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공식회담 발언 비율 윤 대통령 85, 이재명 15”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발언을 굳은 표정으로 듣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회담으로 ‘협치 첫발’을 뗐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는 데는 실패했다. 이 대표는 “국정의 방향타를 돌릴 마지막 기회라는 마음으로 국민들의 말씀에 귀 기울여주시기 부탁드린다”며 국정 기조 전환과 각종 민생 현안 해법을 요구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각 현안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길게 설명하면서, 대부분의 이 대표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다. 2년 만에 성사된 만남에서 서로의 견해차를 확인한 만큼, 22대 국회에서 여야 협치 전망은 낙관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날 회담은 취재진이 있는 앞에서 이 대표가 12가지의 민생·국정 현안 관련 요구 사항을 말하고, 이후 비공개 회담에서 이들 사안에 의견을 나누는 식으로 진행됐다. 이 대표는 머리발언에서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연구개발(R&D) 예산의 추경 편성 △전세사기특별법 등 민생입법에 관심 △의대 증원 등 의료개혁 협력 △연금개혁 적극 추진 등의 민생 과제 해결을 요구했다.

이 대표는 또 “과도한 거부권 행사, 입법권을 침해하는 시행령 통치, 인사청문회 무력화 같은 조치들은 민주공화국의 양대 기둥이라고 할 삼권분립, 법치주의를 위협하는 일일 수 있다”며 “이태원 참사 특별법이나 특검법 등에 대한 거부권 행사에 대해 유감 표명과 함께 국회 결정을 존중하겠다는 약속을 해주시길 정중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그러면서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 특검과 이태원 참사 특별법 수용 등을 요구했다.

하지만 대부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박성준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회담 후 브리핑에서 “(비공개) 회담에서 이 대표가 화두를 꺼내면 윤 대통령이 답변을 했는데 답변이 상당히 길어졌다”며 “시간 계산을 해보니 (윤 대통령과 이 대표 발언 비중이) 85 대 15가 됐던 것 같다”고 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답이 길어지면서 채 상병 특검법 처리 등 다른 현안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고 했다. 회담에 함께 배석한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언론에 대한 압수수색 문제, 알앤디 예산 이야기, 연금 개혁과 의료 개혁, 이태원 특별법, 여야정 민생협의체 이야기가 주로 있었고 나머지 주제는 논의할 시간이 없었다”고 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태도에 불만을 드러냈다. 박 수석대변인은 “우리 당이 주장했던 민생 회복, 국정 기조 관련해서 민생을 회복하고 국정 기조를 전환하겠다는 의지가 없어 보였다”며 “영수회담에 대해서 큰 기대를 했지만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 상황 인식이 너무 안이해서 향후 국정이 우려된다”고 했다.

이어 “영수회담은 사진 찍는 자리가 아니라 답을 듣는 자리, 실행하는 자리, 실천하는 자리로 의미가 있어야만 국민에게 다가갈 수 있는데 그 부분이 아쉬웠다”고 했다. 이 대표는 회담 후 “답답하고 아쉬웠다. 소통의 첫 장을 열었다는 데 의미를 둬야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양쪽은 앞으로 어떤 형식이든 종종 만나기로 했다.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밤 한국방송(KBS) 인터뷰에서 “회담 말미에 제가 ‘다음 번엔 형식에 구애받지 말고 배석자 없이 두 분만 따로 만나시는 거 어떠냐’고 말씀 던져봤는데 두 분 모두 고개를 끄덕이셨다”며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 여야 지도자간의 만남과 소통, 협치 기회는 여러차례 국민들에게 선보여질 거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정례적인 소통 창구를 만들지는 못했다.

이번 회담은 4·10 총선에서 여당이 참패한 뒤 지난 19일 윤 대통령이 이 대표에게 전화로 제안해 성사됐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제1야당의 요구들을 대부분 수용하지 않은 채 국정 기조 불변을 고수했다. 그만큼 협치 전망은 여전히 밝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민주당은 21대 국회(5월29일 종료)에서 관철하지 못한 각종 특검법을 22대 국회에서 재발의하고 또다시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며 평행선을 달릴 가능성이 있다.

21대 국회 마지막 임시국회인 ‘5월 임시국회’에도 먹구름이 끼게 됐다. 민주당은 오는 30일부터 다음달 29일까지 국회를 열고 두 차례 본회의에서 채상병 특검법과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전세사기 특별법 등을 처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이 반대하고 있다. 여야 원내대표는 이날도 5월 임시국회 일정에 합의하지 못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120 ‘소득대체율 44% 수용’ 이재명 “연금개혁 골든타임···여당, 지체 없이 협의 나서라” 랭크뉴스 2024.05.25
39119 김호중 팬들 난리났다...정치권 이슈 은폐 위한 '희생양' 의혹 제기 랭크뉴스 2024.05.25
39118 상법에 단어 하나만 추가해도 주가 오른다? 대체 왜 랭크뉴스 2024.05.25
39117 ‘증원 반대’ 의대 교수들 “31일 입시요강 마감, 법으로 정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4.05.25
39116 사우디 재정적자 어떻길래… "세계 최고 알짜기업 '이곳' 지분 매각" 랭크뉴스 2024.05.25
39115 최재형 “채상병 특검법 당당히 받아야”…與 4번째 찬성 랭크뉴스 2024.05.25
39114 김호중 구속에…팬들 "정치권 이슈 은폐 용도 아니길" 성명문 랭크뉴스 2024.05.25
39113 "강형욱 CCTV 해명 열 받아" 前직원 무료 변론 선언한 변호사 랭크뉴스 2024.05.25
39112 "의대교수 물러서나" 1주일 휴진 철회 시사…"전체 상황은 미지수" 랭크뉴스 2024.05.25
39111 눈 안 보이는 송승환, 객석은 눈물 아닌 웃음 빵빵 터진다…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25
39110 경복궁 담벼락 낙서 배후 ‘이 팀장’ 25일 구속 기로 랭크뉴스 2024.05.25
39109 최재형 "채 상병 특검 당당히 받아야"…국힘 4번째 공개 찬성 랭크뉴스 2024.05.25
39108 이재명 "연금개혁, 국민의힘 44%안 전적으로 수용‥21대에 매듭짓자" 랭크뉴스 2024.05.25
39107 고민정 "종부세 폐지" 주장에…당내 "국힘 가라" "분탕질" 발칵 랭크뉴스 2024.05.25
39106 이재명 "與의 소득대체율 44% 수용…민주당이 다 양보하겠다" 랭크뉴스 2024.05.25
39105 "모기떼·팅커벨에 캠핑도 못가겠다"…전문가들 "올해 곤충떼 출몰 잦을 것" 랭크뉴스 2024.05.25
39104 "부장님도 평판 조회 받으시죠"…진화하는 채용 시장[빛이 나는 비즈] 랭크뉴스 2024.05.25
39103 땅콩버터로 살뺀다? 요즘 핫한 ‘혈당 다이어트’ 팩트체크 랭크뉴스 2024.05.25
39102 이재명 "소득대체율 44% 수용…尹, 민주당 제안 받아달라" 랭크뉴스 2024.05.25
39101 강형욱 사과·해명에  前 직원 반박...박훈 변호사는 무료 변론 자청 랭크뉴스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