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임단협 통해 정년 1년 연장
산업계 전반에 확산 분위기

동국제강이 정년을 기존 만 61세에서 62세로 1년 연장했다. 2022년 60세에서 61세로 늘린 지 2년 만에 정년퇴직 나이를 더 높였다. 고령화에 따른 제조업 구인난, 급격한 외국 인력 유입 등과 맞물려 ‘정년 연장’이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하는 분위기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21일 “지난달 말 노사가 타결한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을 통해 정년을 61세에서 62세로 연장했다”며 “생산직뿐 아니라 사무직을 포함한 전체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 동국제강에서 인적분할해 새로 설립된 동국씨엠도 62세로 정년을 조정했다. 두 회사를 합쳐 2500여명이 대상이다.

동국제강이 정년을 연장한 것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구인난 때문이다. 산업계는 이미 ‘1+1 시니어 촉탁제’ 등을 통해 사실상 정년 연장 효과를 이어가고 있는데, 동국제강의 경우 노사가 합의를 통해 결과물을 만들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노사가 인구 고령화 등 사회 구조 변화에 따른 정년 연장 필요성에 공감했다”며 “숙련된 인재의 경험과 노하우에 대한 회사의 필요와 노조의 고용 안정 요구가 맞아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정년 62세는 철강업계는 물론 다른 업종에서도 사례를 찾기 어렵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정년은 60세다.

산업계에서 정년 연장 논의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다만 아직은 노조가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수준이다. 사용자 측은 전격 도입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지난 17일 HD현대 산하 3개 조선사(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HD현대삼호)는 정년을 60세에서 65세로 5년 연장하고 임금피크제를 폐지해 달라는 임단협 공동요구안을 회사 측에 전달했다. 지난 2월엔 삼성 11개 계열사가 참여한 삼성그룹노조연대가 65세 정년 연장안을 꺼내 들었다. 현대차·기아, 포스코 등 노사 협상 테이블에 정년 연장 안건은 ‘단골’로 등장한다.

정년 연장에 앞서 은퇴자 재고용은 추세로 자리 잡았다. 정년퇴직한 숙련 인력을 계약·촉탁직으로 6개월에서 2년간 일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회사는 기존 임금의 70~90%로 인력을 활용하고, 근로자는 일감을 유지하면서 노후 소득을 보전할 수 있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일률적으로 법정 정년(60세)을 연장하기보다는 청년층 비선호 업종이나 지방 제조업체 등 기업의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정년을 늘려 가는 게 바람직하다”면서 “청년 채용과 은퇴자 재고용을 동시에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7005 서울대·울산의대교수들 “주1회 휴진…정신적·신체적 한계” 랭크뉴스 2024.04.23
17004 법 따로 조례 따로?…스스로 처벌 낮춘 ‘우리 동네 의원님들’ 랭크뉴스 2024.04.23
17003 교수들도 잇단 '사직·휴진' "정부가 먼저 증원 중단해야" 랭크뉴스 2024.04.23
17002 [속보] 서울대 의대 교수들 30일부터 주 1회 휴진 결정 랭크뉴스 2024.04.23
17001 영수회담 실무협의 했지만‥'민생회복 지원금 25만 원' 신경전 랭크뉴스 2024.04.23
17000 헌재 심판대 오른 기후소송···“정부 계획 부실” vs “선진국 못지않아” 랭크뉴스 2024.04.23
16999 [속보]서울대·울산의대 교수들 “주 1회 휴진” 결정 랭크뉴스 2024.04.23
16998 “새만금 잼버리, 한국 정부 개입으로 여러 문제 발생” 랭크뉴스 2024.04.23
16997 의성군 ‘자두 청년’ 향년 29…귀농 7년은 왜 죽음으로 끝났나 랭크뉴스 2024.04.23
16996 “악성 민원 때문에”…공무원 실명 비공개 전환 랭크뉴스 2024.04.23
16995 법무부, 윤 대통령 장모 최은순 가석방 보류 랭크뉴스 2024.04.23
16994 [단독] '채 상병 사건' 첫 소환 통보‥재검토 과정부터 윗선 향한다 랭크뉴스 2024.04.23
16993 대통령실 비서실장 이·취임식서 울려퍼진 “아이 디드 잇 마이 웨이” 랭크뉴스 2024.04.23
16992 경기 안성 보냉제 제조 공장서 불…대응 2단계 상향 랭크뉴스 2024.04.23
16991 이재명 “검찰이 말 바꿔”…이원석 “사법 시스템 흔들면 안 돼” 랭크뉴스 2024.04.23
16990 서울대·울산의대 교수들 "주 1회 휴진"(종합) 랭크뉴스 2024.04.23
16989 ‘잔고 증명서 위조’ 尹 대통령 장모 가석방 ‘보류’ 랭크뉴스 2024.04.23
16988 尹오찬은 거절하고…한동훈, 지난주 前비대위원들과 만찬 랭크뉴스 2024.04.23
16987 [속보] 서울대·울산의대교수들 “주1회 진료 중단 결정” 랭크뉴스 2024.04.23
16986 밤부터 전국에 비…곳곳 돌풍·우박 주의 랭크뉴스 202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