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00%국내 기술 설계·제작···가장 빠른 열차
정차역 최소화·최고속도 320km·좌석수 압도
안전성 높여 소음도 최소화···개별 창문 설치
5월1일부터 이용···2027년 이후 증차 예정
22일 국민시승단 330명과 언론인 70여 명이 참여한 KTX-청룡 시승 행사에 앞서 서울역에 KTX-청룡이 정차해 있다. 성형주 기자

[서울경제]

“기존 KTX보다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18분, 용산역에서 광주송정역까지는 27분이 단축됩니다.”

이기철 코레일 차량본부장은 22일 KTX-청룡 열차 내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100%국내기술로 설계·제작된 국내에서 가장 빠른 열차”라고 강조했다. 이날 KTX-청룡 시승식이 열린 서울역에서 오전 10시17분께 출발한 KTX-청룡은 11시18분 대전역에 도착한 뒤 부산역까지 2시간17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호남선 KTX-청룡은 광주송정역까지 1시간 30분대에 도착한다. 운행 최고속도가 시속 300km인 KTX-산천과 달리 청룡은 최고 320km 속도를 낼 수 있어 2028년 평택~오송 구간 복선화가 완료되면 유감없이 최고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정차역도 경부선은 대전과 동대구역, 호남선은 익산역만 경유해 시간은 더 단축된다.

무엇보다 청룡은 동력분산식 고속열차로 기존 KTX에 적용된 동력집중식과 달리 가속·감속 성능이 우수해 역 간 거리가 가깝고 터널과 교량이 많은 국내철도 환경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동력분산식은 쉽게 말해 열차 동력이 필요한 기관차를 각 객차의 바퀴 아래에 넣어 기차 양 끝의 기관차까지 공간을 넓히고 최고속도를 내는데 유리한 장점이 있다. 실제 300㎞/h 도달시간은 산천과 청룡이 각각 5분16초와 3분32초로 청룡이 1분44분 더 빠르다. 좌석수도 청룡은 515석으로 이음(381석)과 산천(379석)보다 수송효율이 35%가량 높다.

22일 KTX-청룡 시승 행사에 가족과 함께 참여한 승객들이 서울역에서 열차 출발 전에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청룡은 소음도 대폭 줄였다. 터널 통과시 공기압의 차이로 날 수 밖에 없는 소음도 차량을 만든 현대로템(064350) 측은 잡아냈다고 자신했다. 아이와 함께 시승한 30대 이주원 씨는 “터널진입시 나는 소음에 아이가 깜짝깜짝 놀랬는데, 바깥이 어두워 터널인 줄 알만큼 소음이 적었다”고 말했다. 이정율 현대로템 책임연구원은 “상하진동 뿐만 아니라 좌우 흔들림까지 최소화했다”며 “진동과 흔들림이 줄어들다 보니 소음도 자연히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22일 국민시승단 330명과 언론인 70여 명이 참여한 KTX-청룡 시승 행사에 앞서 서울역에 KTX-청룡이 정차해 있다. 송종호 기자


대전역에 도착하기 직전 서울역에서 무선충전기에 꽂아뒀던 핸드폰은 완충됐다. 청룡은 기존 KTX와 달리 좌석마다 무선충전기를 비롯해 개별 창문이 있고 220볼트 콘센트와 USB포트가 설치돼 있다. 좌석 간격도 기존 열차보다 20㎝ 증가됐다. 열차는 5월1일부터 이용 가능하다.이미 5월1일부터 19일사이 33.1%예매율을 기록중이다. 청룡의 운임은 기존 KTX와 동일하게 설정됐다.

한편 코레일은 지난 1월부터 두 차례에 걸친 대국민 열차명칭 공모를 거쳐 총 9192건의 후보안 중에서 네이밍 개발 및 브랜드 전문가 자문을 거쳐 KTX-청룡으로 최종 이름을 선정했고,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일 KTX 개통 20주년 기념식에서 KTX-청룡(CHEONG-RYONG)으로 명명했다. 국토부는 이번에 도입된 KTX-청룡의 2편성 외에도 오는 2027년부터 2028년까지 31편성을 추가 도입(코레일 17편성, SR 14편성)할 예정이다.

KTX-청룡 내부 모습. 송종호 기자

KTX청룡은 기존 KTX와 달리 좌석마다 무선충전기를 비롯해 개별 창문이 있고 220볼트 콘센트와 USB포트가 설치돼 있다. 송종호 기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7603 “오늘부터 사직, 다음 주 하루 휴진” 애타는 환자들 랭크뉴스 2024.04.25
17602 재발발한 ‘남매의 난’… 구지은號 아워홈 글로벌·푸드테크 新성장 제동 걸리나 랭크뉴스 2024.04.25
17601 자금 부족에 쪼그라드는 '네옴시티 야망'…中 투자자도 외면? 랭크뉴스 2024.04.25
17600 여론부담 野 "금투세, 연기 가닥"…'유예→폐지→유예' 도돌이표 랭크뉴스 2024.04.25
17599 의협·대전협 없이…25일 의료개혁특위 출범 랭크뉴스 2024.04.25
17598 [사설] 의대 교수 주1회 휴진... 환자 볼모 삼은 압박이면 오산 랭크뉴스 2024.04.25
17597 "친윤이 죄냐"... 총선 참패 與 발목 잡는 '도로 친윤당' 랭크뉴스 2024.04.25
17596 “비행기 뜰 때까지 모른다” 정부, 阿정상 초청 총력전 랭크뉴스 2024.04.25
17595 [단독] '청주간첩단' 피고인, 국정원에 정보공개 소송 승소 랭크뉴스 2024.04.25
17594 '심심한 사과'가 지루한 사과?... '문해력' 부족 시달리는 현대인들 랭크뉴스 2024.04.25
17593 "끌려다녀선 안된다" 이원석 검찰총장, 이재명 이례적 직격 왜 랭크뉴스 2024.04.25
17592 다락방에 버려진 기타…'이 사람'이 사용하던 것이었다…경매가 무려 랭크뉴스 2024.04.25
17591 [단독] 트럼프 측근 "주한미군은 中견제, 한국 핵무장 고려 필요" 랭크뉴스 2024.04.25
17590 논란 커지는 민주유공자법... 국보법 위반자 못 걸러내나[팩트파인더] 랭크뉴스 2024.04.25
17589 의대교수들 오늘부터 사직…의협 불참 속 의료개혁특위 첫회의 랭크뉴스 2024.04.25
17588 동맹 휴진·사직 강행 선언… 정부·병원 몰아붙이는 의대 교수들 랭크뉴스 2024.04.25
17587 美 극비리에 우크라에 장거리 미사일 지원…크림반도 타격 랭크뉴스 2024.04.25
17586 북마케도니아 대선, 민족주의성향 후보 우세 속 결선 확실시 랭크뉴스 2024.04.25
17585 대만 TSMC "2026년 하반기 1.6나노 공정 시작" 깜짝 발표 랭크뉴스 2024.04.25
17584 테슬라 1분기 영업실적 악화에도 전기차 방향성 확인…시장 일단 ‘안도’ 분위기 랭크뉴스 2024.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