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T 품목들 2개월 연속 동반 플러스…자동차 수출액 역대 최대
대미수출, 석달 연속 대중수출 '추월'…"투자유발형 수출 많아"


부산항 신선대·감만 부두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올해 4월 수출이 7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하고, 무역수지가 11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간 것은 한국 수출의 주력인 반도체 업황이 회복세를 이어가고 자동차 수출이 호조를 띤 영향이 크다.

반도체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50% 넘게 증가해 100억달러에 조금 못 미치는 실적으로 6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전기차 판매 증가세 둔화로 연초 고전했던 자동차 수출은 작년보다 10% 넘게 성장하며 역대 최대 수출액을 경신해 전체 수출 증가에 기여했다.

반도체 등 15대 주력품 중 13개 수출 플러스…8개는 두자릿수 성장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4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반도체를 비롯한 15대 주력 수출품 가운데 13개가 플러스 성장하며 한국 수출을 견인했다.

특히 IT 품목(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무선통신기기)의 수출이 지난 3월에 이어 2개월 연속 동반 플러스 성장 기록을 이어가며 선전했다.

대중(對中) 수출과 함께 한국 수출의 양대 버팀목인 반도체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56.1% 늘어난 99억6천만달러로 집계됐다.

반도체 생산라인 현장 방문한 안덕근 장관
(서울=연합뉴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월 11일 경기 이천시 SK하이닉스 이천사업장을 방문해 EUV 등 반도체 생산라인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2024.1.11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지난해 시황 악화로 고전했던 최대 수출품 반도체 수출은 6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가며 역대 4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실적으로 수출 버팀목 역할을 톡톡히 했다.

컴퓨터와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수출도 각각 76.2%, 16.3%, 11.4% 늘어나며 모두 두 자릿수 성장으로 전체 수출 증가에 힘을 보탰다.

지난해 반도체 수출이 부진한 사이 한국 수출을 떠받쳤던 자동차 수출은 올해 2∼3월 마이너스 성장으로 주춤했으나 4월에는 부진을 벗고 사상 최대 수출액 기록을 써 '수출 효자'로 돌아왔다.

자동차 수출은 지난해보다 10.3% 증가한 67억9천만달러였다.

특히 부가가치가 높은 친환경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수출이 늘어나면서 수출액과 수출 물량 모두 증가하는 건실한 구조를 나타냈다.

IT 품목과 자동차를 비롯해 바이오헬스(21.3%), 석유제품(19.0%), 석유화학(12.3%) 등 15대 주력품 중 절반이 넘는 8개 품목의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했고, 13개 품목이 플러스 성장을 이어가면서 올해 최다 품목 수출 플러스를 달성했다.

다만 철강(-5.7%)은 글로벌 시장 부진 지속 등의 영향으로, 이차전지(-20.1%)는 리튬을 비롯한 광물 가격 하락 영향 등으로 작년 동월 대비 수출이 줄었다.

대미수출, 석달 연속 대중수출 '추월'…"투자유발형"
한국의 양대 수출 대상국인 중국과 미국을 둘러싼 수출 지형도 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의 최대 수출국 자리는 중국이 지켜왔지만, 지난해 12월 대미(對美)수출이 대중 수출을 앞서면서 이 자리를 내줬다. 이는 2003년 6월 이후 20년 6개월 만이었다.

이후 지난 1월 중국은 수출액으로 미국을 4억4천300만달러 앞섰다가, 지난 2월 한 달 만에 다시 최대 수출국 자리를 미국과 바꿔 3월까지 같은 흐름을 이어갔다.

4월에도 2∼3월에 이어 석 달 연속으로 대미 수출 규모가 대중 수출보다 컸다. 4월 대미 수출은 114억1천만달러로, 대중 수출(104억6천만달러)보다 10억달러 가깝게 많았다.

4월 대미 무역수지는 54억달러로 집계돼 꾸준한 흑자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와 야적장에 수출 대기 중인 완성차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전체 대미 무역수지는 444억7천만달러로, 중국(-180억달러)과 일본(-186억달러)에 비해 탄탄한 무역구조를 보였다.

대중 수출은 지난 2월 17개월 만에 '반짝 흑자'를 기록했다가 3월 8억8천만달러 적자로 돌아섰고, 4월에는 19억6천만달러 적자를 내며 적자 폭을 키웠다.

일각에서는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이어지면서 미국이 무역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미국 정치권을 중심으로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강화되면서 한국에 무역적자가 이어지는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소비재 등 일반적인 품목의 수출 증가 때문이라기보다 대미 투자 증가에 따른 영향이 큰 만큼 이를 적극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 수출은 '관계사 간 거래' 비중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 관세법은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의 지분율 5%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관계사로 규정하는데, 2015년 이후 이뤄진 미국의 대한국 수입 중 약 60%가 관계사 간 거래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 기준 자동차 등 수송기기 제조업과 컴퓨터·전자기기 제조업 등 한국의 주력 업종에서는 관계사 간 거래 비중이 각각 82.1%, 71.8%로 높게 나타났다.

조상현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한국 기업이 미국 현지에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투자를 진행하면서 생산시설과 기계 등 투자 유발형 수출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는 미국의 고용과 세수에 기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 같은 양국 무역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설득과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823 ‘왕초보’ 60대女 차량 인도로 돌진…엄마와 딸 덮쳤다 랭크뉴스 2024.05.10
21822 '2대 주주' 넷마블, 하이브 지분 또 매각...이유는 랭크뉴스 2024.05.10
21821 "공룡 나올라" 파리 올림픽 주제가, 쥬라기 공원 표절 논란 랭크뉴스 2024.05.10
21820 엄마 앞서 딸 살해한 김레아… 변호사 10명 ‘방어막’ 랭크뉴스 2024.05.10
21819 ‘불닭볶음면’ 실적 날아오르자…삼양식품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랭크뉴스 2024.05.10
21818 “침묵이 최선”… 류준열, ‘한소희 환승연애’ 첫 입장 랭크뉴스 2024.05.10
21817 [단독] 교비 횡령·사업 비리 제보한 직원 해고한 일광학원…법원이 제동 랭크뉴스 2024.05.10
21816 "80대 노인이 7살 딸 성추행" CCTV 돌려본 엄마는 경악했다 랭크뉴스 2024.05.10
21815 [속보] 네이버 "日 라인야후 지분 매각 포함 모든 가능성 소프트뱅크와 협의" 랭크뉴스 2024.05.10
21814 “마지막 남은 금융소득 사다리” 거버넌스포럼, 금투세 재검토 촉구 랭크뉴스 2024.05.10
21813 [속보] 네이버 "라인야후 지분매각 포함 모든 가능성 협의 중"…첫 인정 랭크뉴스 2024.05.10
21812 "꼭 살아야 한다"... 시한부 판정 견주, 반려견 주차장에 남겨둔 사연 랭크뉴스 2024.05.10
21811 [속보] 과기부 "日 라인 지분매각 압박 유감…부당조치 강력대응" 랭크뉴스 2024.05.10
21810 '10.29 이태원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 민들레·더탐사, 검찰 넘겨져 랭크뉴스 2024.05.10
21809 침묵 고수한 류준열 “고민 많은 시기...비판 감당하는 게 최선” 랭크뉴스 2024.05.10
21808 과기부 "日정부 라인 지분매각 압박 유감…부당조치 강력대응" 랭크뉴스 2024.05.10
21807 ‘역대급 하자’ 무안 힐스테이트…현대엔지니어링 결국 “책임 통감” 공식 사과 랭크뉴스 2024.05.10
21806 [단독] 화성 단독주택 화재 “방화 의심”…1명 심정지 랭크뉴스 2024.05.10
21805 네이버 '라인사태' 첫 입장문…“지분 매각 포함해 모든 가능성 열고 협의 중” 랭크뉴스 2024.05.10
21804 네이버 “지분 매각 포함 모든 가능성 열고 소프트뱅크와 협의” 랭크뉴스 202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