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권 인사들, 尹과 관계 설정 고심
홍준표는 尹 감싸고, 한동훈 거리두기
안철수는 ‘밀당’, 오세훈은 거리두기
나경원은 조용히 세력결집

왼쪽부터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윤석열 대통령, 나경원 국민의힘 당선인, 안철수 국민의힘 당선인. /그래픽=손민균

4·10 총선 참패 후 여권 대선 잠룡들이 보폭을 넓히고 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사퇴 후 리더십 공백이 이어지며 이들이 움직일 공간이 커져서다. 주목할 것은 과거와 달리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 이른바 윤심을 내세우는 경우가 줄었다는 것이다.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을 두고 엇갈리는 이들의 행보가 주목된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홍준표 대구시장은 윤 대통령을 감싸며 당 내 지지세를 확장하고 있다. 홍 시장은 대선 전 윤 대통령의 경쟁자였다. 한 여권 관계자는 “홍 시장은 최근에는 당권에 관심이 많다”고 귀띔했다. 홍 시장은 ‘한동훈 저격수’로 나선 모양새다.

홍 시장은 총선 직후부터 연일 자신의 페이스북과 온라인 커뮤니티에 “윤 대통령 극렬 지지 세력 중 일부가 지지한 윤 대통령의 그림자였지 독립변수가 아니었다(18일)”, “윤석열 대통령도 배신한 사람(20일)” 등 한 전 위원장을 겨냥해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여기에 지난 16일 윤 대통령과 장시간 만찬을 했고, 이후 친윤(친윤석열)계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의 신임 비서실장 임명을 치켜세우기도 다. 홍 시장은 윤 대통령과의 만찬에서 윤 대통령의 총리 인사 관련 질문에 본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낸 것으로 알려졌다.

반대로 한동훈 전 위원장은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며 정치적 ‘홀로서기’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한 위원장은 지난 19일 대통령 비서실장을 통해 윤 대통령과의 오찬 회동을 제안받았지만, 건강상 이유로 참석하기 어렵다고 완곡히 거절했다. 또 20일엔 “정치인이 배신하지 않아야 할 대상은 여러분, 국민뿐”이라며 총선 이후 유지해 온 침묵을 깨고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대권을 염두하고 있는 두 인물이 윤 대통령을 사이에 두고 경쟁 구도를 설정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자, 홍 시장은 22일 “나는 친윤이 아니다”라며 반박했다. 그는 한 전 위원장을 ‘대권 경쟁자로 견제한다’는 비판에도 “아직 대선은 3년이나 남았다”고 해명하며 갈등은 잠시 소강상태로 접어든 상태다.

그런가 하면 차기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비윤(비윤석열)’계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사안마다 윤 대통령에 대해 다른 입장을 내놓으며 당 내 차별화를 위해 ‘밀당’ 중이다. 안 의원은 지난 12일 여권에서 반대 목소리가 높던 ‘채상병 특검법’에 대해 “찬성표를 던질 계획”이라고 다른 목소리를 냈다. 반면 그는 정진석 비서실장 임명을 두고는 “만약에 지금 현재 대통령과도 사이가 안 좋고 야당과도 사이가 안 좋은 사람이면 어떻게 중재를 하겠나”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차기 대권을 앞두고 보폭을 넓히고 있다. 오 시장은 19일, 22일, 23일에 국민의힘 낙선 후보·당선자들과 만났다. 윤 대통령이 24일에 낙선자들과 만나기 전 취한 행동이다. 오는 30일엔 민주당 서울 지역구 초선 당선인과도 오찬이 예정된 만큼, 오 시장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외연을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윤 대통령에 대한 직접적인 옹호나 비판은 자제하며 물밑에서 주요 인사들과 접촉 중이다.

연판장 사태로 대통령실과 갈등을 빚었던 나경원 국민의힘 당선인도 지난 16일 국민의힘 여성 당선자 10여 명과 차담회를 가졌다. 일각에선 나 당선인이 당권 도전을 염두하고 세력 결집을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박창환 정치평론가는 “처음 시작이 ‘찐윤(진짜 윤석열계)’이었던 한 전 위원장은 윤 대통령에게서 벗어나는 것이 우선순위라 그와 거리를 두고 있다”며 “반면 이번 총선에 출마하지 않아 (책임 소재가 없는) 홍 시장은 한 전 위원장 때리기를 통해 차별성도 보이고 친윤(지지세력)을 가져오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안 당선인은 탈당할 움직임이 없다. 국민의힘에서의 대권 출마를 위해선 당권파인 친윤과 너무 멀어져도 안 되고, 그렇다고 너무 친윤처럼 보여서도 안 되는 입장”이라며 “오세훈 시장은 아예 제3의 입장처럼 보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124 ‘TBS’ 벼랑 끝으로, 지원 연장안 시의회 처리 불발 랭크뉴스 2024.05.03
21123 대통령실 “기자회견 9일 유력…질문 가리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4.05.03
21122 예산서 50대 만취 역주행… 애꿎은 소형차 20대 숨져 랭크뉴스 2024.05.03
21121 검찰총장, "고맙다"는 돌려차기 피해자에 자필 편지로 화답 랭크뉴스 2024.05.03
21120 미국 대학 농성장에 한글 등장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하여’ 랭크뉴스 2024.05.03
21119 최태원 "가족간병에 관심을"…LG 구광모·두산 박정원 통큰 기부(종합) 랭크뉴스 2024.05.03
21118 '해외순방 530억' 예비비 파장‥野 "혈세농단 아니냐"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5.03
21117 ICC, 네타냐후 체포영장 발부 모색…튀르키예, 이스라엘 교역 중단 랭크뉴스 2024.05.03
21116 전공의, 조금씩 돌아오고 있다…정부 “‘빅5′ 전임의 계약율 70% 육박”(종합) 랭크뉴스 2024.05.03
21115 한국 언론자유지수 세계 62위…‘문제있음’ 그룹에 포함 랭크뉴스 2024.05.03
21114 박영선 "긍정적 답변한 적 없다"‥총리직 제안설 첫 인정 랭크뉴스 2024.05.03
21113 “방 하나는 잠가둘게요”… 전셋집 계약조건 논란 랭크뉴스 2024.05.03
21112 ‘치아 자라게 하는 약’ 나왔다···임플란트 대안 되나 랭크뉴스 2024.05.03
21111 “10만원에 팔면 9900원 뗀다”... 사업자에 유리한 크림의 新수수료 정책 랭크뉴스 2024.05.03
21110 "경고 사격에도 NLL 넘어"… 북한에서 날아온 비행체는 '2m 풍선다발' 랭크뉴스 2024.05.03
21109 윤석열 2년, 한국 언론자유 ‘최악’…박근혜 때보다 낮은 64점 랭크뉴스 2024.05.03
21108 분명 ‘찰칵’ 소리 들었는데… 폰 초기화에 2심도 무죄 랭크뉴스 2024.05.03
21107 [단독] 공인노무사회장, 선거 이력 허위 의혹 피소 랭크뉴스 2024.05.03
21106 교사에게 '손가락 욕'해도 교권 침해 아니다?…결국 재심 랭크뉴스 2024.05.03
21105 5월, 올해 최대 분양 물량 풀린다…30대 속속 ’내 집 마련’ 랭크뉴스 202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