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올해 연봉 인상률 중간값 약 5%…치솟는 물가 못 따라가
"외식 물가도 편의점 음식 물가도 배달 음식도 전부 올랐다"


“친구 약속 한 번 나갈 때마다 돈 5만원은 깨져요. 친구들이랑 놀다 보면 아껴도 기본 3만원은 나갑니다. 그렇다고 인간관계를 포기할 수도 없고…” 자취하는 20대 사회초년생 직장인 A 씨(26세)는 본인의 통장 잔액을 떠올리며 한숨을 쉬었다. ‘월급 빼고 다 오른다’지만 해도 너무 하다 싶은 생각이 든다고도 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3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보다 3.1% 올랐다. 가계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들로 구성된 생활물가는 전년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작황 부진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급등, 유가 상승 등에 의한 여파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실제로 느끼는 물가는 해당 수치를 뛰어넘는다. 다시 직장인 A 씨 얘기다. 그는 “연봉상승률이 물가상승을 못 따라가요. 올라가봤자 쥐꼬리만큼인 걸요”라고 했다. 잡플래닛 설문 조사에 따르면 올해 연봉인상률 중간값은 약 5%인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에 참여한 303명 중 올해 연봉인상률이 4~6%라는 답변은 25.1%로 가장 많았다. 이어 7~9%대 23.3%, 10% 이상 19.1%, 연봉동결 14.9%가 뒤를 이었다.

‘지난 3월 소비자물가상승률 3.1%, 올해 연봉상승률 평균 5%’. 숫자만 비교하면 A 씨의 주장은 틀리게 된다. 그러나 우리 생활에 밀접한 품목의 가격 상승률을 들여다보면 그 주장은 충분한 근거가 있다. KOSIS ‘생활물가지수’에 따르면 생활물가지수는 2020년을 100으로 봤을 때 올해 1분기와 작년 1분기는 각각 113.62, 110.31이다.

그중 전년 동기보다 가장 많이 증가한 항목은 사과다. 지난해 1분기 95.12에서 올해 동기 163.47로 71.9% 올랐다. 귤 63.2%, 토마토 47.3%, 파 44.3% 시금치 21.4%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했다. 소금값도 같은 기간 145.61에서 174.72로 상승해 20% 올랐다. 쌀은 9.4%, 기타육류가공품 9.4%, 수입쇠고기 6.5%, 부추 7.1% 등이다.

이렇듯 재료값 상승에 자취생 A 씨는 직접 끼니 만들어 먹기를 포기하게 됐다고 전했다. 적은 양의 식료품을 소비하는 1인 가구 특성상 장을 봐서 요리해 먹기보단 사서 먹는 게 경제적으로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그는 “외식 물가도 편의점 음식 물가도 배달음식도 전부 올랐다”고 호소했다. 실례로 편의점 도시락 가격은 올해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6.0% 올랐다. 김밥 6%, 비빔밥 6.2%, 떡볶이 5.7%, 냉면 5.9%, 칼국수 4.3%, 삼각김밥 4.2% 등이다.
잇따르는 '가격 인상' 논란
국내 대표 배달음식 중 하나인 치킨값도 줄줄이 올랐다. 4월 16일 굽네치킨은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대표 메뉴인 ‘굽네 고추바사삭’은 1만8000원에서 1만9900원으로 10.56% 값을 올렸다. 교촌치킨도 마찬가지다. ‘교촌 오리지날’은 1만6000원에서 1만9000원으로 18.75% 올랐다. 업계에 따르면 일부 브랜드의 가격 인상으로 도미노 상승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각종 요금과 구독료도 오르고 있다. 쿠팡은 4월 12일 유료 멤버십인 와우멤버십 월 회비를 4990원에서 7890원으로 58% 대폭 올렸다. 2021년 12월 2900원에서 4990원으로 올린 뒤 2년 4개월 만에 추가로 인상한 것이다. 쿠팡 와우멤버십은 2019년 쿠팡이 도입한 유료 회원제 서비스로 무료 배송, 무료 반품, 쿠팡플레이 콘텐츠, 쿠팡이츠 무료 배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말 유튜브는 ‘유튜브 프리미엄’ 가격을 43% 인상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2020년 9월 이후 약 3년 만이다. 유튜브 측은 변경된 가격에 대해 “유튜브 프리미엄과 유튜브 뮤직 프리미엄의 가치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와 고객 지원을 더욱 개선하고 크리에이터와 아티스트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OTT 업계의 ‘스트림플레이션(스트리밍+인플레이션)’으로 생활비 부담을 가중시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밖에 치솟는 외식물가는 저소득 직장인들에게 더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3.4%로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웃돌았다. 이같은 현상은 34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1만원 미만의 돈으로 한 끼를 해결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구내식당을 이용하는 직장인이 늘고 저가 커피 브랜드의 성장세는 더 가팔라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971 빌라 기피에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 "귀하다 귀해" 랭크뉴스 2024.05.09
21970 경찰서 옥상에서 20대 여직원 추락사…"민원업무 부담 완화해야"(종합) 랭크뉴스 2024.05.09
21969 노소영 vs 최태원 동거인 30억 소송, 8월에 결판 난다 랭크뉴스 2024.05.09
21968 비트코인 도시락, 골드바 자판기… 편의점 이색상품 눈길 랭크뉴스 2024.05.09
21967 “자주 만나 좋지요” 입 연 윤 대통령…국정 기조는 그대로 랭크뉴스 2024.05.09
21966 [단독] 한미 오너일가, 사이언스 지분 50% 매각…1조 수혈 랭크뉴스 2024.05.09
21965 윤 대통령, 2주년 기자회견…김 여사·채 상병 특검 거부, 국정기조 ‘일관성’에 방점 랭크뉴스 2024.05.09
21964 한국 반도체 생산 비중, 8년 뒤 대만 제치고 세계 2위 전망 랭크뉴스 2024.05.09
21963 104세 철학자 김형석의 일침 "지도자의 무지는 나라의 불행" 랭크뉴스 2024.05.09
21962 "사람 죽어야 말 듣죠?"…벽 휘고 창 갈라진 신축 아파트 '충격' 랭크뉴스 2024.05.09
21961 네이버가 낳아 키웠는데... '라인' 지분 매각하라는 일본 [영상] 랭크뉴스 2024.05.09
21960 [단독] 보훈부, 국회에 ‘민주유공자 심사 기준’ 제시 안 했다 랭크뉴스 2024.05.09
21959 초반 지나자 '맥빠진' 기자회견‥이런 질문들 나왔더라면? 랭크뉴스 2024.05.09
21958 국민의힘 원내대표 TK 3선 추경호 “108명 단일대오로 똘똘 뭉쳐서 가자” 랭크뉴스 2024.05.09
21957 [일본에 배신 당한 네이버]② 日 교묘한 라인 강탈… 韓 정부는 ‘강 건너 불 구경’ 랭크뉴스 2024.05.09
21956 윤석열표 부총리급 저출생부…“출생률 집착 보여줘” 랭크뉴스 2024.05.09
21955 14개 원전에 설치된 수소제거장치 성능 미달…“2026년까지 모두 교체” 랭크뉴스 2024.05.09
21954 '부처핸섭' 불교 열풍 '뉴진스님'…말레이 의원 "공연 막아달라" 랭크뉴스 2024.05.09
21953 전화번호부터 생일까지 몽땅 털렸다...골프존, 과징금 75억 ‘철퇴’ 랭크뉴스 2024.05.09
21952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의대 증원 추진 재확인한 윤 대통령···의료계 반발 랭크뉴스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