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항공업계가 잇달아 중국노선을 증편하거나 신규 취항에 나서고 있다. 중국노선 회복률이 코로나 사태 전의 70% 수준에 불과한데 하늘길을 넓히는 이유는 운수권(타국에 항공기를 보내 여객·화물을 탑재·하역할 수 있는 권리)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2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최근 인천~장자제 노선을 주 3회, 인천~정저우 노선을 주 4회 일정으로 재개했다. 아시아나항공은 5월부터 인천-충칭, 7월부터 인천~시안, 김포~베이징 노선 운항을 재개하고 일부 노선을 증편할 예정이다. 제주항공은 인천~스자좡, 부산~스자좡 노선 운항을 재개한다. 티웨이항공은 인천~선양·지난·원저우 등 5개 노선 운항을 연내 재개할 방침이다.

인천국제공항 입국장./뉴스1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국적사의 중국노선 여객 수는 286만7524명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사태 전인 2019년 1분기(413만8204명)의 69.29% 수준이다. 올 1분기 일본 여객은 620만5279명으로, 2019년 1분기 여객 수(585만2853명)를 넘어섰다.

항공사는 여객이 몰리는 공항에 항공기를 띄워 여객을 확보하는 것이 이득이다. 업계에 따르면 중·단거리 노선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잉사의 B737과 에어버스사의 A320은 1시간을 띄우는데 700만~1000만원이 든다. 국적사 기준으로 5월 3일~6일 인천~청도 항공권과 인천~오사카 항공권 가격은 40만원대로 비슷하다. 운항 시간이 비슷하면 여객이 몰리는 일본 노선에 항공편을 더 투입하는 것이 이득이다.

항공업계가 중국 노선을 늘리는 이유는 운수권을 유지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이다. 항공사는 일정 횟수 이상 비행기를 띄워야 운수권을 지킬 수 있다. 운수권은 주당 운항 횟수 개념으로 각 항공사에 주어진다. 예를 들어 A 항공사가 B 목적지에 대한 운수권을 주 3회 갖고 있고 그걸 유지하기 위한 의무 운항 기간이 연 10주라면, 주 3회씩 10주를 운항해야 운수권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그 기간이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국토부 운수권 배분 규칙에 따르면 중국 운수권을 유지하려면 항공사는 연간 20주를 비행해야 한다. 올해까지는 하늘길 정상화를 위해 10주로 완화됐다.

항공업계에서는 비수기에 일시적으로 중국 노선을 증편하고, 여름 휴가철과 동계 성수기에는 비행기를 다시 일본이나 동남아 등 인기 노선으로 돌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986 빌라 기피에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 "귀하다 귀해" 랭크뉴스 2024.05.09
21985 경찰서 옥상에서 20대 여직원 추락사…"민원업무 부담 완화해야"(종합) 랭크뉴스 2024.05.09
21984 노소영 vs 최태원 동거인 30억 소송, 8월에 결판 난다 랭크뉴스 2024.05.09
21983 비트코인 도시락, 골드바 자판기… 편의점 이색상품 눈길 랭크뉴스 2024.05.09
21982 “자주 만나 좋지요” 입 연 윤 대통령…국정 기조는 그대로 랭크뉴스 2024.05.09
21981 [단독] 한미 오너일가, 사이언스 지분 50% 매각…1조 수혈 랭크뉴스 2024.05.09
21980 윤 대통령, 2주년 기자회견…김 여사·채 상병 특검 거부, 국정기조 ‘일관성’에 방점 랭크뉴스 2024.05.09
21979 한국 반도체 생산 비중, 8년 뒤 대만 제치고 세계 2위 전망 랭크뉴스 2024.05.09
21978 104세 철학자 김형석의 일침 "지도자의 무지는 나라의 불행" 랭크뉴스 2024.05.09
21977 "사람 죽어야 말 듣죠?"…벽 휘고 창 갈라진 신축 아파트 '충격' 랭크뉴스 2024.05.09
21976 네이버가 낳아 키웠는데... '라인' 지분 매각하라는 일본 [영상] 랭크뉴스 2024.05.09
21975 [단독] 보훈부, 국회에 ‘민주유공자 심사 기준’ 제시 안 했다 랭크뉴스 2024.05.09
21974 초반 지나자 '맥빠진' 기자회견‥이런 질문들 나왔더라면? 랭크뉴스 2024.05.09
21973 국민의힘 원내대표 TK 3선 추경호 “108명 단일대오로 똘똘 뭉쳐서 가자” 랭크뉴스 2024.05.09
21972 [일본에 배신 당한 네이버]② 日 교묘한 라인 강탈… 韓 정부는 ‘강 건너 불 구경’ 랭크뉴스 2024.05.09
21971 윤석열표 부총리급 저출생부…“출생률 집착 보여줘” 랭크뉴스 2024.05.09
21970 14개 원전에 설치된 수소제거장치 성능 미달…“2026년까지 모두 교체” 랭크뉴스 2024.05.09
21969 '부처핸섭' 불교 열풍 '뉴진스님'…말레이 의원 "공연 막아달라" 랭크뉴스 2024.05.09
21968 전화번호부터 생일까지 몽땅 털렸다...골프존, 과징금 75억 ‘철퇴’ 랭크뉴스 2024.05.09
21967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의대 증원 추진 재확인한 윤 대통령···의료계 반발 랭크뉴스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