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전역 코인라커에 성심당 종이 봉투가 가득한 모습. 사진 엑스(X) 캡처
대전의 명물인 유명 빵집 ‘성심당’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는 사진이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22일 엑스(X)에서는 “대전역 코인라커가 하는 역할”이라는 제목의 글이 주목받고 있다. 이날 오전 1시경 게시된 이 글은 오후 3시 30분 현재 조회수 56만회를 돌파했다.

사진을 보면 같은 디자인을 한 종이 봉투가 라커마다 빼곡히 들어차 있는 모습이다. 라커에 든 여러 종이 봉투에는 ‘나의 도시, 나의 성심당’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성심당’의 로고가 크게 적힌 방향으로 종이 봉투가 라커에 들어 있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전역 코인라커에 성심당 종이 봉투가 가득한 모습. 사진 엑스(X) 캡처
성심당은 대전 대표 명소 중 한 곳으로, 네티즌들 사이에선 ‘빵지순례(유명 빵집을 찾아다니는 행위) 1순위’로 꼽히는 곳이다. 라커에 든 성심당 종이 봉투는 대전을 찾은 관광객들이 빵을 구입해 넣어둔 것으로 추정된다.

대전역 측에 따르면 관광객들은 성심당 빵을 라커에 넣어두거나 의자, 기차 등에 두고 깜빡 잊어버리고 그냥 두고 가기도 한다고. 최근 경찰청 유실물 통합포털 사이트에는 “성심당 빵을 보관하고 있습니다”라는 내용의 습득물 신고 글이 2건 올라오기도 했는데 이 중 한 건은 실제로 대전에서 접수된 건이다.

성심당 빵이 유실물 접수된 모습. 사진 경찰청 유실물 통합포털
일반적으로 유실물은 역 유실물 센터에서 1~7일간 보관되며, 본인이 찾아가지 않을 경우 경찰서로 인계돼 6개월간 보관된다.

다만 유통기한 경과 및 육안상 부패‧변질이 확인되거나 우려되는 음식물 등은 습득일로부터 2일 이내에 역에서 폐기한다.

유실물 수령을 위해 역을 방문할 때는 본인의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하며, 타인이 대리 수령하는 경우 위임장과 본인 신분증 사본, 대리인 신분증이 필요하다.

대전역 코인라커에 성심당 빵을 보관한 경험담을 공유한 네티즌. 사진 엑스(X) 캡처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이 정도면 대전역 코인라커는 냉장시설을 갖추고 있어야 할 듯”, “성심당 인기를 생각하면 대전역에 코인라커를 더 늘려야 한다”, “나도 대전 도착하자마자 딸기시루(성심당 빵) 확보하고 보관함에 모셔두고 대전 돌아다녔다”는 등의 반응을 보이며 성심당의 인기에 공감했다.

한 네티즌은 “대전역 말고 중구청 가는 쪽으로 지하상가 가다보면 생과일주스 전문점이나 카페 모여있는 쪽에 코인라커가 크게 있다”며 성심당 빵을 보관할 수 있는 코인라커 정보를 공유하기도 했다.

한편 성심당 영업이익은 지난해 기준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8일 발표된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성심당 매출은 1243억원으로 전년(817억원) 대비 50% 넘게 증가했다. 프랜차이즈를 제외한 단일 빵집 브랜드 매출이 1000억원을 넘어선 건 성심당이 처음이다. 영업이익은 315억원으로 전년(154억원)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파리바게뜨를 운영하는 파리크라상과 뚜레쥬르를 운영하는 CJ푸드빌의 영업이익은 각각 199억원, 214억원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0126 조국 “尹이 부르면 무조건 간다…그분보다 술은 못하지만” 랭크뉴스 2024.05.01
20125 윤 대통령 “소중한 노동의 가치 반드시 보호할 것” 랭크뉴스 2024.05.01
20124 "제발 살려달라" 빌었다…3억 날린 스님 믿었던 '한우희' 정체 랭크뉴스 2024.05.01
20123 윤 대통령 "소중한 노동의 가치 반드시 보호하겠다" 랭크뉴스 2024.05.01
20122 태영건설, 채권단 동의로 경영 정상화 기회 얻었다 랭크뉴스 2024.05.01
20121 횟수 무제한…K-패스보다 혜택 많은 ‘인천 I-패스’ 오늘 시행 랭크뉴스 2024.05.01
20120 '철밥통은 옛 말'···공무원 10명 중 3명 "이직 원해" 랭크뉴스 2024.05.01
20119 “눈물의 여왕 스태프들도 ‘전재준’이라고 불렀어요”…마흔이 즐거운 배우 박성훈 랭크뉴스 2024.05.01
20118 4월 수출 13.8% ↑…대미 수출 역대 최대(종합) 랭크뉴스 2024.05.01
20117 백령도 다시 산부인과 의사 ‘0명’… 73세 노의사 사직 랭크뉴스 2024.05.01
20116 백령도 73살 산부인과 의사마저 사직…기초진료 전문의 다시 0명 랭크뉴스 2024.05.01
20115 유승민 “2월에 수원 출마 제안 받아···윤석열·한동훈 중 누군가 거부” 랭크뉴스 2024.05.01
20114 네이버 '라인' 삼키려는 日…자국 기업 사례엔 '느슨한 대처' 랭크뉴스 2024.05.01
20113 끝나지 않은 푸바오 인기…굿즈·여행 상품에 중고거래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4.05.01
20112 트럼프 "한국은 부국"‥주한미군 철수가능 시사하며 방위비 압박 랭크뉴스 2024.05.01
20111 “역대 최초 ‘집권이 곧 레임덕’ 윤 대통령…이제 2개의 길 있다” 랭크뉴스 2024.05.01
20110 “꼭 말해야 할까요”… 우울증 7년차 예비신부의 고민 랭크뉴스 2024.05.01
20109 尹대통령 "노동의 가치 반드시 보호할 것" 랭크뉴스 2024.05.01
20108 나경원 “또 그 얘기, 고약한 프레임”···이철규 연대설에 불쾌감 랭크뉴스 2024.05.01
20107 오늘부터 K-패스 시작…월25만원 교통비 지출, 환급액은 얼마? 랭크뉴스 202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