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022년 5월 19일 오후 용인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에서 가수 싸이가 3년만에 열린 학교 축제 대동제에서 공연하고 있다. 최영재 기자
“사장님, 조금 더 깎아주시면 안 될까요?”

지난 18일 오후 5시 가게 문을 막 연 전북대 인근 먹자골목의 한 호프집에서 10여분 간 흥정이 벌어졌다. 가게 사장과 마주 선 사람은 전북대 총학생회 소속 학생이었다. 대외협력국장인 송은수(24)씨는 다음 달 8일부터 시작하는 전북대 축제와 제휴를 맺을 가게를 찾고 있었다. 몇 차례 ‘하소연’ 끝에 축제 기간에 전북대 학생이 올 경우 술값 10% 할인(음식은 제외) 혜택에 합의를 봤다. 송씨는 “아직 찾아갈 가게가 20여 곳이 더 남았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학생들 손꼽아 기다리는 대학 축제는 ‘총학 중간평가’
지난해 5월 24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무악대동제에서 학생들이 축제를 즐기고 있다. 뉴스1
송씨와 같은 대학 총학생회 구성원들이 고군분투하는 이유는 ‘축제 민심’을 챙기기 위해서다. 김경진 서울시립대 총학생회장은 “총학 주관 행사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주목도가 높은 건 1년에 한 번뿐인 대동제”라면서 “이전 총학, 인근 대학과 비교되기도 해 축제 흥행 여부로 총학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총학은 대학 축제의 하이라이트라 불리는 ‘연예인 공연’ 외에도 각종 홍보 부스와 주점 설치, 이벤트존 운영, 상품 제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총괄한다. 문제는 예산 확보가 점점 힘들어진다는 점이다. 축제 섭외 대상인 연예인 몸값은 뛰는 반면 학생회비 납부가 저조해지고 교비 지원도 줄어드는 추세다.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의 큰 대학의 경우 축제 예산은 2억원 안팎이다. 이는 교비 지원과 총학 자체 예산, 그리고 동문이나 기업의 후원금으로 마련된다. 수도권의 한 대학 총학생회장은 “연예인 섭외에 축제 예산의 60~70%가량이 쓰인다. 그래서 나머지 프로그램 운영은 항상 빠듯할 수밖에 없다”며 “부족한 예산을 외부에서 끌어오는 것이 총학과 축제기획단의 중요한 역량”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엔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축제가 무산된 사례도 나왔다. 국민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달 소셜미디어 계정에 “대동제를 추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논의했지만, 비대위 체제로 인한 예산 감소와 인력 부족으로 진행이 무산됐다”는 공지 글을 올렸다. 총학 선거가 투표율 미달로 무산되며 축제를 주관할 총학이 없어지자 축제도 덩달아 취소됐다.



부족한 예산 메우려 메일 200통에 ‘읍소’까지
총학이 축제 자금 마련을 위해 기대는 대상은 주로 기업과 대학가 상가다. 축제 기간에 기업 홍보 부스를 차려주는 조건으로 100만~150만원가량의 부스 이용료를 받거나, 기업 제품을 협찬받아 이벤트 상품으로 사용하는 식이다. 지난해 인천대 총학생회는 현대자동차와 함께 교내에서 캐스퍼 차량의 홍보 부스를 운영하기도 했다.

하지만 ‘큰손’이라 불리는 대기업의 후원은 ‘하늘에서 별 따기’ 수준이라는 게 총학생회의 하소연이다. 지난해 서울의 한 사립대 총학생회에서 축제를 총괄한 관계자는 “통신사부터 과자 업체까지 200곳이 넘는 기업에 일일이 메일을 보냈지만, 답장이 온 곳은 서너 곳에 불과했다”며 “답장이 온 곳은 절박한 마음에 직접 기업 홍보팀을 찾아가 제안서를 바탕으로 미팅을 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쩐의 전쟁’으로 번진 축제… “축제 의미 되찾아야”
국민대학교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올해 축제가 무산됐다는 공지를 SNS에 올렸다. 인스타그램 캡처
대기업 후원이 어려운 지방대는 지역사회를 공략하기도 한다. 지난 2일부터 사흘간 봄축제를 미리 연 강원대 총학생회는 춘천 양조장 협회에 직접 제안서를 보내 전통주 시음행사를 유치했다. 신윤희 강원대 총학생회 기획국장은 “전통주를 이틀간 선착순 1000컵으로 제공했는데 순식간에 동이 날 정도로 반응이 좋았다”며 “춘천이라는 지역 특성도 살리고 예산도 절약할 수 있어 일석이조였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쏟아지는 후원 요청에 난감한 입장이다. 특히 주류업체는 전국 모든 대학의 1순위 섭외 대상이지만, 실제로 협찬이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현행법상 술을 무상으로 제공할 수 없지만, 다짜고짜 술을 협찬해달라는 요청도 많다”면서 “아이스버킷 제공이나 이벤트존 운영 등 합법적인 방식으로 진행하는 후원만을 거르다 보니 상반기에 진행하는 협찬은 20건 정도다”고 말했다.

박서림 이화여대 총학생회장은 “대학 축제의 본질은 연예인 공연이 아닌 학생들이 주인공이 돼 함께 즐기는 축제의 장”이라면서 “과도한 섭외 경쟁도 자제해야겠지만, 축제 수준을 높이기 위한 현실적인 예산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734 "말도 못하는 1살 아이가 전신 중화상…하연이 도와주세요" 랭크뉴스 2024.04.30
19733 청년내일저축계좌 모집…'10만원 넣으면 정부가 10만원 더' 랭크뉴스 2024.04.30
19732 "日여성 겨드랑이로 만든 주먹밥 화제…10배 비싼 값에 팔린다" 랭크뉴스 2024.04.30
19731 2심 법원도 "尹대통령 영화관람비·식사비·특활비 공개해야"(종합) 랭크뉴스 2024.04.30
19730 “전신 화상 입은 한 살 하연이를 도와주세요” 소셜기부 랭크뉴스 2024.04.30
19729 이 시각 서울대병원…오늘 주요 대형병원 휴진 랭크뉴스 2024.04.30
19728 尹-李 ‘의료개혁’ 공감대…의사들 입지 좁아지고 정부 압박 카드 다시 꺼내나 랭크뉴스 2024.04.30
19727 명품백 '천만원 시대'…여친 백 사러 갔다 심장이 '벌렁벌렁' '울컥' '씁쓸' '눈물'… 랭크뉴스 2024.04.30
19726 공무원도 ‘나혼산’…싱글 비중 5년 새 2배↑ 랭크뉴스 2024.04.30
19725 "유영철·강호순 능가하는 싸패 점수"‥엄인숙 얼굴 첫 공개 랭크뉴스 2024.04.30
19724 계열사 76개인데 컨트롤타워 없는 하이브… 지배구조 취약점 노출 랭크뉴스 2024.04.30
19723 "한라산 컵라면은 못 참지"…그렇다면 '스프반·물반' 기억하세요 랭크뉴스 2024.04.30
19722 항암 치료 중 1조 8천억 미 로또 당첨…암 투병 이민자의 소감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4.30
19721 '엉터리 정부 주택 통계'... 작년 공급량 20만 호 적게 발표했다 랭크뉴스 2024.04.30
19720 “배수로 넘치면 xxx 오겠다” 악성 민원 이 정도?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4.30
19719 뛰는 삼성 위에 나는 SK하이닉스… HBM이 승패 갈랐다 랭크뉴스 2024.04.30
19718 검찰, 김어준 이동재 전 기자 명예훼손 혐의 불구속 기소 랭크뉴스 2024.04.30
19717 하이브 오늘 법정 간다…민희진 해임 시도 ‘착착’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4.30
19716 작년 하반기 테어난 출생미신고 아동 45명…6명 사망 랭크뉴스 2024.04.30
19715 진성준 “윤 대통령, ‘민생지원금 50만원’ 국힘 제안도 거절했다고” 랭크뉴스 202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