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한 전문 여행사 고려투어 “‘태양절' 명칭 폐기 통보 받아”
북한은 지난 14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김일성 주석 생일 112주년 기념 청년학생들의 야회 및 축포발사가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5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그동안 최대 명절로 중시해온 고 김일성 주석 생일인 ‘태양절’ 명칭의 폐기를 외부에도 통보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두고 영국인들이 운영하는 북한 관광 전문여행사인 고려투어는 “북한 파트너로부터 ‘태양절' 명칭이 단계적으로 폐기된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북한에서 태양절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는 공지문을 지난 25일 자사 누리집에 올렸다.

고려투어는 “이는 북한 국영매체에서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같이 점진적인 삭제는 일반적으로 발표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 “북한 파트너로부터 해당 명칭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여러 차례 확인받았다”며 “우리는 변경 사항을 우리의 웹사이트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1997년 김일성 주석 생일(4월15일)을 태양절로 제정하고 기념일 전후로 태양절 관련 각종 문화 행사를 열며 중시해왔다. “김일성 동지께서 주체의 태양으로 높이 솟아오르신 1912년을 원년으로하여 주체의 연호를 사용한다. 김일성 동지께서 탄생하신 민족 최대의 명절인 4월15일을 태양절로 제정한다.”(1997년 7월8일 북한 당 중앙위원회, 당 중앙군사위원회, 국방위원회, 중앙인민위원회, 정무원이 공동 발표한 ‘김일성 동지의 혁명 생애와 불멸의 업적을 길이 빛내일데 대하여’ 결정서)

그러나 올해는 지난 2월17일을 끝으로 두 달간 관영매체에서 태양절 용어가 쓰이지 않았고 태양절 당일인 지난 15일에 기사 1건에만 등장해 북한이 의도적으로 태양절 용어를 대체·삭제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통일부 당국자도 지난 16일 “올해 김일성 생일을 맞아 진행된 여러 가지 정황을 보아 명칭이 바뀐 것으로 잠정 판단한다”면서, 북한이 태양절 대신 ‘4·15’라는 표현을 쓰는 데 대해 “이례적이다”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다만 이 같은 동향이 계속될지는 내년 광명성절(2월16일·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생일)까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라고 신중한 자세를 보인 바 있다.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북한전문여행사 고려투어가 누리집에 “북한이 태양절 명칭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며 밝힌 공지문. 고려투어 누리집 갈무리

북한의 태양절 명칭 변경의 의미에 대해서는 우선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한 선대 우상화 대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홀로서기 시도라는 분석이 나왔다.

또 다른 해석은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실패의 충격 속에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온 김정은 위원장이 기존의 비현실적이고 신비스러운 수령 우상화에서 일부 벗어나는 통치를 시도하려는 신호라는 해석도 나왔다. 김창수 전 코리아 연구원 원장은 최근 <시사인>(4월30일치) 기고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실패에서 벗어나 새로운 활로를 모색했다”면서 “정면 돌파를 위해 군사력을 강화하고 인민대중 제일주의를 내세우며 주민들에게 친화적인 지도자상을 만들려 시도했다”고 분석했다. 주민 친화적인 지도자상을 만들기의 일환으로 북한이 과도한 수령우상화의 상징인 태양절 표현 사용을 줄이거나 명칭을 변경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다만 김창수 전 원장은 이것이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을 부정하는, ‘김정은 홀로서기’로 볼 수는 없다”고 강조한다. 김 위원장이 수령제 사회주의라는 북한 통치의 플랫폼을 떠나 홀로서기를 하는 것을 불가능하며, ‘하노이 노딜’ 이후 달라진 정세 속에서 자신의 필요에 따라 기존의 수령 신비화에서 일부 벗어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북한의 수령제 사회주의를 작동”시키려 한다는 것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896 S&P, 韓 국가신용등급 ‘AA’ 유지… 등급 전망 ‘안정적’ 랭크뉴스 2024.04.30
19895 군필자는 임금도 많이, 승진도 빨리?···軍 ‘승진 우대’ 여전한 기업들 랭크뉴스 2024.04.30
19894 ‘현장 민심 수렴’ 조직 개편 논의…취임 2주년 기자회견도 할 듯 랭크뉴스 2024.04.30
19893 "사이코패스 점수 만점에 육박"… '엄여인' 얼굴 처음 공개됐다 랭크뉴스 2024.04.30
19892 이재명 습격범 "어떻게 살아있나, 분하다" 유치장서 쪽지 랭크뉴스 2024.04.30
19891 "호흡이 안 돼요" 4세 아동 긴급 상황…헬기로 400km 날아온 의료진 랭크뉴스 2024.04.30
19890 주형환 저출산위 부위원장 "배우자 출산휴가 10→20일로 확대" 랭크뉴스 2024.04.30
19889 ‘협치 물꼬 대신 복장 터졌다’…윤-이 회담 뒤 격해진 여야 랭크뉴스 2024.04.30
19888 시흥 고가차로 공사장서 교량 상판 붕괴…7명 중경상(종합2보) 랭크뉴스 2024.04.30
19887 서울대병원·세브란스·고대병원 휴진…‘셧다운’ 없었다 랭크뉴스 2024.04.30
19886 “이러다 나도 죽을 수 있겠구나 싶다” 환자들 불안 최고치 랭크뉴스 2024.04.30
19885 중국공산당 오는 7월 ‘20기 3중전회’ 개최 랭크뉴스 2024.04.30
19884 태영건설, 기업개선계획 가결… 채권단 75% 이상 동의 랭크뉴스 2024.04.30
19883 선관위, 전 총장 아들 ‘세자’ 칭하며 특혜…10년간 경력채용 비리 랭크뉴스 2024.04.30
19882 휴진하고 피켓 든 세브란스 교수들‥"전공의 돌아올 수 있게" 랭크뉴스 2024.04.30
19881 경기 시흥 고가차로 공사 현장서 상판 붕괴…7명 부상 [속보영상] 랭크뉴스 2024.04.30
19880 “우리는 민주당의 위성정당 아니다” 목소리 높인 조국…독자노선 가나 랭크뉴스 2024.04.30
19879 대통령실 “李와 의료개혁 공감대…의대 증원 추진 동력 얻었다” 랭크뉴스 2024.04.30
19878 “걸레 무나” “박민새”…정부 성토장서 나온 교수님들의 말 랭크뉴스 2024.04.30
19877 킴 카다시안도 맞은 '뱀파이어 주사' 뭐길래…HIV 감염 충격 랭크뉴스 202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