조를 나타냈다.

IT 품목과 자동차를 비롯해 바이오헬스(21.3%), 석유제품(19.0%), 석유화학(12.3%) 등 15대 주력품 중 절반이 넘는 8개 품목의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했고, 13개 품목이 플러스 성장을 이어가면서 올해 최다 품목 수출 플러스를 달성했다.

다만 철강(-5.7%)은 글로벌 시장 부진 지속 등의 영향으로, 이차전지(-20.1%)는 리튬을 비롯한 광물 가격 하락 영향 등으로 작년 동월 대비 수출이 줄었다.

대미수출, 석달 연속 대중수출 '추월'…"투자유발형"
한국의 양대 수출 대상국인 중국과 미국을 둘러싼 수출 지형도 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의 최대 수출국 자리는 중국이 지켜왔지만, 지난해 12월 대미(對美)수출이 대중 수출을 앞서면서 이 자리를 내줬다. 이는 2003년 6월 이후 20년 6개월 만이었다.

이후 지난 1월 중국은 수출액으로 미국을 4억4천300만달러 앞섰다가, 지난 2월 한 달 만에 다시 최대 수출국 자리를 미국과 바꿔 3월까지 같은 흐름을 이어갔다.

4월에도 2∼3월에 이어 석 달 연속으로 대미 수출 규모가 대중 수출보다 컸다. 4월 대미 수출은 114억1천만달러로, 대중 수출(104억6천만달러)보다 10억달러 가깝게 많았다.

4월 대미 무역수지는 54억달러로 집계돼 꾸준한 흑자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와 야적장에 수출 대기 중인 완성차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전체 대미 무역수지는 444억7천만달러로, 중국(-180억달러)과 일본(-186억달러)에 비해 탄탄한 무역구조를 보였다.

대중 수출은 지난 2월 17개월 만에 '반짝 흑자'를 기록했다가 3월 8억8천만달러 적자로 돌아섰고, 4월에는 19억6천만달러 적자를 내며 적자 폭을 키웠다.

일각에서는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이어지면서 미국이 무역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미국 정치권을 중심으로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강화되면서 한국에 무역적자가 이어지는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소비재 등 일반적인 품목의 수출 증가 때문이라기보다 대미 투자 증가에 따른 영향이 큰 만큼 이를 적극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 수출은 '관계사 간 거래' 비중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 관세법은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의 지분율 5%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관계사로 규정하는데, 2015년 이후 이뤄진 미국의 대한국 수입 중 약 60%가 관계사 간 거래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 기준 자동차 등 수송기기 제조업과 컴퓨터·전자기기 제조업 등 한국의 주력 업종에서는 관계사 간 거래 비중이 각각 82.1%, 71.8%로 높게 나타났다.

조상현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한국 기업이 미국 현지에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투자를 진행하면서 생산시설과 기계 등 투자 유발형 수출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는 미국의 고용과 세수에 기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 같은 양국 무역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설득과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5493 킴 카다시안도 한 ‘뱀파이어 시술’로 3명 HIV 감염 랭크뉴스 2024.04.30
25492 김계환 소환 통보‥유재은 "통화 내용 기억 안 나" 랭크뉴스 2024.04.30
25491 美 뉴욕 증시, FOMC 앞두고 일제히 상승… 테슬라 15% 급등 랭크뉴스 2024.04.30
25490 전세사기특별법 1년, 다가구는 여전히 사각지대 랭크뉴스 2024.04.30
25489 "김여사 스토킹 수사"‥"약속 잡고 만났는데" 랭크뉴스 2024.04.30
25488 정부 “4조” vs 시민사회 “5천억”…‘선구제 후회수’ 재원규모 논란 랭크뉴스 2024.04.30
25487 국경일 '떼빙'은 옛말... 밤마다 출몰하는 '폭주족'에 매일이 위험천만 랭크뉴스 2024.04.30
25486 韓 방산 빅4, 1분기 매출 18% 증가… 성장세 이어간다 랭크뉴스 2024.04.30
25485 서울대·세브란스병원·고려대병원 교수들 오늘 ‘휴진’ 랭크뉴스 2024.04.30
25484 韓 방산 ‘빅4′, 1분기 매출 18% 증가… 성장세 이어간다 랭크뉴스 2024.04.30
25483 “LH도 당했는데 개인이 무슨 수로…” 다가구 전세사기는 사각지대 랭크뉴스 2024.04.30
25482 "'개성'보다 '매출'이 중요해"... K팝 시장 시끄러운 이유, 전부 비슷하기 때문이다 랭크뉴스 2024.04.30
25481 軍, 압록강 타격 무기 만든다…한국형 전술지대지Ⅱ ‘2030년’ 실전 배치[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4.04.30
25480 윤 대통령-이재명 대표 첫 회담서 의료 개혁·연금 개혁엔 ‘공감대’ 랭크뉴스 2024.04.30
25479 ‘제주 맛집’ 앞 헌혈버스 “헌혈하면 즉시 입장에 국수 무료” 랭크뉴스 2024.04.30
25478 교통사고 피해자 자녀 양육비, 무상지급 아닌 대출…헌재 "합헌" 랭크뉴스 2024.04.30
25477 가자지구 휴전 가능성 국제 유가 1% 넘게 급락 랭크뉴스 2024.04.30
25476 [김희원 칼럼] 윤 대통령, 병역의무 청년들에 답하라 랭크뉴스 2024.04.30
25475 상습 차량 보험사기 일삼다…판사까지 고소 랭크뉴스 2024.04.30
25474 尹-이재명 만나자 '추경한다' 유언비어…"국고채 4%갈수도" 랭크뉴스 202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