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 주관으로 시민대표단 500명이 참여하는 숙의토론회가 지난 14일 KBS 방송을 통해 중계되고 있다. 유튜브 화면 캡처


국민연금 개혁 토론회에서 기초연금 수급 범위와 관련해 ‘소득하위 70%로 현행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과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차등 급여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 팽팽히 맞섰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위원회는 20일 서울 등 전국의 KBS 방송국 5곳에서 분산해 전문가 및 500명의 시민대표단과 함께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관계’에 대해 숙의토론회를 열었다. 지난 13일 ‘연금개혁 필요성과 쟁점’, 14일 ‘소득대체율 및 연금보험료율 조정’ 주제에 이어 세 번째 토론회다.

노후소득 보장 강화론 측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애초에 기초연금은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을 60%에서 40%로 떨어뜨리면서 생긴 보장성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도입됐다”며 “기초연금의 수급 범위를 줄인다고 정말 필요한 노인에게 제대로 보장해줄 수 없다. 국민연금의 급여 수준이 너무 낮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2022년 기준 노인 70%의 연금 수급액이 60만원 이하이고, 국민연금의 평균 수준은 58만6000원이다. 이 상황에서 기초연금의 액수를 그 이상으로 올릴 수 없고, 아무리 빈곤한 노인에게 집중해도 필요한 수준을 채워줄 수 없다”며 “기초연금을 받는 노인을 줄인다고 해서 자동으로 우리가 연금액을 올려줄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댐(보장)을 모두 넓게 유지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노인 빈곤의 범위가 너무 넓고, 국민연금의 수준이 너무 낮기 때문”이라며 “더 빈곤한 노인에게는 주거수당 등 별도의 소득 보장을 추가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재정안정 중시론 측 김수완 강남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는 “지난 17년 동안 우리나라 노인 숫자가 500만명에서 크게 늘어 지금은 1000만명 가까이 됐고, 이에 따라 기초연금을 받는 70%의 노인도 거의 650만명”이라고 말했다.

이어 “동시에 학력·소득·자산 수준이 높아지면서 노인 70% 선정 기준이 15년 전 68만원에서 지금은 그 3배인 213만원이 됐는데, 노인빈곤율은 그만큼 개선이 안 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이 40.4%”이라며 “노인 10명 중 7명이 기초연금을 30만원 넘게 받아도 10명 중 4명이 여전히 빈곤하다면, 지금 기초연금액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 시점에서 기초연금액의 가장 중요한 미션은 노인빈곤 해결”이라면서 “기초연금 지급기준이 소득하위 70% 기준선에 임의로 맞추기 위해서 빠르게 높아지고 있는데, 이걸 중위소득 높아지는 속도에 따라서 지금보다 덜 가파르게 높여가면서, 빈곤한 분들에게 조금 더 많이 드릴 수 있는 기초연금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일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도 “현재 전체 노인의 3분의 2에 기초연금을 지급하는데 생활에 상당히 큰 도움이 되지만 그럼에도 정말 빈곤한 분들에게는 충분하지 않다. 그런 분들에게 더 많은 금액을 줄 수 있어야 한다”며 “지금처럼 70%를 고수하는 대신에 중간소득 정도로 지급기준을 변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제갈현숙 한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그러나 “중간소득 노인이 중산층이 아니다. 전체 국민 소득 중 하위계층에 속한다. 또 지금은 국민연금 급여 수준이 낮아서 저소득 노인에게만 조금 더 드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연금액을 줄이거나 대상자 수를 줄인다면 그만큼 노인빈곤 규모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공론화위는 오는 21일까지 총 4차례 토론회를 진행한다. 토론회가 모두 끝난 뒤에는 토론에 참여한 시민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다. 연금특위는 토론 결과를 바탕으로 개혁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8101 LG전자, 가전사업 날자 1분기 역대 최다 매출액 찍었다 랭크뉴스 2024.04.26
18100 [속보] 대통령실 "'다 접어두고 만나겠다'는 이재명 대표 환영" 랭크뉴스 2024.04.26
18099 "벤츠 E클래스가 이렇게 안팔릴 줄이야"...‘고금리 덫’에 걸린 자동차 업계[‘신 3고’ 쇼크] 랭크뉴스 2024.04.26
18098 박지원 “윤 대통령 그대로면 부부 험한 꼴···총선 민심은 이재명과 공동정권” 랭크뉴스 2024.04.26
18097 스포츠 아나운서, 만취상태로 운전하다 경찰에 붙잡혀 랭크뉴스 2024.04.26
18096 이재명 "신속하게 윤 대통령 만날 것"‥대통령실 "이재명 뜻 환영" 랭크뉴스 2024.04.26
18095 美 “5년간 송전선 16만㎞ 업그레이드”… 韓 전선업계 호재 랭크뉴스 2024.04.26
18094 하이브, 민희진 어도어 대표 폭로전에 5%대 하락 [특징주] 랭크뉴스 2024.04.26
18093 맥도날드 '불고기버거' 값도 내달 300원 오른다 랭크뉴스 2024.04.26
18092 李 “尹 만나겠다” 대통령실 “환영, 실무협의 착수” 랭크뉴스 2024.04.26
18091 이재명 “다 접어 두고 대통령 만날 것”…자유 회담 제안 수용 랭크뉴스 2024.04.26
18090 직장인 점심값 1만원 돌파…"예약필수" 오마카세 지고 뜬 이곳 랭크뉴스 2024.04.26
18089 [속보] 대통령실 "이재명 대표 화답에 환영…실무협의 바로 착수" 랭크뉴스 2024.04.26
18088 민희진 '역대급 기자회견'에 패션도 화제… 민희진 룩 '완판' 랭크뉴스 2024.04.26
18087 이재명 "다 접고 대통령 만나겠다"…영수회담 의지 나타내 랭크뉴스 2024.04.26
18086 대통령실 “尹 제안 화답한 이재명 환영, 실무협의 바로 착수” 랭크뉴스 2024.04.26
18085 “연봉 3~4억은 어불성설···대한민국 의료 난도질당해” 서울대병원 교수의 대자보 랭크뉴스 2024.04.26
18084 중동에 이어 미·중 갈등까지 재점화...고조되는 ‘지정학 리스크’[위클리 리포트] 랭크뉴스 2024.04.26
18083 대통령실 "尹대통령 회동 제안에 화답한 李대표 뜻 환영" 랭크뉴스 2024.04.26
18082 [속보] 대통령실 “尹 제안 화답한 이재명 환영, 실무협의 바로 착수” 랭크뉴스 2024.04.26