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 초고령 시대, ‘알고 준비하고 누리세요’
100세 시대, 건전한 투자로 차곡차곡 자산을 불려가는 건 모두의 바람입니다. 하지만 한국 경제는 정책·금리·환율·원자재 등 변수가 너무 많고, 증시와 부동산은 이에 따라 출렁입니다. 자극적으로 쏟아지는 정보보다 흔들리지 않는 투자의 ‘기본기’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는 지식과 정보, 인사이트를 모두 갖춘 고품격 투자 콘텐트를 제공합니다. 오늘 ‘추천! 더중플’에선 당장 내년이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가 되는 현실에서 조금이라도 안심하고 노후를 보낼 수 있는 ‘고령화 투자대응’ 시리즈를 소개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① 100세 사는 건 기본, 내 자산이 바뀐다
사진 게티이미지
앞으로 50년 뒤 한국은 인구의 절반이 65세 이상이 될 거라고 합니다. 한국 통계청이 계산해서 내놓은 전망입니다. 너무 먼일 같다고요? 이미 당장 내년이면 한국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입니다. 유엔(UN)에서 정한 ‘초고령 사회’가 시작된거죠.

문제는 초고령 사회에 의료 등 기술 발전이 빨라지며 사람들이 예상보다 훨씬 오래살게 됐다는 점입니다. 인구구조가 변하면 자산시장도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주식시장은 위험자산에 투자하는 사람이 줄고, 국민연금이 노인들에게 연금을 지급하기 위해 들고있던 주식을 팔면서 또 쪼그라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길어진 노후를 위해선 얼마나 되는 돈이 필요할까요. 집을 담보로 생활비를 얻는 주택연금만 가지고 충분할까요. 이미 해외 선진국들은 기대수명에 따라 정년을 늘려 조금이라도 오래 근로소득을 받을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그밖에 어떤 방법이 있는지 알아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10억 모아서 은퇴 걱정 없다? 120세까지 살면 어쩔 겁니까 [고령화 투자대응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2418



② 은퇴가 멀었다고요? 2030대에 준비할수록 유리
탤런트 전원주씨는 연예계의 주식 고수로 유명하다. 그는 10여 년 전에 투자한 SK하이닉스 주식을 최근까지 계속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주식 시세를 고려하면 수익률은 약 900%에 달한다. 중앙포토
탤런트 전원주(84)씨는 일찌감치 1999년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 기업의 성장성을 알아봤다고 합니다. 10년 넘게 SK하이닉스에 투자해 높은 수익률을 올리기도 했죠. 누가 알려준 게 아닙니다. 오랜 세월 꾸준히 주식시장을 공부해 온 덕입니다. 20~30대 청년세대들에겐 전 씨 같이 ‘공부할 기회’도, 재테크로 돈을 벌 시간도 충분한 셈이죠. 젊은 세대에게 재테크가 중요한 건, 지금이 아닌 노후를 위해서입니다.

초고령 사회에서 거시경제 환경은 지금과 사뭇 다를 것으로 보입니다. 인플레이션과 고금리가 기본으로 깔린 세상을 살아가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국내 자산과 해외 자산의 비중 조절, 현금 흐름 창출력이 좋은 자산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고령화 시대에 뜨는 산업에도 관심을 가져야합니다. 헬스케어와 제약, 시니어케어 시장이 가장 먼저 떠오르겠지만, 옥석 가리기가 필요합니다. 여기에 고령화와 관계없이 앞으로 계속 커질 산업은 무엇인지도 알아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딸아, 세상의 반이 노인 된다…자산 900% 불린 ‘전원주式 투자’ [고령화 투자대응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2647



③ 노후 삶의 질, 은퇴 전 만든 ‘돈줄’에 달렸다
사진 게티이미지
때론 지금 노인들이 젊었던 시절이 부럽기도 합니다. 한국경제가 매년 무서울 정도로 성장하고, 금리가 높아 적금만 들어도 엄청난 목돈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죠. 반면 지금 40~50대는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고, 저축만으로는 좀처럼 돈을 모을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이런 4050세대는 노후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핵심은 적은 액수라도 ‘현금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과거처럼 목돈을 모아 조금씩 빼서 쓰는 전략보다는 연금제도로 끊이지 않는 현금 흐름을 만들라고 조언합니다. 우선 나에게 필요한 노후 생활비를 알아보고,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으로 이어지는 연금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여기엔 65세에 국민연금을 받기까지 소득 공백기를 버티는 전략도 포함됩니다. 주식과 채권 비중 조절, 주택연금 활용법도 지금부터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1억 모아 월 100만원 돈줄…4050 꼭 필요한 노후 설계법 [고령화 투자대응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2925



④ 모두의 관심사…‘이 편한 실버타운’과 노후 자산서비스
평창카운티 전경. 사진 KB골든라이프케어
인생의 황혼기를 어디서 보내야 할까요. 단순히 연명만 하는 게 아니라 누구나 건강하고 활력 넘치는 삶을 살아갈 주거 공간을 원합니다. 특히 요즘 노인은 예전과 다릅니다. 교육 수준도 높고 경제력도 있는 이른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들이죠. 이들이 원하는 주거 공간과 서비스는 기존 요양원이나 실버타운이 아닙니다.

머니랩은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있는 ‘평창카운티’란 실버타운을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60세 이상이 입주하는 만큼 시니어를 위한 여러 의료와 편의시설들이 잘 구비돼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노후 주거지를 선택할 때 반드시 체크해야할 사항들, 비용(이용료와 보증금 등)은 대략 어느 정도인지 알아봤습니다. 특히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최근엔 노인들을 위한 자산관리와 상속 문제 등을 챙겨주는 신탁 서비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어떤 상품들이 있으며, 은퇴 고객들의 고민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건강도 상속도 챙겨준다…‘보증금 3000만원’ 실버타운 가보니 [고령화 투자대응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3181



⑤ 70대에 얼마든지 쇼핑·연애·창업하는 시대
지난해 미국 연애 프로그램에 등장한 당시 72세 독신남 게리 터너는 젊은 외모로 화제가 됐다. 사진 인스타그램
여러분은 ‘노인’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얼굴엔 주름이 가득하고 팔다리가 불편해 지팡이를 짚고 다니는 모습? 힘이 약해서 누군가 보살펴줘야 하는 대상?
물론 노인이 되면 질병과 노화로 심신이 쇠약해질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최근엔 ‘전혀’ 그렇지 않은 고령층도 많아졌습니다. 젊은 시절 경제 성장기를 지나며 돈이 많고, 꾸준한 운동과 관리로 몸까지 젊은 ‘새로운 노인인구’가 세계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마국 스탠퍼드대 경영대학원에서 장수 경제를 다루는 수전 윌너 골든은 이들을 “역사상 최강의 소비자”로 부르며 “모든 기업들은 새로운 장수가 여는 기획를 잡기위한 전략을 짜야한다”고 강조합니다. 실제 2030년이 되면 세계 주요 도시에서 65세 이상 사람들이 쓰는 돈이 도시 전체 소비액의 절반을 넘길거라고 합니다. 머니랩이 그를 직접 인터뷰해 소비와 창업, 심지어 연애까지 열정적인 요즘 고령층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연애 프로 뒤집은 ‘72세 독신남’…역사상 최강 소비자가 온다 [고령화 투자대응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3478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0183 교제폭력 호소하다 숨진 여성 유족 "가해자가 죽음으로 몰아" 랭크뉴스 2024.05.01
20182 바닥 없는 엔저의 역습…"송금 못해요" 日 취업 한국인 한숨 랭크뉴스 2024.05.01
20181 주민증 발급 때 ‘열 손가락 지문’ 아직도 찍어야?···헌재 “합헌” 랭크뉴스 2024.05.01
20180 법정 선 오재원, 판사가 직업 묻자 "야구학원 선생님이었는데…" 랭크뉴스 2024.05.01
20179 "관상용 아닙니다"…엄연한 마약 '나도 양귀비' 1천609주 압수 랭크뉴스 2024.05.01
20178 “윤, 역대 첫 ‘집권이 곧 레임덕’ 대통령…이제 2개의 길 있다” 랭크뉴스 2024.05.01
20177 신원식 "한국·호주 2+2 회담서 오커스 협력 가능성 논의"(종합) 랭크뉴스 2024.05.01
20176 광주형일자리 결국 파국으로…캐스퍼 생산하는 광주글로벌모터스 '무노조' 원칙 깼다 랭크뉴스 2024.05.01
20175 옆동 아저씨, 알고보니 성범죄자… 불안해도 ‘묘수’ 없다 랭크뉴스 2024.05.01
20174 "제발 살려달라" 스님도 3억 뜯겼다…개그맨 사칭한 '투자 리딩방' 피해 일파만파 랭크뉴스 2024.05.01
20173 일본에서 붙잡힌 20대 한국인…50대 부부 시신 훼손 혐의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5.01
20172 "작업복을 왜 입어?"했는데 벌써 '1조 시장'…패션업계 꽂힌 '워크웨어' 랭크뉴스 2024.05.01
20171 박지원 "김진표 의장 개XX, 윤석열과 똑같은 놈" 막말 논란 랭크뉴스 2024.05.01
20170 '주민등록증 열 손가락 지문 채취'에 헌재 '합헌' 유지 랭크뉴스 2024.05.01
20169 "커피 마시고 싶은데 카페인 무서워서"…스벅 '디카페인 커피' 1억잔 돌파 랭크뉴스 2024.05.01
20168 아빠 출산휴가 20일로‥'부동산 연금화' 세제 혜택 랭크뉴스 2024.05.01
20167 “육아휴직 중인 영양사는 이기적 집단”…경찰서 구인공고 답변 내용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5.01
20166 남성 출산휴가 10일→20일 확대 추진…육아휴직 급여 인상 랭크뉴스 2024.05.01
20165 내국인 인력난에 "항공기 부품제조 마저 외국인 투입" 랭크뉴스 2024.05.01
20164 여야, 근로자의날 메시지…윤 대통령 “노동의 가치 반드시 보호” 랭크뉴스 202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