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 “각 대학이 50~100% 사이 자율 결정” 유화 제스처
의대·의전원협회 “내년도 정원 동결하고 협의체 꾸려야”
의협 비대위 “25일부터 교수 사직”…‘강 대 강’ 반복 우려
학원가의 시선은… 대한의사협회가 대학별로 증원된 의대 정원을 2025학년도에 한해 50~100%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뽑게 하겠다는 정부안에 대해 거부 의사를 밝힌 가운데 2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학원에 의대 입시 관련 현수막이 걸려 있다. 문재원 기자 [email protected]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 증원분 2000명을 각 대학이 50~100%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지만 의료계는 “증원 원점 재검토”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고 있다. 정부가 증원분 조정을 허용했는데도 의료계와 대화가 성사되지 않는다면, 정부가 다시 강경책을 꺼내들 수 있는 명분이 될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오는 25일 의대 교수들의 사직 효력 발생 시점을 앞두고 의·정 간 ‘강 대 강 대치’가 제2의 국면으로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이 모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은 동결하고 2026학년도 이후 입학 정원의 과학적 산출과 향후 의료 인력 수급을 결정할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의료계와 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해 논의하자”고 21일 밝혔다.

이는 정부의 대학별 자율 증원안에 대해 반대 의견을 낸 것이다. KAMC는 “갈등이 첨예한 상황에서 국가 의료 인력 배출 규모를 대학교 총장의 자율적 결정에 의존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며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는 정부의 현명한 결단을 간곡히 호소한다”고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19일 일부 국립대 총장들이 낸 “대학별로 의대 증원분의 50~100%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2025학년도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게 해달라”는 건의를 수용했다. 이에 따라 2000명인 내년도 의대 증원분은 대학들의 판단에 따라 최대 1000명까지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의료계 반발은 여전하다.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0일 입장문을 발표해 “(자율 증원안은)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아니기에 의협 비대위는 받아들일 수 없음을 명확히 한다”고 밝혔다. 20개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참여하는 전국의대교수비대위도 지난 19일 총회를 열고 “(정부의 자율 증원안은) 이제까지 과학적 기반에서 최소라고 주장해오던 2000명에 대한 근거가 없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적절한 정부의 조치가 없을 시 예정대로 4월25일부터 교수 사직이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사실상 의료계와 정부 간의 ‘강 대 강 시즌 2’ 국면이 열리는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전국의대교수비대위가 언급한 대로 오는 25일은 사직서를 제출한 일부 교수들의 계약해지 효력이 발생하는 날이다. 현재 대학들은 자체적으로 교수들이 낸 사직서를 수리하지 않고 있지만 사직서를 제출한 지 한 달이 되는 25일이 넘으면 민법에 따라 수리 여부와 관계없이 고용이 해지될 수도 있다. 교수들마저 병원을 떠나면 의료공백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

정부 입장에선 ‘증원 규모 축소’의 여지를 열어둔 만큼 의대 증원 자체는 강행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가 일부 국립대 총장들의 제안을 받아들인 이유는 ‘2000명 증원’ 원칙은 크게 건드리지 않으면서도 증원분 조정을 통해 실리를 취할 수 있다는 판단이 들어갔다는 게 지배적인 해석이다. 정부로서는 대규모 증원에 따른 의학교육 부실화 우려를 덜 수도 있다.

다만 의료공백 장기화로 전임의 계약률이 상승하는 등 복귀 움직임이 보이는 변수도 있다. 사태 초기 30%에 머물던 수련병원의 전임의 계약률은 현재 50%를 훌쩍 넘었다. 최근 들어 공보의 소집 해제와 군의관의 전역과 맞물려 상승세가 가팔라진 것이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7144 1년간 공전하는 랩·신탁 손해배상… 투자자만 발 동동 랭크뉴스 2024.04.24
17143 ‘로봇청소기’로 韓 빨아들인 中업체들…이번엔 ‘이것’ 노린다 랭크뉴스 2024.04.24
17142 ‘35세의 저주’에 떠는 中테크 직원들 랭크뉴스 2024.04.24
17141 권도형측, 한국행 위해 끝까지 안간힘…항소장 제출 랭크뉴스 2024.04.24
17140 "처벌도 교육도 부실"... '사각지대' 아동 간 성범죄 랭크뉴스 2024.04.24
17139 전국 곳곳 병원서 '주 1회 휴진'…정부는 "의료개혁 완수" 랭크뉴스 2024.04.24
17138 1분기 美 기업 실적 호조에 뉴욕증시 상승…나스닥 1.59%↑[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4.04.24
17137 [사설] '두문불출' 영부인 언제까지... 사과하고 제 역할 다해야 랭크뉴스 2024.04.24
17136 [단독] 경찰국, 행안부 장관 '지휘권 확대' 착수... 경찰 장악 논란 재점화 랭크뉴스 2024.04.24
17135 “이스라엘, UNRWA 의혹 증거 제시 안 해”[가자지구 전쟁] 랭크뉴스 2024.04.24
17134 "尹·李 회담서 한칼에 국면전환? 점령군 같은 태도? 다 피해야" [영수회담 고언] 랭크뉴스 2024.04.24
17133 "빅딜이냐, 스몰딜이냐"...尹 사과·거부권 자제·회담 정례화까지 몰아붙인다 랭크뉴스 2024.04.24
17132 응급 콜 쏟아져도 수술 안하면 ‘비중증’…뇌졸중 전문의의 한숨 랭크뉴스 2024.04.24
17131 '25만 원 추경 가나'... 기재부‧한은 반대에도 밀어붙이는 거야 랭크뉴스 2024.04.24
17130 美, 北 '핵반격훈련' 주장에 "한일과 대북억지 긴밀 협력" 랭크뉴스 2024.04.24
17129 한국인만 보면 "사진 찍자 너무 예쁘다" 달려오는 인도서… 랭크뉴스 2024.04.24
17128 MS, 소형언어모델 '파이-3' 출시…구글·메타 등 경쟁 가열 랭크뉴스 2024.04.24
17127 이란 노벨평화상 수상자 "젊은 여성이 성폭력 당하고 온몸 멍들어 끌려 나갔다" 랭크뉴스 2024.04.24
17126 '삼성에 갑질' 브로드컴 CEO 연봉 2천229억원…美 기업 중 최고 랭크뉴스 2024.04.24
17125 英 FTSE 100 지수,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