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월 1일부터 시행되는 K-패스는 광역버스와 GTX 이용도 가능하다. 뉴스1
지하철과 버스 등을 타느라 쓴 돈을 최대 53%까지 되돌려주는 대중교통비 지원카드인 ‘K-패스' 발급이 24일부터 시작된다. 실제 사용일은 다음 달 1일부터이며, 서울시가 시행 중인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와 광역버스 이용이 가능하고 사용범위도 전국이다.

21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에 따르면 오는 24일부터 10개 카드사에서 K-패스 카드 발급 신청을 받는다. 해당 카드사는 국민, 농협, BC(BC바로, 광주은행, IBK기업은행, 케이뱅크),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 DGB유페이, 이동의 즐거움(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모바일교통카드) 등이다. 발급 신청과 세부 사항은 각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K-패스 혜택을 받기 위해선 카드를 발급받은 뒤 5월 1일부터 출시되는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korea-pass.kr)에서 반드시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 또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 중이라면 추가 카드 발급 없이알뜰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alcard.kr)에서 K-패스로 회원전환 절차만 거치면 된다.

K-패스 혜택은 신규 회원가입 또는 회원 전환한 날부터 바로 적용된다. 강희업대광위 위원장은 “K-패스가 시행되는 날인 5월 1일부터 바로 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드사와 협의해서 사업 시작 일주일 전부터 카드 발급을 시작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시내·마을버스, 지하철, 민자철도(신분당선 등), 광역버스, GTX)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다. 환급비율은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은 53%이며 최대 60회까지 적립된다. 청년은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19~34세가, 저소득층은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이 각각 해당한다.

청년을 예로 들면 대중교통을 탈 때 한 번에 1500원을 지출했다면 30%인 450원이 적립된다. 월 15회를 넘겨 60회까지 썼다면 다음 달에 돌려받을 적립금은 최대 2만 7000원이 된다. 같은 기준을 적용하면 일반은 1만 8000원, 저소득층은 4만 8000원을 돌려받을 수 있으며 적립금은 다음 달에 현금이나 마일리지, 카드 공제 등으로 직접 환급될 계획이다.

다음 달 1일 K-패스와 함께 시행될 예정인 ‘THE 경기패스(경기)’와 ‘인천 I-패스(인천)’도 기본적인 형태는 동일하며 자체적으로 적용대상과 혜택을 더 늘렸다. THE 경기패스와 인천 I-패스는 청년 기준을 만 39세까지로 확대했고, 최대적립 횟수 제한이 없어 60회 넘게 사용해도 모두 정해진 비율대로 환급받을 수 있다.

또 K-패스 적용대상이 아닌 어린이에게도 최대 24만원(경기), 최대 12만원(인천)까지 할인 혜택을 주며 인천시는 여기에 65세 이상 노인에 대한 환급 혜택도 늘릴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3개 카드는 모두 이용 가능지역이 서울을 포함한 전국이다.
K-패스는 지난달 말 개통한 GTX-A 이용도 가능하다. 연합뉴스

반면 서울시가 올해 초부터 6월 말까지 시범 운영하는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 5000원을 내면 서울시내 전철,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심야버스, 따릉이, 리버버스(한강수상버스)까지 모두 무제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GTX와 광역버스, 그리고 민자철도인 신분당선에선 사용할 수 없다. 공항철도와 경의중앙선 등도 사용 구간이 제한돼 있다.

K-패스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은 정부와 지자체가 각각 50%씩 나눠서 부담한다. 서울만 예외적으로 60%를 책임진다. 올해 소요될 예산은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1600억원가량으로 추정된다. K-패스의 최대 적립 한도를 넘어선 비용은 경기와 인천이 전액 부담해야 한다.

정부는 요금이 높은 GTX와 광역버스도 이용대상에 포함된 만큼 K-패스의 환급액에 한도를 두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한도 없이 시행하면 자칫 재정 부담이 그만큼 커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백승록대광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월 환급액에 한도를 둘지, 둔다면 얼마로 할지 등에 대해서 재정 당국과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151 빌라 기피에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 "귀하다 귀해" 랭크뉴스 2024.05.09
22150 경찰서 옥상에서 20대 여직원 추락사…"민원업무 부담 완화해야"(종합) 랭크뉴스 2024.05.09
22149 노소영 vs 최태원 동거인 30억 소송, 8월에 결판 난다 랭크뉴스 2024.05.09
22148 비트코인 도시락, 골드바 자판기… 편의점 이색상품 눈길 랭크뉴스 2024.05.09
22147 “자주 만나 좋지요” 입 연 윤 대통령…국정 기조는 그대로 랭크뉴스 2024.05.09
22146 [단독] 한미 오너일가, 사이언스 지분 50% 매각…1조 수혈 랭크뉴스 2024.05.09
22145 윤 대통령, 2주년 기자회견…김 여사·채 상병 특검 거부, 국정기조 ‘일관성’에 방점 랭크뉴스 2024.05.09
22144 한국 반도체 생산 비중, 8년 뒤 대만 제치고 세계 2위 전망 랭크뉴스 2024.05.09
22143 104세 철학자 김형석의 일침 "지도자의 무지는 나라의 불행" 랭크뉴스 2024.05.09
22142 "사람 죽어야 말 듣죠?"…벽 휘고 창 갈라진 신축 아파트 '충격' 랭크뉴스 2024.05.09
22141 네이버가 낳아 키웠는데... '라인' 지분 매각하라는 일본 [영상] 랭크뉴스 2024.05.09
22140 [단독] 보훈부, 국회에 ‘민주유공자 심사 기준’ 제시 안 했다 랭크뉴스 2024.05.09
22139 초반 지나자 '맥빠진' 기자회견‥이런 질문들 나왔더라면? 랭크뉴스 2024.05.09
22138 국민의힘 원내대표 TK 3선 추경호 “108명 단일대오로 똘똘 뭉쳐서 가자” 랭크뉴스 2024.05.09
22137 [일본에 배신 당한 네이버]② 日 교묘한 라인 강탈… 韓 정부는 ‘강 건너 불 구경’ 랭크뉴스 2024.05.09
22136 윤석열표 부총리급 저출생부…“출생률 집착 보여줘” 랭크뉴스 2024.05.09
22135 14개 원전에 설치된 수소제거장치 성능 미달…“2026년까지 모두 교체” 랭크뉴스 2024.05.09
22134 '부처핸섭' 불교 열풍 '뉴진스님'…말레이 의원 "공연 막아달라" 랭크뉴스 2024.05.09
22133 전화번호부터 생일까지 몽땅 털렸다...골프존, 과징금 75억 ‘철퇴’ 랭크뉴스 2024.05.09
22132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의대 증원 추진 재확인한 윤 대통령···의료계 반발 랭크뉴스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