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맵고 짜거나 단 음식이 원인
“고령층보다도 합병증 위험”


‘마라탕후루(마라탕+탕후루)’같이 ‘고탄수·고열량’의 자극적인 음식을 즐기는 식습관으로 인해 당뇨병 등 대사질환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특히 20~30대의 당뇨병은 투병 기간이 길어 합병증에 노출될 위험도 커진다고 말한다.

이른바 ‘젊은 당뇨’라 불리는 40세 미만 성인 당뇨병 환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20~30대 당뇨병 환자는 2018년 13만9682명에서 2022년 17만4485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당뇨병은 혈액 속의 포도당이 세포로 들어가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과정이 원활하지 못해 혈당치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는 질환이다.

당뇨병 진단 기준은 공복 혈당이 126㎎/dℓ 이상이거나 식후 2시간 혈당이 200㎎/dℓ 이상인 경우다.

맵고 짠 데다 탄수화물 비중이 높은 중국당면·옥수수면·분모자 등을 주로 넣는 마라탕, 여기에 식후 입가심으로 탕후루를 곁들이면 장기적으로 대사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준희 세란병원 내과 부장은 “맵거나 달거나 짠 음식이 젊은 세대의 고혈압·당뇨병의 주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며 “젊은 당뇨병 환자는 질환을 앓아야 하는 기간이 고령층보다 길어 신장병과 뇌혈관 질환 등 합병증의 위험이 훨씬 높다”고 말했다.

지난해 대한당뇨병학회 등이 실시한 당뇨병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20~30대 중 59.9%는 자신의 혈당 수치를 모른다고 답했다. 공복 혈당과 식후 혈당, 당화혈색소 같은 용어를 모르는 비율도 절반 이상이었다. 하지만 ‘젊은 당뇨’는 심혈관 위험도를 4배 이상 높이고, 중년 이후에는 암 발병 등 건강을 악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662 박찬대 “尹 정부 2년, 무능 끝판왕… 국민체감은 20년" 랭크뉴스 2024.05.10
21661 구미 중학교서 몰카 피해 신고…"8∼10명 사진 SNS 유포" 랭크뉴스 2024.05.10
21660 '이재명 저격수' 자처한 장영하, '이재명 낙선운동'으로 유죄 확정 랭크뉴스 2024.05.10
21659 [속보] 통일부 “북한, 금강산 지구 내 우리 정부 시설 소방서 철거…강한 유감” 랭크뉴스 2024.05.10
21658 윤 대통령, 시민사회수석에 전광삼 전 비서관 임명 랭크뉴스 2024.05.10
21657 작년 실손보험 적자 2조원 육박…“무릎주사 영향” 랭크뉴스 2024.05.10
21656 어도어 31일 임시 주총…민희진 대표 운명 갈린다 랭크뉴스 2024.05.10
21655 홍준표 "윤대통령은 부득이하게 모시지만 韓은 용서하기 어렵다" 랭크뉴스 2024.05.10
21654 [속보] 정부 "외국의사 당장 투입 계획 없어…철저한 안전장치 갖출것" 랭크뉴스 2024.05.10
21653 [속보] 정부 "'외국 의사', 당장 투입 계획 없어… 철저한 안전장치 갖출 것" 랭크뉴스 2024.05.10
21652 尹 대통령, 시민사회수석에 전광삼 전 비서관 임명 랭크뉴스 2024.05.10
21651 고 이선균 유작 ‘행복의 나라’, 8월 관객 만난다 랭크뉴스 2024.05.10
21650 尹대통령, 황상무 후임 시민사회수석에 전광삼 임명 랭크뉴스 2024.05.10
21649 어도어 31일 임시 주총 열려…민희진 대표 해임안 논의 될 듯 랭크뉴스 2024.05.10
21648 미군 철수는 늘 일방적이었다…트럼프 당선시 윤 대통령의 선택은? 랭크뉴스 2024.05.10
21647 취임 2주년 윤 대통령 지지율 24%‥민주화 이후 역대 대통령 중 최저치 랭크뉴스 2024.05.10
21646 '尹 3기 참모진' 구성 완료…민정수석 부활로 3실장 7수석 랭크뉴스 2024.05.10
21645 조태열 "한국기업 해외에서 부당대우 받지 않도록 적극 대응" 랭크뉴스 2024.05.10
21644 [속보] 정부 “외국의사 당장 투입 계획 없어…철저한 안전장치 갖출것” 랭크뉴스 2024.05.10
21643 홍준표 "尹은 부득이하게 모시고 있지만, 한동훈은 용서 어렵다" 랭크뉴스 202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