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기자 ▶

꿀벌에 대한 유해성 때문에 유럽에서는 실외 사용이 전면 금지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농약.

특히 이렇게 꽃이 피는 시기에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농약 사용에 더 주의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이번 봄 서울에서는 많은 벚나무에 주사 형태로 농약이 주입됐다고 합니다.

정말 괜찮은 걸까요?

개화기 농약 사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2주 전, 벚꽃이 만발한 서울 안양천.

벚나무 밑동마다 무언가 꽂혀 있습니다.

수간 주사, 즉 나무주사 형태로 주입되는 농약입니다.

안양천 수백 그루의 벚나무가 꽃이 피기 전에 이렇게 주사를 맞았습니다.

약 성분은 디노테퓨란.

살충제로 널리 쓰이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농약입니다.

유럽에서는 이미 오래전 꿀벌 위해성이 크다며 실외 사용을 전면 금지했고, 국내에서도 실외에서 뿌리는 것을 점차 줄여가고 있습니다.

[최진우/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
"(지상 살포는) 무분별하게 퍼져나간다고 하는 그런 우려도 있고 그래서 요즘 나무주사로 주입하는 경향이 많거든요."

주사로 주입된 약 성분은 하루가 채 되기 전에 나무 전체로 퍼지게 됩니다.

꽃에도 예외 없이 농약이 퍼집니다.

꿀벌처럼 꽃을 찾아오는 곤충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진우/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
"(벌이) 접촉을 하게 되면 신경계가 교란이 되어서 집을 찾아가게 되는 길을 잃게 된다든지 점점 건강이 쇠퇴해서 죽게 되는‥"

미국 일부 주에서는 꽃이 피는 시기에는 주사 형태로도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농약 주입을 자제하라고 권합니다.

관할 구청은 꿀벌 위해성 표시가 없는 약제라 사용했지만, 내년부터는 대체 농약을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취재팀은 농약이 주입된 나무에서 벚꽃을 채취해 잔류농약 검사를 의뢰했습니다.

벚꽃 1킬로그램당 0.021밀리그램의 디노테퓨란 성분이 검출됐습니다.

높은 수치는 아니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디노테퓨란의 경우 고구마, 마늘 등의 잔류 허용치는 1킬로그램당 0.05밀리그램입니다.

하지만 정말 안전할까?

화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중국 시난대의 뤼첸셩 교수.

뤼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교수로 재직 중이던 2014년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농약과 꿀벌 군집 붕괴의 상관관계를 밝힌 논문을 썼습니다.

적은 양이라도 만성적으로 노출된다면 겨울에 꿀벌의 집단 폐사, 즉 군집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는 연구였습니다.

[뤼첸셩/중국 시난대 교수]
"만약 벌통이 봄이나 여름에 네오니코티노이드 농약에 조금 노출되면 그 효과는 겨울로 넘어가 군집 붕괴로 이어질 겁니다."

적은 농도라도 주입된 나무의 수가 많고 또 꽃가루가 퍼진다는 것을 감안하면 인간 역시 위험합니다.

[뤼첸셩/중국 시난대 교수]
"누구든지 나무 아래를 걷거나 벚꽃이 많은 공원 근처에 살고 있다면 모두 약간의 네오니코티노이드가 포함된 꽃가루를 흡입해요. 저는 공중 보건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뤼 교수는 열매를 수확할 것도 아닌 공원의 벚나무에까지 농약을 쓴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며, 네오니코티노이드는 퇴출이 시급하다고 말했습니다.

[뤼첸셩/중국 시난대 교수]
"사람들이 먹을 수 있는 충분한 음식을 재배하는 것과 환경을 보존하는 것 사이에 타협점이 있다는 것을 이해해요. 하지만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반드시 퇴출돼야 합니다."

생물 다양성 그리고 우리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네오니코티노이드 위험성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시급해 보입니다.

MBC뉴스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 김준형·전인제 / 영상편집 : 고무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002 ‘철근 없는’ 자이, 이번엔 중국산 KS 위조 유리 사용 랭크뉴스 2024.04.28
19001 [단독] "메모리 슈퍼사이클 온다"…SK하이닉스, 추가투자 검토 착수 랭크뉴스 2024.04.28
19000 서초동 ‘30억 아파트’ 유리창, 알고보니 중국산 위조품... “정품으로 재시공” 랭크뉴스 2024.04.28
18999 카드키 안 쓰는 ‘대통령 호텔방’…나훈아도 묵은 313호 [영상] 랭크뉴스 2024.04.28
18998 내년 의대 1500명 이상 증원 전망... 국립대 '감축'·사립대 '유지' 기류 랭크뉴스 2024.04.28
18997 ‘집안싸움’에도 뉴진스 새 뮤직비디오 1,000만 돌파…댓글도 뜨겁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4.28
18996 버려진 ‘커피컵’ 수북…1시간 동안 홀로 치운 시민 [아살세] 랭크뉴스 2024.04.28
18995 민희진에게 ‘업무상 배임죄’ 적용할 수 있나 랭크뉴스 2024.04.28
18994 의대 교수 ‘주 1회 휴진’에 중수본 “유감과 우려…비상진료체계 강화” 랭크뉴스 2024.04.28
18993 강아지 쏴 죽인 게 결단력?… 美부통령 후보 회고록 ‘시끌’ 랭크뉴스 2024.04.28
18992 의대 교수 ‘주 1회 휴진’에…중수본 “유감과 우려…비상진료체계 강화” 랭크뉴스 2024.04.28
18991 정부, “의료계 집단행동 유감…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랭크뉴스 2024.04.28
18990 두 달짜리 與 '비대위원장' 인선 하세월... 이르면 29일 가닥 랭크뉴스 2024.04.28
18989 국민이 심판한 윤, 이제 ‘민주당 탓’ 못 해…남은 선택 3가지 랭크뉴스 2024.04.28
18988 무관심층과 전략적 스윙보터 사이, ‘2030 정치’의 오늘과 내일 랭크뉴스 2024.04.28
18987 중국 광저우, 폭우 지나가자 토네이도로 5명 사망·33명 부상 랭크뉴스 2024.04.28
18986 法, 형제복지원 '국가 책임' 또 인정 랭크뉴스 2024.04.28
18985 수능 '6등급'이 붙다니…상위권 몰려가던 '이 대학' 어쩌다가 랭크뉴스 2024.04.28
18984 이준석 “해병대 박정훈 대령 무죄 나오면 정권 내놔야” 랭크뉴스 2024.04.28
18983 난폭운전 적발되자 90km 도주…추격 끝에 50대 검거 랭크뉴스 202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