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초소형 군집위성 1호 11시 56분 항우연 지상국과 교신
발사 준비 과정서 두 차례 지연됐으나 발사 이후 순항
성능 검증 거쳐 본격 임무 투입 예정

국내 최초의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장면. 24일 오전 7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에서 발사돼 오전 8시 22분 위성 사출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오전 11시 56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교신에도 성공했다./로켓랩 유튜브 캡처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에서 24일 오전 발사한 국내 최초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이날 오전 11시 55분 대전 한국 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교신에 성공했다. 군집위성 1호는 군집위성 1호는 예정된 궤도를 돌면서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성능 점검 이후 본격적인 임무에 투입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대전 항우연 지상국을 통해 위성의 태양전지판이 정상적으로 전거돼 안정적 전력 생산이 이뤄지고 있다고 확인했다”며 “오후 4시 30분쯤 노르웨이 스발바르 지상국과의 교신에서 송수신 상태와 정상작동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미국 우주기업 로켓랩의 발사체 ‘일렉트론’에 실려 이날 오전 7시 32분(한국 시각) 발사됐다. 당초 오전 7시 8분에 발사가 예정돼 있었으나 다른 우주 비행체와 충돌 가능성이 있어 한 차례 지연됐다. 재차 발사를 준비하던 중 지상시스템에 문제 발생으로 또다시 지연되면서 예정보다 14분 가량 발사가 늦어졌다.

그러나 본격 발사 이후에는 별다른 문제 없이 예정대로 발사가 이뤄졌다. 일렉트론은 발사 약 9분 뒤인 오전 7시 41분 단 분리에 성공했으며, 최종적인 위성 사출도 8시 22분 계획대로 진행됐다. 이후 지구를 두 바퀴 가량 돌고 한국 상공 인근에 도착해 항우연 지상국과 교신에도 성공했다.

지상 교신 성공은 위성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다. 위성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예정된 궤도에서 적절한 자세를 잡은 상태가 이뤄져야 하는데, 위성이 제대로 된 자세를 잡지 못하면 지구와 교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가 처음 양산을 위해 개발한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가 24일 뉴질랜드에서 발사돼 우주 궤도에 안착한 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교신에도 성공했다. 이후 성능 점검을 거쳐 본격적인 임무는 올해 11월부터 시작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정밀 감시하고 국가 안보와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개발됐다. 개발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주도했다.

이번에 발사한 위성은 총 11기로 구성된 군집위성의 첫 번째 위성이다. 500㎞ 고도에서 흑백 영상은 해상도 1m, 컬러 영상은 4m 수준의 전자광학카메라가 달려 있는 지구관측위성이다. 올해 첫 발사 이후 2026년 6월 5기, 2027년 9월에 5기를 추가로 발사한다. 한 궤도 경사면에 2기씩, 모두 5개 궤도 경사면을 운용해 한반도를 하루에 3차례 촬영할 수 있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의 본격적인 임무는 올해 11월부터 시작된다. 위성이 예정된 궤도를 돌면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성능 점검은 항우연과 노르웨이 스발바르 지상국이 맡는다. 본격적으로 임무가 시작되면 제주 위성관제센터가 맡아 운영한다. 운영 기간은 3년으로 예정돼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572 "재능 아까워"…'김호중 출연정지' KBS 게시판에 두둔 청원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71 차 앞유리에 '쾅' 오물풍선에 날벼락… 김정은에게 소송 걸 수 있나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70 日 야스쿠니 신사 '낙서테러' 발칵...빨간 스프레이로 'toilet'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69 대통령실 “北 감내 힘든 조치 착수… 대북 확성기도 염두”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68 대북 확성기 재개 강력 시사한 대통령실…"北 감내 힘든 조치 착수"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67 의협 "큰 싸움" 예고했지만… 동네병원 파업 참여 '글쎄'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66 자동차 박살 내고 시장통에도…위협으로 다가온 '오물 풍선'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65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 대북 확성기 재개 배제 안해”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64 [주간증시전망] EU 금리 인하보단 미국이 관건… 믿을 건 실적뿐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63 용산 "北 감내 힘든 조치들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안해"(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62 재벌의 '외도'‥1조 재산분할‥"이런 거 말고 주목할 건‥"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61 국회 원구성 ‘운명의 한주’...여 “법사위 가져가려면 국회의장 내줘야”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60 법원, ‘강남 오피스텔 모녀 살해’ 60대 남성 구속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59 대북 응징 '단골' 확성기 방송 초읽기... 김정은 꺼리는 전단 살포도 만지작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58 [속보] 대통령실, 북한 오물풍선에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추진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57 영화인들이 뽑은 역대 한국 영화 1위는?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56 소프트랜딩이냐 침체냐, 경계에 선 미국 경제[글로벌 현장]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55 차 유리창 깨지고 악취 진동…전국이 '오물풍선' 피해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54 추경호, 원 구성 압박에 “법사위원장 가져가려면 ‘국회의장’ 달라”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53 [속보] 대통령실, NSC 회의 개최…“북한 감내하기 힘든 조치들 착수” new 랭크뉴스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