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전투표 대해부>
지난 총선 37곳 → 이번 총선 52곳 당락 바뀌어
본투표 국민의힘 우세 사전투표서 민주당 역전
득표율 차 지난 총선보단 줄어 21.4%p→17.5%p
역대급 사전투표율에 득표수 격차 240만 표 비슷
10일 오후 경북 포항시 남구 만인당에 마련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개표소에서 선거 종사원들이 사전 투표함을 개함하고 있다. 뉴스1


#4·10 총선 충남 공주부여청양에서 6선에 도전한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은 본투표(거소·선상, 국외부재자투표 등 포함)에서 3만1,658표를 얻었다. 상대인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당선자(2만6,327표)보다 5,331표 많이 얻었지만 패배했다. 사전투표(관내·외)에서 박 당선자가 8,331표를 더 받아 전체 득표수에서 2,780표 앞섰기 때문이다. 직전 2020년 총선에서도 정 의원의 본투표 우위, 박 당선자의 사전투표 우위가 드러났지만, 당시엔 박 당선자가 역전에 실패했다.

이번 총선에서 사전투표의 영향력이 더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공주부여청양처럼 사전투표의 격차가 본투표 차이를 넘어 당락을 뒤바꾼 경우가 4년 전 총선보다 늘어난 것이다. 전체 사전투표 득표율에선 양당 격차가 소폭(21.4%포인트→17.5%포인트) 줄었지만, 본투표 접전 지역이 늘어난 데다 사전투표율이 큰 폭(26.7%→31.3%)으로 올라간 탓이다.

한국일보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총선 개표 결과를 21일 전수 분석한 결과, 사전투표함을 개표한 후 지역구 254곳 가운데 52곳(20.5%)의 당락이 바뀌었다. 지난 총선의 경우 253곳 중 37곳(14.6%)이었는데 이보다 15곳 늘었다. 모두 국민의힘이 본투표에서 앞섰지만 민주당이 사전투표에서 승부를 뒤집었다. 사전투표가 민주당에 유리하다는 평가가 재차 입증된 셈이다.

지역구별로 살펴보면 민주당이 사전투표에서 국민의힘에 앞선 지역구는 모두 203곳이다. 강남 3구를 제외한 서울과 경기 전역, 충청, 호남 등에서 모두 민주당이 앞섰다. 반면 국민의힘이 사전투표에서 우세한 지역구는 51곳(민주당 불출마 9개 포함)에 그쳤다. 대부분 영남 지역에 쏠려 있고 이외에 서울 서초·강남 4곳, 인천 중강화옹진과 강원의 3개 지역에 불과하다.

21·22대 총선 지역별 사전투표 격차로 당락이 바뀐 지역구 개수. 그래픽=송정근 기자


본투표만 따졌을 때,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선 곳이 모두 144곳인데 민주당은 이 중 52곳에서 사전투표 우위를 바탕으로 역전에 성공했다. 특히 수도권 비중이 컸다. 서울의 경우 종로, 중성동갑·을 등 17곳이 해당한다. 지난 총선(8곳)보다 9곳 늘었다. 인천(2곳→5곳), 경기(10곳→12곳)에서도 사전투표의 영향력이 커졌다. 대전(3곳→3곳), 충북(3곳→4곳), 충남(2곳→4곳), 제주(0곳→1곳) 등은 비슷하거나 소폭 늘었다. 다만 여권이 압승을 거둔 부산(3곳→1곳), 울산(1곳→1곳), 경남(2곳→2곳) 등 PK에선 소폭 줄었다. 양당 텃밭인 호남이나 대구·경북(TK)에선 당락이 바뀐 곳이 없었다.

양당 득표율 격차는 지난 총선 대비 줄어… 득표수 차는 '비슷'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일인 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사전투표소에 사전투표를 하고 있다. 이한호 기자


양당의 사전투표 득표율 격차는 전체 득표율 격차보다 훨씬 컸다. 민주당은 254개 지역구에서 56.5%(773만456표)를 얻어 국민의힘이 받은 39.0%(533만4,229표)를 17.5%포인트 앞섰다. 본투표까지 합산한 득표율 차이가 5.4%포인트(민주당 50.5%, 국민의힘 45.1%) 정도라는 점에서 사전투표에서 민주당 우세가 두드러지는 셈이다.

지난 총선보다는 격차가 좁혀졌다. 당시 민주당은 56.3% 득표율(652만7,093표)로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이 얻은 34.9%(404만5,366표)를 21.4%포인트 차이로 따돌렸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해 모든 후보들이 사전투표에 참여하는 등 보수 유권자의 사전투표를 적극적으로 독려한 게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보수성향으로 분류되는 60대가 22.6%(314만1,737명)에 달해 사전투표 참가 유권자 연령대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1·22대 총선 여야 사전투표·전체 투표 득표차. 그래픽=송정근 기자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7157 서울대·아산병원 교수 ‘주 1회’ 휴진키로…자율증원·특위 다 거부한 의료계의 '비토크라시' 랭크뉴스 2024.04.24
17156 北 해킹 1년 넘게 몰랐다…국내 방산업체 10곳 뚫은 그들 수법 랭크뉴스 2024.04.24
17155 몸사리는 건설사, 식어버린 정비시장… “수주 자체가 리스크” 랭크뉴스 2024.04.24
17154 서울대·서울아산병원 ‘주 1회 휴진’ 결정…정부 “의료계 1대1대화도 거절” 랭크뉴스 2024.04.24
17153 내년 의대 선발규모 결정, 5월 중순까지 늦춰질 수도 랭크뉴스 2024.04.24
17152 의대 교수들 "내일부터 사직"‥대통령실 "유감" 랭크뉴스 2024.04.24
17151 젠틀몬스터, 年매출 6000억 돌파… 해외서 잘 나가는 韓 신명품 랭크뉴스 2024.04.24
17150 영수회담 첫 조율‥'25만 원 지원금' 의제 오를까 랭크뉴스 2024.04.24
17149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안에…여 “개악” 야 “국민 뜻” 랭크뉴스 2024.04.24
17148 “임신 숨긴 입사 40일차 직원, 출산휴가를”…사장 한숨 랭크뉴스 2024.04.24
17147 뉴욕증시, 기업 호실적에 상승 마감…나스닥 1.59%↑ 랭크뉴스 2024.04.24
17146 우리나라 취업자 중 대졸 이상 학력자 '절반 처음 넘었다' 랭크뉴스 2024.04.24
17145 MG손해보험 매각 걸림돌 제거했지만… 실적·재무건전성이 장애물 랭크뉴스 2024.04.24
17144 1년간 공전하는 랩·신탁 손해배상… 투자자만 발 동동 랭크뉴스 2024.04.24
17143 ‘로봇청소기’로 韓 빨아들인 中업체들…이번엔 ‘이것’ 노린다 랭크뉴스 2024.04.24
17142 ‘35세의 저주’에 떠는 中테크 직원들 랭크뉴스 2024.04.24
17141 권도형측, 한국행 위해 끝까지 안간힘…항소장 제출 랭크뉴스 2024.04.24
17140 "처벌도 교육도 부실"... '사각지대' 아동 간 성범죄 랭크뉴스 2024.04.24
17139 전국 곳곳 병원서 '주 1회 휴진'…정부는 "의료개혁 완수" 랭크뉴스 2024.04.24
17138 1분기 美 기업 실적 호조에 뉴욕증시 상승…나스닥 1.59%↑[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