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율모집 건의 국립대 위주 감축 모집
사립은 주로 증원 몫 100% 반영 기류
울산대는 감축 쪽 논의, 29일 확정 예정
의과대학 정원 확대로 정부와 의료계의 강 대 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는 22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뉴스1


정부가 내년 의과대학 신입생을 의대 정원 증원분(2,000명)의 50~100% 한도에서 대학이 자율적으로 모집하도록 한 가운데, 증원분 감축은 국립대 위주로 이뤄질 공산이 커지고 있다. 사립대는 대체로 늘어난 정원대로 신입생을 모집하려는 기류여서 내년도 의대 증원 규모는 1,500명이 넘을 것으로 관측된다.

28일 교육계 등에 따르면, 의대 정원이 늘어난 비수도권·경인권 소재 32개교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2025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잠정 결론 낸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 거점 국립대들은 대체로 증원분 감축 모집으로 가닥을 잡았다. 경북대는 증원 인원으로 배정받은 90명 가운데 절반인 45명만 내년 신입생으로 더 뽑기로 했다. 경상국립대는 124명 증원분의 절반인 62명, 제주대는 60명 증원분의 절반인 30명을 늘리기로 방침을 정했다. 세 학교의 증원 감축분은 총 137명이다. 이들 대학은 의정 갈등 두 달째인 이달 18일 2025학년도 의대 신입생에 한해 각 대학이 여건에 따라 모집인원을 정할 수 있게 해달라고 대정부 건의문을 낸 6개 국립대에 포함된다.

건의문에 이름을 올린 충남대 충북대 강원대는 이번 주 초 회의를 거쳐 모집 규모를 결정할 계획이다. 현 정원(49명)보다 4배 이상 많은 증원분(151명)을 배정받은 충북대는 29일 충북도, 유관단체 등과 회의를 연다. 충북대 대학본부는 증원분을 50% 줄여 의대 신입생 125명 모집을 고려하고 있지만, 김영환 충북지사는 건국대 분교를 포함해 도내 의대의 증원 배정분 100% 유지를 주장하고 있다. 국립 의대 가운데 대정부 건의에 참여하지 않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도 모집인원 조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의 참여 6개 국립대가 모두 '50% 증원'을 결정한다면 의대 증원 감축분은 총 299명, 9개 국립대 전부가 같은 결정을 하면 총 403명이다. 내년도 전체 의대 모집인원이 정부가 상정한 2,000명에서 300~400명 줄어드는 셈이다.

사립대는 증원분 100%를 모집요강에 반영하려는 기류가 우세하다. 계명대(증원분 44명 배정) 고신대(24명) 동아대(51명) 인제대(7명) 영남대(44명) 조선대(25명) 등 증원 규모가 작은 의대는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안에 증원분 100%를 반영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동아대 등 일부 사립대는 의대 건물 신축 등에 착수해 의대생을 배정받은 만큼 모집하는 데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정원 50인 이하 '미니 의대'를 둔 사립대들은 교육여건 개선 효과, 대학 인지도 향상 등을 고려하면 27년 만에 잡은 증원 기회를 선뜻 놓칠 수 없다는 분위기다.

다만 현 정원(40명)보다 2배 많은 증원분(80명)을 배정받은 울산대 등 일부 사립대는 모집인원 조정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파악됐다. 울산대 관계자는 이날 본보에 "(증원분) 감축 쪽으로 검토 중이며 29일 오후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학본부 측은 최대 20명 감축 모집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증원 폭이 상대적으로 큰 지역 국립대들이 증원분 감축 모집에 적극 나서고, 일부 사립대가 소폭 감축을 한다면 내년에 늘어날 의대 입학생은 1,500명 선이 될 전망이다. 반면, 감축 동참 대학 수나 감축 비율이 낮다면 증원 규모가 1,800명대에 달할 수도 있다. 전형계획 변경안 제출 시한인 이달 말까지 상당수 대학이 정부 방침과 다른 대학 동향을 체크하며 막판 눈치싸움을 할 것으로 보인다. 상황에 따라서는 내년도 신입생 모집요강을 공개해야 하는 5월 말을 마지노선으로 삼고 대학들이 의대 모집인원 결정에 장고를 거듭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6079 “채 상병 수사기록 혐의자 다 빼라” 유재은, 이르면 29일 공수처 재소환 랭크뉴스 2024.04.28
26078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 30일 휴진하고 ‘의료의 미래’ 토론회 연다 랭크뉴스 2024.04.28
26077 난폭운전 적발되자 90km 도주…추격 끝에 50대 검거 랭크뉴스 2024.04.28
26076 이준석 “해병대 박정훈 대령 무죄 나오면 정권 내놔야” 랭크뉴스 2024.04.28
26075 수능 '6등급'이 붙다니…상위권 몰려가던 '이 대학' 어쩌다가 랭크뉴스 2024.04.28
26074 法, 형제복지원 '국가 책임' 또 인정 랭크뉴스 2024.04.28
26073 중국 광저우, 폭우 지나가자 토네이도로 5명 사망·33명 부상 랭크뉴스 2024.04.28
26072 무관심층과 전략적 스윙보터 사이, ‘2030 정치’의 오늘과 내일 랭크뉴스 2024.04.28
26071 국민이 심판한 윤, 이제 ‘민주당 탓’ 못 해…남은 선택 3가지 랭크뉴스 2024.04.28
26070 두 달짜리 與 '비대위원장' 인선 하세월... 이르면 29일 가닥 랭크뉴스 2024.04.28
26069 정부, “의료계 집단행동 유감…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랭크뉴스 2024.04.28
26068 의대 교수 ‘주 1회 휴진’에…중수본 “유감과 우려…비상진료체계 강화” 랭크뉴스 2024.04.28
26067 강아지 쏴 죽인 게 결단력?… 美부통령 후보 회고록 ‘시끌’ 랭크뉴스 2024.04.28
26066 의대 교수 ‘주 1회 휴진’에 중수본 “유감과 우려…비상진료체계 강화” 랭크뉴스 2024.04.28
26065 민희진에게 ‘업무상 배임죄’ 적용할 수 있나 랭크뉴스 2024.04.28
26064 버려진 ‘커피컵’ 수북…1시간 동안 홀로 치운 시민 [아살세] 랭크뉴스 2024.04.28
26063 ‘집안싸움’에도 뉴진스 새 뮤직비디오 1,000만 돌파…댓글도 뜨겁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4.28
» »»»»» 내년 의대 1500명 이상 증원 전망... 국립대 '감축'·사립대 '유지' 기류 랭크뉴스 2024.04.28
26061 카드키 안 쓰는 ‘대통령 호텔방’…나훈아도 묵은 313호 [영상] 랭크뉴스 2024.04.28
26060 서초동 ‘30억 아파트’ 유리창, 알고보니 중국산 위조품... “정품으로 재시공” 랭크뉴스 202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