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표직 연임 여부가 4·10 총선에서 압승한 민주당에서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유력 대선주자로서 ‘당권 재도전’이라는 초유의 카드를 선택할 경우 득실을 전망하기 어려운 탓에 친이재명계 측근과 참모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제1야당의 앞날 역시 이 대표의 행보에 따라 출렁일 수밖에 없다. 2022년 8·28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이 대표의 임기는 오는 8월까지다.

이 대표의 연임에 찬성하는 친명 의원들은 ‘연임이 곧 책임정치’라고 주장한다. “정권 심판”을 내걸고 총선을 승리로 이끈 만큼, 당의 선두에 서서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국민이 원하는 대여 투쟁을 확실히 하는 의미에서 (연임이) 나쁜 카드는 아니다”라고 밝힌 측근 정성호 의원이 대표적인 ‘연임론자’다. 정 의원은 이 대표에게 직접 “국민들께서 민주당을 다수당으로 만든 책임을 이행할 의무가 있는 것 아니겠냐”고 설득했다고 했다.

연임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고위험, 고수익)이다. 지난 2년 동안 사법 리스크에 시달리느라 수세적 입장에 머물렀던 이 대표가 드디어 손에 잡히는 정치적 성과를 낼 기회라는 점에서 ‘하이 리턴’을 기대해볼 수 있다. 한 친명 의원은 “검찰 정권이 만든 ‘피고인 이재명’이라는 딱지를 떼고, ‘정치인 이재명’으로 활약할 시간이 이제 시작된 것”이라며 “실권을 쥔 제1야당 대표로서 이재명표 공약들을 밀고 나가야 한다”고 했다. 그간 꿈쩍 않던 윤석열 대통령이 먼저 회동을 요청할 정도로 여건이 달라진 만큼, 제1야당의 입법권력을 활용한 성과를 바탕으로 ‘대권’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임은 무리수라는 의견도 적지 않다. “이미 총선 압승으로 A+의 성적표를 받은 마당에, 더 좋은 성적이 불확실한 시험을 뭐하러 한번 더 치르냐”(이 대표 쪽 참모)는 것이다. 한 중진 의원도 “대통령제 국가에서 야당의 성과주의는 형용모순”이라며 “연임을 하면 ‘끝까지 가자’는 강성 지지자들과 ‘거기까지는 가지 말라’라는 중도층 민심 사이에서 이 대표가 적잖게 시달릴 것”이라고 봤다.

‘단임론’의 근거로는 ‘문재인·이낙연 모델’이 거론된다. ‘야당 대표’라는 거추장스러운 완장을 떼어놓고, 막후 실력자로 영향력을 유지하다 대선에 나섰던 ‘문재인 모델’을 벤치마킹할 만하다는 것이다. 거꾸로 2020년 21대 총선에서 180석 대승을 이끌고 그 여세를 몰아 당대표를 지냈지만, 재임 기간 여러 실책으로 인해 ‘이미지 소모’의 덫을 피하지 못한 ‘이낙연 모델’은 반면교사로 언급된다.

지난달만 해도 “당대표는 3D다. 한번만 더 하면 주변 사람 다 잃게 생겼다”고 했던 이 대표는 지난 17일에는 연임 관련 질문에 “그런 이야기하지 말라”고 하며 웃어넘기는 등 말을 아끼고 있다. 이 대표의 선택에 따라 22대 국회의 출발도 적잖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 대표의 연임 분위기가 무르익자, 당대표로 출마할 법한 중진들이 국회의장·원내대표 레이스에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7029 “무슨 200만원요?”…폐업 사장님 울리는 무인주문기 랭크뉴스 2024.04.23
17028 롯데월드, 100억 투자한 신규 퍼레이드 선보인다 랭크뉴스 2024.04.23
17027 경기도 김포시 창고에서 불…대응 2단계 발령 랭크뉴스 2024.04.23
17026 서울대병원·아산병원 교수들 “다음 주부터 주1회 진료 중단” 랭크뉴스 2024.04.23
17025 "핵 공격시 즉시 반격"‥북, 초대형방사포 핵반격 훈련 랭크뉴스 2024.04.23
17024 총선 후 윤 대통령과의 거리…‘착붙’ 홍준표, ‘멀찍’ 한동훈 랭크뉴스 2024.04.23
17023 세계스카우트연맹 “새만금 잼버리 파행, 한국 정부의 과도한 개입이 문제” 랭크뉴스 2024.04.23
17022 '뉴진스' 기획자가 경영 탈취?‥"보복성 조치" 반발 랭크뉴스 2024.04.23
17021 '돼지는 다 알고있다' 디플레·엔저까지, 中·日 경제 ‘아픈 곳’ 투영 랭크뉴스 2024.04.23
17020 “임무명 B.T.S”···내일 한국 초소형 군집위성 발사 랭크뉴스 2024.04.23
17019 아들에 흉기 휘두른 父, 테이저건 맞고 심정지…병원서 숨져 랭크뉴스 2024.04.23
17018 서울대·울산의대 교수 "주 1회 휴진"…대형병원 확산할듯 랭크뉴스 2024.04.23
17017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안에 정치권 엇갈린 입장…민주당 “국민 뜻”, 국민의힘 “개악”, 개혁신당 “미래세대에 폭탄” 랭크뉴스 2024.04.23
17016 총선 참패 와중에도 '세몰이'하는 與 친윤 핵심 랭크뉴스 2024.04.23
17015 의대 교수까지 집단행동 ‘으름장’… 환자들 “목숨이 볼모인가” 절규 랭크뉴스 2024.04.23
17014 영수회담 사전조율 본격 시작 “국정현안 가감없이 의제로 삼자” 랭크뉴스 2024.04.23
17013 아들에 흉기 휘두른 50대 테이저건 맞고 심정지…아들도 위독 랭크뉴스 2024.04.23
17012 서울대·울산의대교수들 "주 1회 진료 중단 결정" 랭크뉴스 2024.04.23
17011 '더내고 더받는' 연금안에 40·50대 66% 찬성…2030은 평균미달(종합) 랭크뉴스 2024.04.23
17010 '민주유공자법'·'가맹사업법'도 본회의로‥21대 국회 처리 '충돌' 랭크뉴스 202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