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英 이코노미스트 5개 지표로 인플레 분석
韓, 10개 고소득 국가 중 고착화율 9위
장기 저물가 日 제외하면 물가 정책 선방
美·英 고물가 상황 지속 높은 생활비 경제 악재
농산물 등 체감 물가가 뛰면서 소비자들의 향후 1년 물가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다섯 달 만에 올랐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보다 0.2%p포인트(p) 오른 3.2%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한국이 전 세계 주요 선진국 10곳 중 인플레이션을 2번째로 빨리 탈출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저물가가 굳어진 일본을 제외하면 사실상 한국이 주요국 중 가장 빠르게 인플레에서 벗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영어권 국가 대비 적은 재정 투입, 또 소비를 자극 시킨 이민자 유입이 적었던 점이 이유로 풀이됐다.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27일 ‘어느 국가가 마지막으로 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날 것인가’를 통해 “고소득 국가 10곳 중 한국이 2번째로 인플레이션 고착화(inflation entrenchment) 수준이 낮다”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근원(core)인플레이션, 단위노동비용, 인플레이션 확산수준, 기대 물가상승률, 구글 검색 행태 등 5개 지표를 통해 ‘인플레이션 고착화’ 점수를 산출해 분석했다. 인플레이션 고착화 점수가 낮을수록 고물가 상황을 빨리 탈출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11월에 이어 이번 조사에서 각국의 물가 상황이 조금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한국은 근원물가 상승률 2.5%, 기대인플레이션율 2.2%로 10개 조사국 중 9위에 이름을 올렸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등을 제외한 물가 상승률을 뜻한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소비자가 1년 후 예상하는 물가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한국보다 낮은 고착도를 보인 곳은 일본이었다. 일본은 근원물가상승률은 2.6%로 우리보다 높았다. 반면 기대인플레율이 1.6%로 우리보다 낮았다. 다만 일본의 고질적 저물가 상황을 고려하면 주요국 중 한국의 상황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사에서 대체로 영어권 국가가 부진한 모습이었다. 호주가 1위(근원 3.8%, 기대 4.4%), 영국이 2위(근원 4.8%, 기대 2.4%)였다. 미국은 5위(근원 3.9%, 기대 5.3%)였다.

이코노미스트는 아시아와 EU 국가와 달리 영어권 국가의 인플레 고착화가 심한 것은 △정부의 재정 부양 규모△이민자 유입 두 가지가 이유라고 분석했다.

우선 코로나19 당시 영어권 국가들은 다른 국가들 대비 40%나 큰 규모의 재정 부양을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수요가 자극됐고 근원 물가상승률에 영향을 미쳤다. 영국의 근원 물가상승률은 아직 5% 수준으로 우리의 2배 수준이다.

신규 이민자 상당수가 영어권 국가에 정착했고 이로 인해 수요가 자극돼 고물가로 연결됐다고도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영어권 국가 아파트 임대료는 평균 8% 상승하며 다른 국가상승률(5%)을 상회 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적었다.

사진=이코노미스트 홈페이지 캡쳐


향후 영어권과 비영어권의 인플레에 대한 서로 다른 상황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실제로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인들의 기대인플레는 5.3%로 조사 대상 10개국 중 가장 높다고 분석했다. 또 구글에서 미국인들은 인플레 키워드를 자주 검색하고 있었는데 이는 생활비 상승에 대해 우려가 여전히 큰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밖에 영국 전역에서 지속적인 높은 인플레이션 또는 심지어 제2의 가격 상승 물결의 위협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고 적었다.

이코노미스트는 “영어권 국가 내에서 앞으로도 높은 물가상승률이 이어질 것이고 또 다른 물가상승 흐름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7029 “무슨 200만원요?”…폐업 사장님 울리는 무인주문기 랭크뉴스 2024.04.23
17028 롯데월드, 100억 투자한 신규 퍼레이드 선보인다 랭크뉴스 2024.04.23
17027 경기도 김포시 창고에서 불…대응 2단계 발령 랭크뉴스 2024.04.23
17026 서울대병원·아산병원 교수들 “다음 주부터 주1회 진료 중단” 랭크뉴스 2024.04.23
17025 "핵 공격시 즉시 반격"‥북, 초대형방사포 핵반격 훈련 랭크뉴스 2024.04.23
17024 총선 후 윤 대통령과의 거리…‘착붙’ 홍준표, ‘멀찍’ 한동훈 랭크뉴스 2024.04.23
17023 세계스카우트연맹 “새만금 잼버리 파행, 한국 정부의 과도한 개입이 문제” 랭크뉴스 2024.04.23
17022 '뉴진스' 기획자가 경영 탈취?‥"보복성 조치" 반발 랭크뉴스 2024.04.23
17021 '돼지는 다 알고있다' 디플레·엔저까지, 中·日 경제 ‘아픈 곳’ 투영 랭크뉴스 2024.04.23
17020 “임무명 B.T.S”···내일 한국 초소형 군집위성 발사 랭크뉴스 2024.04.23
17019 아들에 흉기 휘두른 父, 테이저건 맞고 심정지…병원서 숨져 랭크뉴스 2024.04.23
17018 서울대·울산의대 교수 "주 1회 휴진"…대형병원 확산할듯 랭크뉴스 2024.04.23
17017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안에 정치권 엇갈린 입장…민주당 “국민 뜻”, 국민의힘 “개악”, 개혁신당 “미래세대에 폭탄” 랭크뉴스 2024.04.23
17016 총선 참패 와중에도 '세몰이'하는 與 친윤 핵심 랭크뉴스 2024.04.23
17015 의대 교수까지 집단행동 ‘으름장’… 환자들 “목숨이 볼모인가” 절규 랭크뉴스 2024.04.23
17014 영수회담 사전조율 본격 시작 “국정현안 가감없이 의제로 삼자” 랭크뉴스 2024.04.23
17013 아들에 흉기 휘두른 50대 테이저건 맞고 심정지…아들도 위독 랭크뉴스 2024.04.23
17012 서울대·울산의대교수들 "주 1회 진료 중단 결정" 랭크뉴스 2024.04.23
17011 '더내고 더받는' 연금안에 40·50대 66% 찬성…2030은 평균미달(종합) 랭크뉴스 2024.04.23
17010 '민주유공자법'·'가맹사업법'도 본회의로‥21대 국회 처리 '충돌' 랭크뉴스 202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