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업인력공단, 작년 국가기술자격 응시 현황
50대 비중 12%···2009년 통계 이래 ‘최대’
응시자 절반, 취업자···노후 위한 취·창업 1위
지게차운전에 쏠려···직무 살린 재취업 ‘의문’
17일 대구 달서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2024 달서구 중장년 취업박람회에서 한 구직자가 참여업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작년 국가기술자격을 응시한 50대 국민이 통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노후 불안으로 퇴직 이후 제2 인생을 준비하려는 고용시장 움직임이 국가기술자격 통계로도 확인된 셈이다. 우려는 이들 대부분 지게차운전처럼 현장직을 선호하면서 기존 경력과 단절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 엿보인다는 점이다.

29일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작년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응시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50대 응시자는 21만8497명으로 전체 응시자(179만5721명)의 12.2%를 차지했다. 50대 응시자와 비중은 인력공단이 이번처럼 매년 국가기술자격 통계를 작성한 2009년 이래 역대 최대다.

50대 응시자가 늘어나는 속도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파르다. 작년 전체 응시자는 5년 동안 연평균 1.7%씩 올랐다. 반면 50대는 같은 기간 9.2%나 급증했다. 2019년만하더라도 50대 응시자는 15만4000명이었는데, 작년 21만8000명으로 42% 뛰었다.

이는 현 직장을 떠난 후 생계에 대한 고민이 그만큼 크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인력공단이 50대 응시자에 응시 목적을 물은 결과 ‘취업 또는 창업’을 꼽은 비율이 37.9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기개발(28.16%), 직무수행능력향상(23.14%) 순이다. 실제로 50대 응시자 중 절반이 넘은 57.28%는 이미 취업한 상태였다.

50대가 가장 많이 응시하는 국가기술자격은 지게차운전기능사로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1위다. 2019~2021년 1위는 한식조리기능사였다. 지게차운전기능사와 한식조리기능사는 매년 1위를 놓고 경쟁이다. 지게차 운전은 별도 자격 요건이 없는 데다 현장 수요가 많아 응시자의 관심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50대의 국가기술자격이 점점 높아지는 상황은 크게 두 가지 우려를 키운다. 고령화로 대표되는 인구구조 변화 속에서 50대의 고용불안도 그만큼 높아진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해외에 비해 근로자 보호 기조가 강해 이직과 전직이 쉽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달 공개한 미국 싱크탱크인 헤리티지재단의 올해 경제자유지수 평가에 따르면 한국은 노동시장에서 57.2점을 받아 184개국 중 87위에 머물렀다. 배정연 경총 국제협력팀장은 “경제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동시장 유연성을 강화하고 노사관계를 개선하는 노동 개혁 추진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다른 우려는 현 직장을 떠난 50대가 자신의 직무를 연계한 취업에 어려움이 크다는 점이 짚힌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발표한 ‘65세 이상 고령자 고용 증가 현황과 원인 및 시점’ 보고서’에 따르면 이미 상대적으로 학력이 높은 고령층까지 경력이 단절되고 ‘괜찮은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2022년 기준 65세 이상 근로자 중 저학력층의 신규 취업 비중은 77.7%에 달한다. 고학력층도 55.7%로 낮지 않다. 이들 전체의 일 형태를 보면 단순 노무직 비율이 54.8%로 절반에 달한다. 이 분석은 고령층 직전인 50대가 지게차운전과 한식조리로 몰리고 있는 인력공단 통계의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인력공단 관계자는 “작년 50대 국가기술자격 응시 비율을 보면 정보기술(IT) 관련 자격증 응시율이 극히 낮았다”며 “50대가 현재 직무를 활용해 제2 인생을 준비할 수 있는지 고민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098 오세훈 요청 TBS 지원 연장조례 결국 불발…시의회, 의총서 논의조차 안해 랭크뉴스 2024.05.03
21097 공용화장실서 '여성 불법 촬영 혐의' 20대에 무죄 이유는? 랭크뉴스 2024.05.03
21096 특효 약초 씹어 상처에 슥…‘바르는 약’ 사용법 아는 오랑우탄 발견 랭크뉴스 2024.05.03
21095 KIA 장정석·김종국 "1억 받았지만…부정청탁 받은 적은 없다" 랭크뉴스 2024.05.03
21094 박영선, 총리설에 "딱 한 마디로 긍정적 답변한 적 없다" 랭크뉴스 2024.05.03
21093 “역시 애플” 실적하락에도 역대 최대 자사주 매입으로 주가 방어 랭크뉴스 2024.05.03
21092 “기본 검색 엔진 시켜줘” 애플에 27조 원 준 구글 랭크뉴스 2024.05.03
21091 홍준표, 이재명 겨냥 "범인으로 지목돼 여러 재판받는 사람이…" 랭크뉴스 2024.05.03
21090 윤석열 대통령, 어버이날 기념식 참석 "기초연금 40만 원으로 상향" 랭크뉴스 2024.05.03
21089 ‘독재 정치와 경기 침체 지겨워’… 中 부자들, 이웃 나라 일본 간다 랭크뉴스 2024.05.03
21088 "씨가 날려서 돋아나드랑께요" 양귀비 걸린 섬마을 노인의 오리발 랭크뉴스 2024.05.03
21087 기아 장정석·김종국 “1억 받았지만…가을야구 사기진작 차원” 랭크뉴스 2024.05.03
21086 정부 “전공의 일부 병원 복귀… 제 자리로 돌아와달라” 랭크뉴스 2024.05.03
21085 '대포통장'으로 악용되는 모임통장, 이제 쉽게 못 만든다 랭크뉴스 2024.05.03
21084 인천공항공사, 하청업체 소송 패소…1200명 무더기 직고용 불가피 랭크뉴스 2024.05.03
21083 스쿨존 사고 10건 중 4건…“불법 주정차에 의한 시야가림으로 발생” 랭크뉴스 2024.05.03
21082 "특검 거부하면 범인" "범인 지목된 사람이…난센스" 홍준표·이재명 '범인' 공방 랭크뉴스 2024.05.03
21081 검찰, 윤관석 의원 ‘뇌물수수 혐의’ 국회사무처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4.05.03
21080 이화영 술판회유 주장에 법무부 "담배·술 등 금지물품 제공 없어" 랭크뉴스 2024.05.03
21079 4년간 스쿨존 교통사고 분석해보니…"10건 중 4건은 '이것' 때문" 랭크뉴스 202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