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李 첫 영수회담서 종종 만나 국정 논의키로
의대 정원 증원에는 공감대
李 긴급민생회복조치 검토 요구에 尹 거부
尹 제시한 민생 여야정 협의체에는 李 반대
협치 카드 국무총리 인선 논의는 없어
전문가 “정국, 계속 평행선 달릴 것”

윤석열 대통령은 2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취임 후 첫 영수회담을 열고 야당과 대화의 장을 열었다. 회담에서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종종 만나 국정 현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그러나 양자는 뚜렷한 합의점은 찾지 못했다. 모두발언에서 작심 발언을 쏟아낸 이 대표는 이날 회담에 대해 “답답하고 아쉬웠다”면서도 “소통의 첫 장을 열었다는 데 의미를 두겠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정국이 계속 평행선을 달릴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첫 영수회담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뉴스1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집무실에서 2시간 15분간 차담회 형식으로 이 대표와 영수회담을 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720일 만에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의 회담이 성사된 것이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환하게 웃으며 이 대표를 맞이했고, 이 대표도 미소로 화답했다.

이도운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회담 결과 브리핑에서 “이날 회동은 무엇보다 윤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머리를 맞대고 민생을 논의한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수석은 이어 “정치의 복원이자 여야 협치에 시동을 건 것으로 볼 수 있다”며 “향후 정치 상황에 대한 예측은 어렵지만, 야당과의 소통에 첫걸음을 내디딘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별도 브리핑에서 “양자가 오늘 첫 소통의 문을 열었으니까 앞으로 자주 만나고 소통하자고 했다”고 했다. 특히 현안인 의대 정원 증권 문제에 대해서는 이 대표가 의료개혁이 필요하고 의대 정원 증원은 불가피하다는 데 윤 대통령과 인식을 같이 했다.

그러나 협치까지 갈 길은 멀다. 이 대표는 회담직전 모두발언에서 채상병 특검, 김건희 여사 문제 해결 등을 촉구했다. 그러나 차담회에서 이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특히 이 대표는 모두발언에서 “민주당이 제안한 긴급민생회복조치를 적극적으로 검토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했지만, 윤 대통령은 차담회에서 “물가와 금리 재정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지금은 어려운 분들부터 지원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며 반대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차담회에서 “민생협의를 위해 여야정 협의체 같은 기구가 필요하다”고 했지만, 이 대표는 “여야가 국회라는 공간을 우선 활용하자”며 반대했다. 협치카드로 관심이 모아졌던 국무총리 인선 문제도 회담에서 논의되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첫 영수회담이 열린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전자상가에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뉴스1

전문가들은 영수회담 전후로 달라지는 게 별로 없을 것으로 봤다. 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초빙교수는 “윤 대통령이 사면초가 상태 속 소통하는 모습으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만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이 대표는 총선 때 확인한 민심을 무차별적으로 전달해 야당 대표로서의 존재감을 높이고 22대 국회에서 장악력 높이기 위해 만난 것”이라고 했다. 박 교수는 “애초에 합의할 가능성도 낮고 합의할 내용도 없었다”며 “영수회담 전후로 별로 달라진 게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준한 연세대 교수도 “합의문도 없는 알맹이가 빠진 회담이었다”며 “특검 정국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국정 기조를 바꾸고 소통할 수 있게 이 대표를 끌어내고, 이 대표는 국정파트너로서 위상을 굳히고 민생에 기여하길 바랐는데 정국은 계속 평행선을 달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영수회담 현장에는 윤 대통령과 이 대표 외에 대통령실에서는 정진석 비서실장·홍철호 정무수석·이도운 홍보수석, 민주당에서는 진성준 정책위원회 의장·천준호 당대표 비서실장·박성준 수석대변인이 배석했다. 앞서 양측은 세 차례의 준비회동을 통해 의제 제한 없이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기로 정했다. 시간도 1시간을 기본으로 하되 제한을 두지 않기로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036 “내년에도 봅시다, 내가 올 수 있기를” 93세 버핏의 뼈있는 농담 랭크뉴스 2024.05.06
22035 [인터뷰] 아르디스 콘스탄스 호텔그룹 헤드오브세일즈 “직항 없는 20시간 비행도 괜찮아… 남들과 다른 허니문이라면” 랭크뉴스 2024.05.06
22034 "다자녀 정책, 다 버리고 이것만 해라" 삼둥이 교수아빠의 일침 랭크뉴스 2024.05.06
22033 '반지의 제왕' '타이타닉' 배우 버나드 힐 별세 랭크뉴스 2024.05.06
22032 16년간 종적 감추고 개인정보 거래까지…도넘은 사회복무요원들 랭크뉴스 2024.05.06
22031 홀로 아이들 맞은 대통령‥김 여사 잠행 언제까지? 랭크뉴스 2024.05.06
22030 "내 집 앞에 손님 차가 왜 있어" 고무망치로 식당업주 폭행 50대 랭크뉴스 2024.05.06
22029 1000원짜리 사과 사면 630원이 유통비용…2027년까지 10% 낮춘다[뒷북경제] 랭크뉴스 2024.05.06
22028 40%?·50%?…연금개혁 최대 쟁점 소득대체율, 도대체 뭐길래 랭크뉴스 2024.05.06
22027 강풍에 구조물 쓰러지고, 폭우에 곳곳 '땅꺼짐' 랭크뉴스 2024.05.06
22026 "美, 지난주 이스라엘行 탄약 선적 보류…하마스 침공 후 처음" 랭크뉴스 2024.05.06
22025 제주, 호우·강풍 특보 해제‥항공편 재개 예상 랭크뉴스 2024.05.06
22024 학폭 저지르면 교사 꿈 못 꿔…교대들, 지원 제한·불합격 처리 랭크뉴스 2024.05.06
22023 송미령 장관 "양곡법 통과땐 남는 쌀 매입·보관비만 3조원" 랭크뉴스 2024.05.06
22022 [르포] ‘산세권’ 호불호 갈릴 듯… 역까지는 도보 30분 [서대문센트럴아이파크] 랭크뉴스 2024.05.06
22021 김 여사 의혹 미적대던 검찰, 명품백 수사로 ‘리스크’ 덜어내나 랭크뉴스 2024.05.06
22020 [K의료기기 프론티어] “흉부 X선 사진에서 골다공증 위험 알아낸다...세계 최초 도전” 랭크뉴스 2024.05.06
22019 “美 주식 결제 시간 2→1일 단축”… 덩달아 바빠진 韓 증권가 랭크뉴스 2024.05.06
22018 "尹격노가 시발점" "박 대령 월권"…윗선 향하는 '채상병' 수사 랭크뉴스 2024.05.06
22017 [사설] 고발 5개월 만 ‘명품백’ 수사··· 주가조작 사건은 언제 하나 랭크뉴스 2024.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